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광복군

한국 광복군
韓國 光復軍
한국의 독립운동, 태평양 전쟁, 중일 전쟁, 버마 전역에 참전
한국 광복군의 기 한국 광복군의 문장
한국광복군 성립 전례식 기념사진
한국광복군 성립 전례식 기념사진
활동기간 1940년 9월 17일 ~ 1946년 5월 16일
이념 한국 민족주의
지도자 지청천
이범석
김원봉
김학규
박시창
김홍일
본부 중화민국 충칭
병력 339명~564명
상위단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기 대한민국 임시정부
유래단체 한국독립군
조선의용대
이후단체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군
동맹단체 국민혁명군
동맹국가 미국 미국
대영 제국 대영제국
중화민국 중화민국
적대국가 일본 제국 일본 제국
참여한 전투 한국의 독립운동
태평양 전쟁
중일 전쟁
버마 전역
서울 진공 작전 (1945년)

한국 광복군(韓國 光復軍) 또는 줄여서 광복군(光復軍)은 1940년 9월 17일 중화민국 충칭에서 조직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준군사조직이다. 1939년 1월 창립된 한국독립당의 당군인 한국독립군과 그 밖의 독립군 및 지청천, 이범석 등이 이끌고 온 만주 독립군과 연합하여 1940년 9월 17일 성립전례식을 갖고 결성되었다. 광복군을 실질적으로 통솔하였던 사람은 지청천과 그의 참모장인 이범석이었다.[1]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통수권을 인수하였다. 이후 미국 CIA의 전신인 OSS와 함께 국내 진공작전을 준비하다가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이하였으며, 1946년 5월 16일에 해산하였다.

창설 과정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1939.4. 4)

준비 작업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했다. 중국 국민당과 중국 공산당의 2차 국공합작이 이뤄졌고, 일본제국에 맞서 싸우기 위해 장제스는 임정이 무력수단을 갖추는데 전폭적으로 지원했다. 여기에는 윤봉길 의사의 홍커우 공원 의거로 조선인들에 대한 우호적인 분위기가 조성된 데다, 장제스와 김구 개인이 돈독한 관계도 한몫했다.

1936년장제스의 제안으로 임시정부는 중국에 있는 전 조선인 무장세력을 규합하여 광복군 조직을 추진하고 있었다.[1] 광복군은 1939년 1월 8일 창립된 임시정부의 여당 한국독립당 당군(黨軍)을 모태로 하였다. 이후 기타 독립군 및 지청천, 이범석 등이 이끌고 온 만주 독립군과 연합하여 1940년 9월 성립전례식을 준비, 계획하였다.

1940년 5월 임시정부 측은 중국 국민정부 장제스 총통에게 한국광복군의 활동을 승인해줄 것을 교섭하였고, 중국 국민당군의 지휘 하에 둔다는 조건으로 광복군 창립을 승인받았다. 광복군의 지휘권은 중국의 국민당 정부가 통제하고 있었으나 1944년 8월 임시정부로 통수권이 넘겨졌다.

성립전례식과 창군

1940년 9월 15일 임시정부 주석 겸 한국광복군창설위원회 위원장 김구 명의로 「한국광복군선언문」을 발표했다. “광복군은 중화민국 국민과 합작하여 두 나라의 독립을 회복하고자 공동의 적인 일본제국주의자들을 타도하기 위하여 연합군의 일원으로 항전을 계속한다”는 내용이다. 이어서 9월 17일 한국광복군총사령부 성립 전례식을 거행하고 광복군을 창설했다. 충칭 대한민국 임시정부 청사에서 임정 요인들과 현지 한국 거류민 및 중화민국 국방성에서 파견한 군관들이 임석한 가운데 행사가 거행됐다.

광복군 성립 전례식에서의 김구(통수권자)와 지청천(총사령관)
해방 후 어느 광복군(1946년)

김구 명의의 〈한국광복군 선언문〉이 독립기념관 광복군 어록비에 새겨져 있다.[2]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대한민국 원년(서기 1919년) 정부가 공포한 군사 조직법에 의거하여 중화민국 총통 장개석 원수의 특별 허락으로 중화민국 영토 내에서 광복군은 중화민국 국민과 합작하여 우리 두 나라의 독립을 회복하고자 공동의 적인 일본 제국주의자들을 타도하기 위하여 연합국의 일원으로 항전을 계속한다.

과거 30년 간 일본이 우리 조국을 병합 통치하는 동안 우리 민족의 확고한 독립정신은 불명예스러운 노예 생활을 벗어나기 위하여 무자비한 압박자에 대한 영웅적 항전을 계속해 왔다. 영광스러운 중화 민족의 항전이 4개년에 도달한 이 때 우리는 큰 희망을 가지고 우리 조국의 독립을 위하여 우리의 전투력을 강화할 때가 왔다고 확신한다.

우리는 장개석 총통의 한국 민족에 대한 원대한 정책을 채택함을 기뻐하며 감사의 찬사를 보낸다. 우리 국가의 해방운동과 특히 우리들의 압박자 왜적에 대한 무장 항전의 준비는 그의 도의적 지원으로 크게 고무되었다. 우리들은 한·중 연합전선에서 우리 스스로의 계속 부단한 투쟁을 감행하여 자유, 평등을 쟁취할 것을 약속하는 바이다.

