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합성(和合性, 산스크리트어: sāmagrī) 또는 화합(和合)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다.[1][2]
화합성(和合性) 또는 화합(和合)의 원어인 산스크리트어 사마그리(sāmagrī)의 일반 사전적인 뜻은 전체(totality, entirety), 빠짐없음(completeness), 특히 구성 요소가 빠짐없이 포함된 집합(a complete collection or assemblage of implements or materials), 또는 수단(means)이다.[9] 화합(和合)이라는 한자어 낱말의 일반 사전적인 뜻은 '화목하게 어울림'이다.[10]
유식유가행파의 교학에 따르면, 화합성 또는 화합은 어울림이라고 번역하기도 하는데[11][12] 인과(因果)의 여러 가지 원인[衆緣]이 모이는 것[集會]을 실재하는 법인 것처럼 가립한 것이다.[13][14] 즉, 모든 유위법[行]들이 인연[緣: 즉 원인]을 따라 만나고 모이는[會] 성질, 즉 연회성(緣會性)을 마치 별도의 실재하는 법인 것처럼 삼은 것이다.[15][16]
간단히 정의하자면, 화합성 또는 화합은 인연화합(因緣和合) 또는 인과화합(因果和合)을 말한다.[2][17][18] 여기서 '인과화합'에서의 인과(因果)는 동시인과의 관점에서 본 모든 또는 개별 유위법을 뜻한다.[3][4] 즉, 화합성 또는 화합은 각각의 유위법을 생겨나게 하는 모든 인(因: 직접적 원인이 되는 유위법)과 연(緣: 간접적 원인이 되는 유위법)이, 간략히 총괄적으로 말해서, 하나가 되는[為一] 것을 말한다.[19][20] 이러한 뜻에서 화합성 또는 화합을 달리 말하여 전통적인 표현으로 동사인(同事因)이라고도 하는데 동사인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현상[事] 즉 결과[事]의 원인들[因]이 서로 일치[同]하는 것이다.[19][20] 즉, 화합성 또는 화합은 각각의 유위법의 소작지(所作支: 형성요소, 구성요소)들이 누락되지도 않고 또한 이지러져 있지도 않을 때 즉 빠짐없을[completeness] 때 이러한 분위(分位: 측면, 국면, 양태, 단계, aspect, phase)를 마치 실재하는 법(法)인 것처럼 가립(假立)한 것이다.[11][12]
현대의 학자들에 따르면 인도불교의 유식학의 역사는 크게 3기로 나뉘는데, 제1기는 미륵(彌勒)과 무착(無着)의 유식학이고, 제2기는 세친(世親)의 유식학이고, 제3기는 호법(護法)과 안혜(安慧) 등의 10대 논사의 유식학이다.[21]
아래 단락들은 이러한 구분에 의거하여 배열되어 있으며, 해당 유식학 논서에서 나타나는 화합성 또는 화합에 대한 정의를 기술한다.
|title=
|date=
|title=, |출판사=
① 가전연 ② 대가섭 ③ 나후라 ④ 목건련 ⑤ 부루나 ⑥ 사리불 ⑦ 수보리 ⑧ 아나률 ⑨ 아난타 ⑩ 우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