해(害, 산스크리트어: vihiṃsā, 영어: hostility, cruelty, intention to harm)는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중 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며,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의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 20가지) 중 소수번뇌심소(小隨煩惱心所: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다.[1][2]
해(害)는 불해(不害)의 반대인데,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으로 하여금 다른 이를 핍박(逼迫: 바싹 죄어서 몹시 괴롭게 굶[3])하게 하는 마음작용으로,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이 해(害)와 상응하는 경우 이 마음작용은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으로 하여금 다른 이를 매도(罵倒: 심하게 욕함[4], 심하게 욕하고 나무람[5])하고 폭력을 행사하는 등의 일을 저지르게 만든다.[6] 달리 말하면, 욕설을 하고 폭력을 행사하는 것은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이 해(害)의 마음작용과 상응했을 때 일어나는 어업(語業)과 신업(身業)이며, 역으로, 욕설을 하고 폭력을 행사한 경우에는 반드시 그 행위 이전과 그 행위의 실행 시에 상대를 괴롭히거나 해치려는 해(害)의 마음작용과 상응함이 있었던 것이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 해(害)는 유정을 훼손(毀損)하고 상해(傷害)하고 괴롭히고[惱觸] 핍박[逼]하여 그 유정으로 하여금 괴로운 상태[苦]에 빠지게 하려는 마음작용이다.[7]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구사론》 제21권에 따르면, 해(害)는 다른 유정을 핍박(逼迫: 억누르고 괴롭힘[8])하는 마음작용이다. 마음이 해(害)와 상응하게 되면 때리고[打] 매도하는[罵] 등의 일을 저지르게 된다.[9][10]
|title=
|d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