대한민국 서기 1940년 9월 15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
한국 광복군 창설 위원회 위원장 김 구

창군 당시 광복군의 규모는 약 30여 명 정도로 알려져 있다. 처음 꾸려졌을 때 광복군은 총사령부만으로 이뤄진 군인 없는 군대였다. 초기 광복군은 “1기 임무로 장병을 급속 모집해 최소한 3개 사단을 편성, 항일전선에 참가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전선이 가까운 시안으로 이동해 군인 모집에 총력을 기울였다. 1·2·3지대와 1941년 1월1일 시안에서 독자적으로 활동하던 한국청년전지공작대를 흡수한 5지대를 합친 4개 지대로 운영됐다.[3]

1942년 1월 충칭 주재 미국대사관의 보고서는 충칭의 한국 거류민은 200명을 넘지 못한다고 적고 있다.[4][5][6] 그러나 임정에서는 5백여 명 이상의 대원으로 시작했다 하며 그 위용을 과시하였다.

광복군은 중화민국의 지원 하에 활동해야 하는 한계를 가지고 출발했다. 중화민국 정부는 광복군을 인정하는 대신 1941년 11월 광복군은 중화민국 정부 측으로부터 한국광복군 행동준승이라는 9개 조항으로 된 조건을 전달받았다. 준승에 따르면 한국광복군은 중화민국 중앙군 참모총장의 명령과 통제를 받아야만 움직일 수 있도록 명시되어 있었다.[7][8] 이현희는 이 준승은 한국광복군은 명실상부한 한국의 독립군이 아니라 중국의 일개 보조, 고용군이 된다는 굴욕적인 군사협정이었으며, 임시정부 자체도 그 지위가 의심스러워지는 등의 미묘한 국면을 제공하였다고 평가하였다.[7][9] 대한민국 임시정부중화민국 측의 이 준승 명령에 분개하여 임시정부를 미국 워싱턴 D.C.로 옮길 것을 계획하고,[7] 이승만과 연락을 취하기도 하였다.[10] 그러나 중국 정부가 김구를 설득하면서 임정 천도안은 무산되었다.[11]

한국광복군 준승은 1944년 8월에 폐기되었고, 이때 광복군의 통수권은 임시정부로 이양되었다.[7] 그러나 광복군의 훈련과 유지는 국민당 정부로부터 재정적인 지원을 받아 이루어지고 있었고, 그 계획과 목표 설정까지도 장개석의 통제 아래 있었다.[1] 1944년 중국 국민당 정권은 한국광복군의 통수권을 임시정부 주석 김구에게 이양한다.

성장과 활동

한국광복군은 먼저 각지에 흩어져 활동하던 한인 항일 군사조직을 흡수하여 통합하는 데에 진력하였다. 1941년 1월 무정부주의 계열의 한국청년전지공작대가 편입되었으며, 1942년 7월에는 김원봉이 이끌던 조선의용대의 일부를 흡수하였다.중국 각지에 징모 분처를 설치하고 한국청년훈련반과 한국광복군훈련반이라는 임시훈련소를 운영했다. 기관지 '광복'을 펴내기도 했다.[6] 이후 조선의용대의 편입을 놓고 논란이 발생하였다.일부 흡수된 조선의용대는 사상의 차이로 결국 떨어져나가고 이후 중국 공산당의 지시를 받는 중공군의 하부세력으로 지내다가 6.25전쟁이 터질무렵 남한을 침략하기 위한 목적으로 북한으로 들어가게된다.

맨 앞줄 좌로부터 (박찬익, 조완구, 김구, 이시영, 차이석
두 번째 줄 맨 왼쪽 성주식, 김문호, 신정숙, 김붕준
맨 뒷줄 왼쪽부터 조성환, 조소앙, 지청천, 이범석, 이름 미상

임정은 태평양전쟁이 발발하자 1941년 12월 10일 일제독일선전포고를 하였다. 광복군은 1943년 영국군에 파견되어 버마 전역에 투입되었으며, 그 뒤 임정 구미외교위원부 위원장 이승만을 통해 미국 국무부에서 파견한 도노번 장군에게 OSS 특별훈련을 받기도 하였다.

국내 정진작전과 국군 자격 귀국의 좌절

1945년 8월 미국 육군 소장 도노반과 면담한 김구 주석

1945년 4월 당시 임시정부 의정원의 문서에 따르면 한국광복군의 총 병력 수는 339명이었다.[12] <대한민국 임시정부 의정원 문서> ‘광복군 현세’를 보면, 1945년 3월 현재 광복군의 수는 514명인 것으로 확인된다. 이 가운데 중국인의 수는 65명으로 이를 뺀 광복군의 실제 인원은 449명이다.[13] 4월에는 광복군의 OSS 훈련을 승인하였고, 미국군 중국전구 사령관 웨더마이어 중장을 방문하였다.

김구는 독자적으로라도 한국광복군의 한반도 진주를 추진하였으나, 중국 내에서 활동하는 군사집단에 대한 관할, 감독, 지도권은 중화민국 정부에 있다는 국민당 정권의 경고로 실패하고 만다. 대신 김구미국에 체류 중이던 이승만에게 수시로 연락하여 광복군과 미국 육군, 공군과의 OSS 합동훈련 계획 진행 상황을 수시로 독촉하였다.

임정은 일제의 항복이 다가왔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자력으로 국토를 수복하기로 하고, 1945년 8월 11일 이범석을 총지휘관으로 하는 국내정진군(國內挺進軍)을 편성했다. 8월 16일 미군 비행기를 통해 그 선발대가 한반도로 향했지만 "가미카제 특공대가 아직 연합군을 공격하고 있다"는 무전을 받고 회군하였다. 이틀 뒤 8월 18일 다시 국내 진입을 시도해 서울 여의도 비행장에 착륙했지만 일본군의 저항으로 발길을 돌려야 했다.

그 뒤 임정은 오광선을 국내지대장으로 파견해 서울에 한국광복군 국내지구사령부를, 대전에 한국광복군 경비대 훈련소를 개설했다. 그러나 일제 패망 후 한국에 진주하여 통치권을 행사하던 미군정은 '사설 군사단체 해산령'을 내려 광복군 국내지대를 해체시켰다. 귀국길이 막혀 버린 중국 주재 광복군도 1946년 5월 16일 중국 국공내전(國共內戰)의 혼란 속에서[6] 사실상의 해체를 선언할 수밖에 없었다.

광복군은 해방 이후에도 중국에 남아 ‘확군’ 작업에 정진했지만, 중국 정부의 지원을 받지 못해 1946년 4월30일 광복군 총사령부는 난징에서 해산하고 5월 말 이범석 장군의 통솔 아래 귀국했다. 귀국 대오에 참여한 병력은 500명쯤이었다고 한다. 임시정부 선전부장 엄항섭이 귀국 다음날인 1945년 11월25일치 기자회견에서 “광복군의 총사가 1만”이라고 주장했지만 이는 과장된 것이다.[14]

통수권 이양받은 광복군

1944년 중국 국민당 정권은 한국광복군의 통수권을 임시정부 주석 김구에게 이양한다. 그러나 장개석의 한국광복군 통수권 환수를 놓고 중국 국민당 내에서도 반대하는 시각이 나타났다. 그들의 우려는 현실로 나타났다. 제2차 세계대전이 막바지에 이르렀을 때 이청천이범석 휘하의 광복군이 저지른 난폭한 행동들은 특히 상하이에서, 중국인들 뿐만 아니라 중국 거주 조선인들에게도 증오감을 사고 있었다. 광복군은 친일 매국노를 처단하는 데 앞장섰다.[1] 친일파나 '친일 부역자'들 뿐만 아니라 임시정부에 반대하는 정적(政敵)을 처단하는 데도 이용되었다. 그 당시 임시정부는 경제적인 지원을 받고 있던 보수 진영에 완전히 경사되어 있었고, 공산주의소련의 위험에 대해서 소리 높여 비난하고 있었다.[1]

논란

'해방 후 광복군'과 박정희 비밀공작원설

광복군은 일본군만주군 출신 한국인 병력의 귀순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장준하는 자신을 영입하려던 부사령관 겸 1지대장 김원봉을 비판하였고,[15] 일본군 출신들을 독자적으로 영입하려던 것을 지청천에게 보고하기도 하였다. 장준하김원봉이 일본군 출신 한인 병력에게 대한민국임시정부와 광복군에 대한 불신임을 심어주려 하였다고 주장하였다.[16]

해방 직후 북경에는 광복군 출신, 학도병 출신 등 수많은 조선 청년들이 집결하였다. 그 숫자가 대략 400여 명에 달했는데 만주군 대위 출신은 신현준과 중위 출신의 박정희 전 대통령도 있었다. 임시정부는 동북반사처(辦事處) 최용덕 처장을 보내 일제 패망 이후 일본군과 만주군을 탈영한 한국인 병력에게 임시거처를 마련해주었다. 그러고는 이들을 임시로 김학규 광복군 3지대장 휘하로 편입시켰다. 이때 만주국군 대위 신현준과 중위 박정희는 만주군 장교 경력을 인정받아 3지대 1대대 대대장과 2중대장을 각각 맡았다. 이들은 모두 '해방 후 광복군'이다.[17]

박정희처럼 고등교육을 받은 일본군 장교는 “(세력 확장을 위해) 일본군 출신 조선인들을 광복군에 적극 편입한다”는 한국독립당의 방침에 따라 광복군에 적극 편입됐다. 염인호 서울시립대 교수(사학)가 쓴 논문 ‘해방 후 한국독립당의 중국 관내지방에서의 광복군 확군활동’을 보면, ‘박정희처럼 해방 이후 확군된 병사의 수는 베이징 1,300여명, 난징 800여명, 상하이 1,300여명 등’인 것으로 나타난다.[18]

박정희가 소속된 광복군 부대는 북평잠편지대일 것으로 보이는데, 일부 증언에는 제3지대 주평진대대(駐平津大隊)라고도 한다. 평진이란 북평과 천진에서 따온 말이다. 이 부대의 대대장은 박정희와 같이 근무한 신현준이었고 신현준은 광복군의 존재를 해방 이전에는 알지 못했다고 회고했다. 이 부대는 실제 광복군 부대라기보다는 해방이라는 급격한 상황 변화에 따라 광복군이 세불리기 차원에서 부대 명칭을 부여한 것으로, 사실상 일종의 포로수용부대였다. 이들 부대를 관리한 중국쪽 기관이 부로관리처(俘虜管理處)인 것도 이를 증명한다.[19]

이게 박정희가 일제 패망 이전에 광복군 비밀요원이었다는 식으로 기술한 소설 <광복군>(저자 박영만)의 근거로 활용됐다. 그러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 박정희·신현준이 광복군 김학규 장군에게서 “적당한 시기에 일본군을 공격하라”는 명령을 받고 1945년 7월에 베이징에서 다시 철석부대로 돌아오는 등 비밀광복군이었다는 얘기는 거짓말이라는 것이다. 간도특설대에 대해 제대로 증언한 유일한 증언자 이용(李龍)의 증언이다. 그의 이름은 해방 전엔 이집용(李集龍)이었다.[20]

광복군 출신인 장준하는 1967년 대선에 맞추어 나온 소설 광복군(저자 박영만)에 격분한다. 친일파 박정희 대통령을 비밀광복군으로 둔갑시켰기 때문이었다. 1967년도 당시에 야당 대통령 후보 윤보선을 지지하며 전국을 돌아다니면서 줄기차게 비판한다. 고상만의 ‘중정이 기록한 장준하’ 책에도 그 이야기가 언급돼 있다. ‘지금 현재 일각에서 박정희 후보가 광복군이라고 하면서 써놓은 책이 있는데 이것은 전부 다 거짓말이다. 내가 광복군이기 때문에 정확히 안다. 그는 당시에 만주에서 일본군 장교로 있었다.’ 이같은 언급에 대해서 당시 중앙정보부가 중요상황 보고로 장준하의 발언을 일일이 기록했다.[21]

만군ㆍ일본군 출신들이 중국(만주)에서 해방과 함께 광복군에 편입된 사연을 일본군을 탈출하여 광복군이 된 장준하는 다음과 같이 밝혔다. <<우리를 더욱 슬프게 한 것은 새로운 사실이었다. 일본이 항복하기 직전까지 통역이 아니면 일선 지구를 돌아다니는 아편 장사나 일군 위안소의 포주들까지도 하루 아침에 광복군 모자 하나씩을 얻어 쓰고 독립운동가, 망명가, 혁명가를 자처하는 목불인견의 꼴이었다. 뿐만 아니라 같은 타국에 있는 동포 재산을 이런 자일수록 앞장서 몰수하기가 일쑤였고, 광복군도 1,2,3 지대로 나뉘어 대립을 보이고 있었다.(……)이런 상태에서 과거를 불문하고 독립운동자의 이름을 마구 나눠주었던 것이다. 아무나 들어오면 귀히 맞아들여(?) 광복군 모자를 하나씩 씌워주었다.>>[22]

또 당시 정황을 비교적 잘 아는 김승곤 전 광복회장은 “박영만은 청와대에서 돈을 받을 줄 알고 ‘광복군’을 썼는데, 내용을 훑어본 박 대통령은 ‘내가 어디 광복군이냐. 누가 이 따위 책을 쓰라고 했냐’며 화를 냈고, 결국 박영만은 돈 한푼 못 받고 거창하게 준비한 출판기념회도 치르지 못했다”고 증언했다.[23]

소설 광복군이 출간될 당시 중앙정보부에 근무한 이종찬 전 국회의원의 증언이다.“이건 내가 실제로 겪은 것으로 1967~68년 중앙정보부에 ‘<광복군>(저자 박영만) 책을 모두 거둬들이라’는 지시가 내려왔다. 어렵게 책을 수거해 봤더니 ‘박정희가 광복군 활동을 했다’는 내용이었다. 박 대통령이 그것을 읽고 ‘이런 거짓말을 해선 안된다. 해방 후 김학규 광복군 3지대장이 만주에 있던 한국 국적 군인을 모았다. 그때 잠시 구대장으로 사병을 모아 훈련시킨 적이 있다. 이것은 해방 이후로 내가 장준하나 김준엽처럼 일제때 독립군을 했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 그래서 책을 거두어들이라고 했다’는 것이다.”[24]

박정희가 '해방후 광복군'이기는커녕 길거리를 배회하던 그를 체포해서 국내로 송환했다는 자료도 있다. 김홍신의 홈페이지 '박정희 광복군편입은 허위날조'에 따르면 광복군 출신의 항일투사 이재현(이형진의 부친)은 북평 판사처 주임(광복군 소령/지역 사령관)이었다. 일제가 패망하자 박정희가 속한 만주군 8단이 해체되고 베이징으로 나와 길거리를 배회하던 박정희를 잡아 들여 한국으로 송환한 책임자가 이재현이라고 한다. 당시 북평 판사처의 임무는 재 중국동포와 한국 국적의 일본군들을 본국으로 송환하는 것이 임무였다. 일본군 출신이 너무 많아 군의 편제가 필요하여 신현준 일본군 대위를 대대장으로 이주일과 박정희 일본군 중위를 중대장으로 하여 통솔케 하고 본국으로 송환하였던 것뿐이다. 박정희가 광복군 3지대에 편입되었다는 주장은 틀렸다는 것이다. 이 내용은 전 정보원장인 이종찬 씨가 2004년 8월 26일 중앙일보에 투고한 글에 대한 반박을 위해 쓴 글이었다.[25]

광복군에 근거하여 많은 가짜 정보들이 유통되었다. 육군본부가 발간한 '창군전사', 장창국이 출간한 '육사 졸업생'에도 등장한다.

‘만주에 있던 장교들은 그들대로의 지하조직이 있었다. 박정희, 신현준, 이주일 등은 광복군 제3지대의 비밀 광복군으로서 거사 직전에 해방을 맞이했다.’ (육군본부 발간 ‘창군전사’ 265쪽)

창군전사 말고도 박정희를 비밀 광복군으로 묘사한 책은 더 있다. 박정희 정권에서 합참의장, 국회의원을 지낸 장창국(사망)씨는 1984년 출간한 ‘육사 졸업생'에서 박정희가 비밀 광복군에 가담한 경위를 이렇게 기록했다.

“신태양악극단이 1945년 2월9일 (만주군) 7연대에 들어가 공연을 했다. 광복군은 이 악극단에 잡역부를 가장한 공작원 이용기를 투입했다. 이씨는 부대 간부들과의 회식 자리에서 박정희 중위, 신현준 대위와 만나는 데 성공했다. 이씨는 광복군 총사령관 이청천 장군의 직인이 찍힌 광복군 임명장을 박 중위와 신 대위에게 줬다. 이래서 그들은 광복군 비밀요원이 됐다.” (‘육사 졸업생’ 26쪽)[26]

그러나 이는 모두 날조된 것이다. 부대장의 이름을 따 일명 '철석부대'로 불린 이 부대는 1939년 명월구에서 조선인 독립대대로 출발한 부대로 박정희는 이 부대에 간 적이 없다. 철석부대 출신인 박창암(육군 준장 예편, 작고)씨, 송석하(육군 소장 예편, 작고)씨 등은 생전에 "박정희는 철석부대 문전에도 가본 적이 없다"고 증언한 바 있다.

또 '신태양 악극단' 단장을 지낸 작곡가 손목인(작고)씨는 생전에 "더러 군대 위문도 갔지만 철석부대는 들어본 일이 없고, 이용기라는 이름도 기억나지 않는다"고 증언했다. 또 단원이었던 가수 신카나리아씨와 영화배우 황해씨 등도 지난 97년 "이용기라는 이름은 기억에 없다"고 증언한 바 있다.

박정희와 8단에 같이 근무했던 방원철(육군대령 예편, 작고)씨는 "8단 시절 연예인이 부대로 위문온 적이 없었다"며 "박정희는 8단 부임 이후 반벽산(단 본부 소재지)을 떠난 적이 단 한번도 없었다"고 증언했다.[27]

소설 광복군의 여파는 최근까지 이어져 드라마 <여명의 눈동자>와 영화 <건축무한육면각체의 비밀>에서도 독립군 박정희의 모습을 사실처럼 그려 독립운동가들의 항의를 받기도 했다.[28]

과장된 광복군 숫자와 가짜 독립유공자

독립운동가 서훈을 둘러싼 ‘잡음’ 한가운데에는 어김없이 광복군이 있었다. 서훈 잡음은 크게 세 갈래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가 친일파 서훈, 둘째가 5단계로 나뉜 건국훈장 등급, 셋째가 ‘가짜’ 또는 ‘자격 미달’ 광복군이다. 앞의 두 논란은 그동안 여러 차례 언론의 주목을 받았지만, 광복군을 입 밖에 내는 것은 우리 사회에서 사실상 금기에 가까웠다.[29]

광복군 숫자에 과장이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그 이유는 기존의 광복군에 '해방 후 광복군'이 대거 포함됐기 때문이다. 2005년 SBS 삼일절 특집 뉴스추적 취재에 의하면, 1945년 4월에 작성된 대한민국임시정부 문서에는 광복군의 인원이 339명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로 선정된 광복군은 560명이다. 이들 중 해방 후인 8월 19일에 입대한 사람도 있다.[30] 광복군 군무부장을 지낸 약산 김원봉이 작성한 <대한민국 임시정부 의정원 문서> ‘광복군 현세’를 보면, 1945년 3월 현재 광복군의 수는 총사령부 108명, 1지대 89명, 2지대 185명, 3지대 119명, 기타 13명 등을 합쳐 514명인 것으로 확인된다. 이 가운데 중국인의 수는 65명으로 이를 뺀 광복군의 실제 인원은 449명이다.[31]

광복군 제1지대 대원이었던 독립운동가 김득명은 “이것도 사실 중국으로부터 물자를 타기 위해 부풀려진 수”라고 말했다. 광복군은 당시 중국의 경제 원조를 받고 있었다. 김씨는 “중국정부로부터 더 많은 보급물품을 타기 위해 가족 등 관련 없는 이들도 숫자에 포함시켰다”고 밝혔다. 김씨의 증언을 차치하고 공식문서에 언급된 339명이 모두 ‘진성 광복군’이라 하더라도 광복군 독립유공자 560명과는 차이는 매우 많다. 일제가 패망하면서 광복군에 편입된 이들이 많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일본군 포로로 중국군 포로수용소에 잡혀있던 한인 출신 포로들이 광복 직후 임시정부에 무더기로 인계되고, 이들이 광복군으로 편입돼 임정과 같이 귀국하면서 인원이 부정확해졌다는 분석이 많다. 가짜 광복군 논란은 이들(토교대)을 비롯, 비호대와 3지대 등에서 주로 불거지고 있다.[32]

박정희처럼 고등교육을 받은 일본군 장교는 “(세력 확장을 위해) 일본군 출신 조선인들을 광복군에 적극 편입한다”는 한국독립당의 방침에 따라 광복군에 적극 편입됐다. 염인호 서울시립대 교수(사학)가 쓴 논문 ‘해방 후 한국독립당의 중국 관내지방에서의 광복군 확군활동’을 보면, ‘박정희처럼 해방 이후 확군된 병사의 수는 베이징 1,300여명, 난징 800여명, 상하이 1,300여명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33]

광복군 출신의 한 인사는 “가짜 논쟁에서 가장 많이 거론되는 사람들은 광복군 3지대 출신”이라고 말했다. 총사령부가 있는 충칭에 있었던 1지대나 시안에 거점을 둔 2지대와 달리 3지대는 본부에서 멀리 떨어진 안후이성 푸양에 본부를 둬 본부의 직접 통제가 어려웠다. 광복회 간부 출신인 한 인사는 “서훈 초기에 광복군에 잠시라도 몸담았던 사람들이 너나 없이 3지대장이었던 김학규 장군에게 몰려가 서로 인우보증을 서가며 서훈을 받았다”며 “그런 사람들 가운데 가짜나 자격 미달자가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운현 전 <오마이뉴스> 편집국장은 김삼웅 독립기념관장과 함께 1992년 펴낸 <친일파2>에서 “(전두환) 국보위 시절 정부는 독립유공자들 가운데 가짜가 많다는 진정서를 접수해 대상자 100여명을 조사했는데, 40여명이 가짜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적었다. 독립유공자 포상 초기인 1960년대 “백지가 나돈 적이 있다”는 것은 독립유공자들 사이에 공공연한 비밀이라고 광복회 간부를 지낸 한 인사가 귀띔했다. 자주 거론되는 부대는 △광복군 3지대 △토교대 △광복군 1지대 3구대(비호대) 등이다.[34]

가짜 독립유공자가 많다는 지적은 1990년대부터 꾸준히 제기돼 왔다. 중국 국민당 정부에서 한국광복군 지원 업무를 맡았던 왕지셴 전 상교(대령)는 1994년 월간지 ‘말’과의 인터뷰에서 “일본군에 있던 한국인 91명이 ‘비호대’란 단체를 결성해 중국군 9전구(후난성 소재) 사령관을 돕고자 항일전투에 참가했다던데 사실인가”라고 묻자 “비호대란 단체는 들어본 적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나 같은 정보장교도 9전구 사령관을 만나기 힘들었다. 한국광복군 중에서는 만난 이가 거의 없다”면서 “비호대 조직설은 거의 상상에 가까운 이야기”라고 강조했다. 일부 한국인이 검증되지 않은 단체 이름을 지어내 독립유공자 행세를 해왔음을 추론할 수 있다.

왕 전 상교는 한국에서 가짜 독립투사가 대거 등장한 이유로 1945년 해방 뒤 일본군에서 활동하던 한국인이 광복군으로 들어가 ‘신분 세탁’에 나섰기 때문으로 봤다. 광복군 출신 독립운동가이자 민주화운동가인 장준하(1918~1975)의 장남 호권(광복회 서울지부장)씨도 엉터리 독립유공자의 유래를 사이비 광복군(해방 후 광복군)에서 찾는다. 일본군이었다가 해방 뒤 거처를 마련하지 못하고 떠돌던 이들 상당수가 귀국해서 광복군 노릇을 했다고 주장한다는 것이다.[35][36]

구성원

지도자

한국광복군의 지도자는 다음과 같다.

주요 인물

한국광복군 출신의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 이범석 (李範奭, 1900년 10월 20일 ~ 1972년 5월 11일) : 1919년 3.1운동 직후 만주에서 신흥무관학교북로군정서 등에서 항일 독립운동을 했으며, 1920년 김좌진, 홍범도 등과 함께 청산리 전투를 이끌어 대승을 거두었다. 1933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합류하였고, 1940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산하의 한국광복군을 창설하고 육군소장에 임명되었다. 1945년 8월 18일 일본 패망 소식을 듣고 미군 비행기로 김포공항에 입국했으나 일본군에서 저지당하여 다시 상하이로 되돌아갔다. 1946년 귀국하여 미군정의 지원을 받아 조선민족청년단(약칭 족청)을 창설했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국회에서 초대 국무총리로 선출되었으며 초대 국방부 장관을 겸직하였다.
  • 안춘생 (安椿生, 1912년 8월 12일 ~ 2011년 1월 26일) : 안중근 의사의 5촌 조카로서, 한국 광복군 제2지대 제1구대장으로 활동했다. 해방 후 대한민국 육군 중장을 지냈고, 국회의원 및 제1, 2대 독립기념관 관장을 지냈다.
  • 장준하 (張俊河, 1918년 8월 27일 ~ 1975년 8월 17일) : 1944년 1월 일본군에 자원 입대하였으나 7월에 탈출한 후 중국군 준위로 활동했다. 이듬 해인 1945년 2월 중국 충칭에 있는 한국광복군을 찾아가 소위로 복무하였다. 이후 미국 CIA의 전신인 전략첩보대(OSS)에서 활동하면서 3개월간 국내 진공작전에 가담하여 국내 밀파 특수공작원으로 대기 하던 중 1945년 해방을 맞아 임정 제1진으로 귀국하였다. 이후 김구의 비서로 일했고, 《사상계》를 창간하였다. 1975년 박정희 정권에 대항하는 거사를 준비하던 중 의문사를 당했다.
  • 김준엽 (金俊燁, 1920년 8월 26일 ~ 2011년 6월 7일) : 일제강점기학도병으로 강제 징집되었으나 1942년 2월 탈출해 광복군에 합류한 학병탈출 1호였다. 1945년 해방 후 고려대학교 교수가 되었다. 1982년 고려대 총장이 되었으나, 시위학생을 제적하라는 전두환 군사독재 정권의 요구에 맞서다가 1985년 총장직에서 사임을 당했다. 1987년 6.10 민주화 운동 이후 개정된 9차 헌법 전문에 대한민국 정부가 임시정부를 계승하였다는 문장을 삽입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우당 이회영의 손자 이종찬을 통해 '임시정부 법통 계승'을 관철했다.

계급 체계

한국 광복군의 경우 계급 체계는 상당 부분 대한제국군에서 따왔다.

계급 견장
장관(將官) 정장(대장)(正將)
부장(중장)(副將)
참장(소장)(參將)
영관(領官) 정령(대령)(正領)
부령(중령)(副領)
참령(소령)(參領)
위관(尉官) 정위(대위)(正尉)
부위(중위)(副尉)
참위(소위)(參尉)
준위(准尉)
하사관(下士官) 복무정사(원사)(元士)
정사(상사)(正士)
부사(중사)(副士)
참사(하사)(參士)
병사(兵士) 상등병(上等兵)
일등병(一等兵)
이등병(二等兵)

같이 보기

각주

  1. 리처드 로빈슨, 미국의 배반:미군정과 남조선 (정미옥 역, 과학과 사상, 1988) 72페이지
  2. 독립기념관 시어록비 - 광복군[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3. “‘ 짝퉁 광복군 ’ 수두룩하다”. 한겨레21. 2005.06.24. 
  4.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일조각, 2006), 76쪽
  5. United States Depatment of State,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42, Vol 1(Washington, D.C: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42) p 858
  6. 어제의 오늘: 중국 충칭에서 광복군 창건 경향신문
  7.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일조각, 2006) 81페이지
  8. 이현희, 《대한민국임시정부사》(일조각, 1982) 343~345페이지
  9. 이현희, 《대한민국임시정부사》(일조각, 1982) 344페이지
  10.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일조각, 2006) 82페이지
  11.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일조각, 2006) 75~76페이지
  12. 해방후 입대해도 광복군?…건국훈장까지 받아 Archived 2007년 9월 26일 - 웨이백 머신 노컷뉴스 2006-10-22
  13. “‘ 짝퉁 광복군 ’ 수두룩하다”. 한겨레21. 2005.06.24. 
  14. “‘ 짝퉁 광복군 ’ 수두룩하다”. 한겨레21. 2005.06.24. 
  15. 장준하(민족주의자의 길)(박경수, 돌베개, 2006) 165 페이지
  16. 장준하전집 1 : 돌베개(장준하, 세계사, 2001) 94~95페이지
  17. “[정정당담]잘못된 독립유공 포상 사례 셋”. 경남도민일보. 2018년 10월 22일. 
  18. “‘ 짝퉁 광복군 ’ 수두룩하다”. 한겨레21. 2005.06.24. 
  19. “기회주의 청년 박정희!”. 한겨레21. 2002.10.23. 
  20. "조선인부대 말만 믿고 입대…민간인 학살說은 사실무근". 세계일보. 2006.08.08. 
  21. "박정희 비밀광복군?…허무맹랑한 소설 이야기". 노컷뉴스. 2015.10.23. 
  22. “[박정희 인물평전 20회] 일제패망 후 광복군 중대장”. 2018.01.06. 
  23. “만주군 중위 박정희, '비밀광복군' 둔갑”. 세계일보. 2006.08.10. 
  24. “[원희복의 인물탐구]임정기념관건립위원장 이종찬 “이승만부터 김원봉까지 다 아우르겠다””. 경향신문. 2018.03.18. 
  25. “박정희 광복군편입은 허위날조”. 김홍신 홈페이지. 2004년 8월 29일. 2020년 9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6일에 확인함. 
  26. “만주군 중위 박정희, '비밀광복군' 둔갑”. 세계일보. 2006.08.10. 
  27. “중위 진급 한달 뒤 일제패망에 낙담 해방 이듬해 패잔병 몰골 귀국선 타”. 오마이뉴스. 2004.08.24. 
  28. “‘ 짝퉁 광복군 ’ 수두룩하다”. 한겨레21. 2005.06.24. 
  29. “‘ 짝퉁 광복군 ’ 수두룩하다”. 한겨레21. 2005.06.24. 
  30. 엉터리 광복군 많다 SBS 뉴스 2005-03-01
  31. “‘ 짝퉁 광복군 ’ 수두룩하다”. 한겨레21. 2005.06.24. 
  32. 가짜 독립운동가 판친다? 광복군 1지대원 김득명씨 “가짜 광복군 많다” 폭로 Archived 2019년 8월 4일 - 웨이백 머신 민중의 소리 2005-07-04 09
  33. “‘ 짝퉁 광복군 ’ 수두룩하다”. 한겨레21. 2005.06.24. 
  34. “‘ 짝퉁 광복군 ’ 수두룩하다”. 한겨레21. 2005.06.24. 
  35. “가짜가 숨진 독립군 행적 도용 유공 혜택… 보훈처 색출 소극적”. 서울신문. 2019.07.18. 
  36. '훈장'이 뭐길래... 가짜 독립운동가 비석까지 세운 사람들”. 오마이뉴스. 2019.05.17. 

참고 자료

  • 김구, 《백범일지》 (도진순 주해, 돌베개, 2006)
  • 장준하 (민족주의자의 길)(박경수, 돌베개, 2006
  • 신용하, 《백범 김구의 사상과 독립운동》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 리처드 로빈슨, 미국의 배반:미군정과 남조선 (정미옥 역, 과학과 사상, 1988)
  • 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일조각, 2006)
  • 장준하, 장준하전집 1 : 돌베개(세계사, 2001)
  • 브루스 커밍스, 일월총서 71 한국전쟁의 기원(김자동 역, 일월서각, 1986)

Read other articles:

No debe confundirse con Juan de Henao. Juan I de Henao y II de Holanda Juan I de Henao en un grabado del siglo XVI Conde de Henao 1280 – 1304Predecesor Margarita de ConstantinoplaSucesor Guillermo I de HenaoConde de Holanda 1299 - 1304Predecesor Juan I de HolandaSucesor Guillermo I de HenaoInformación personalNacimiento hacia 1248Fallecimiento 22 de agosto de 1304ValenciennesFamiliaCasa real Casa de AvesnesPadre Juan I de AvesnesMadre Adelaida de HolandaConsorte Felipa de Luxemburgo&#...

 

 Vuelta a España 2013PercorsoEdizione68ª Data24 agosto - 15 settembre PartenzaVilanova de Arousa ArrivoMadrid Percorso3 358,9 km, 21 tappe Valida perUCI World Tour 2013 Classifica finalePrimo Chris Horner Secondo Vincenzo Nibali Terzo Alejandro Valverde Classifiche minoriPunti Alejandro Valverde Montagna Nicolas Edet Combinata Chris Horner Cronologia Edizione precedenteEdizione successiva Vuelta a España 2012Vuelta a España 2014 Manuale La Vuelta a España 2013, s...

 

يفتقر محتوى هذه المقالة إلى الاستشهاد بمصادر. فضلاً، ساهم في تطوير هذه المقالة من خلال إضافة مصادر موثوق بها. أي معلومات غير موثقة يمكن التشكيك بها وإزالتها. (ديسمبر 2018) تجمع العراقيب  - قرية -  تقسيم إداري البلد  اليمن المحافظة محافظة أبين المديرية مديرية أحور ال

У Вікіпедії є статті про інші значення цього терміна: Кимп. село КимпCâmp Країна  Румунія Повіт  Біхор Місто Вашкеу Код SIRUTA 27025 Поштові індекси 415801 Телефонний код +40 259 (Romtelecom, TR)+40 359 (інші оператори) Координати 46°28′12″ пн. ш. 22°26′45″ сх. д.H G O Висота 441 м.н.р.м. Нас...

 

присілок Лобановка рос. Лобановкаерз. Лобановка Країна  Росія Суб'єкт Російської Федерації Мордовія Муніципальний район Єльниківський район Поселення Великомордовсько-Пошатське Код ЗКАТУ: 89218810003 Код ЗКТМО: 89618410111 Основні дані Населення 70 осіб (2010[1]) Поштовий індек

 

Governor of The Turks and Caicos IslandsFlag of the governor of the Turks and Caicos IslandsIncumbentDileeni Daniel-Selvaratnamsince 29 June 2023ViceroyStyleHer ExcellencyAppointerCharles III as King of the United KingdomTerm lengthAt His Majesty's pleasureFormation1973First holderAlexander Graham Mitchell Politics of the Turks and Caicos Islands Constitution Monarchy Sovereign Charles III Governor Dileeni Daniel-Selvaratnam Deputy Governor of the Turks and Caicos Islands Anya Williams E...

American television writer and producer (born 1961) Al JeanJean in 2010BornAlfred Ernest Jean III (1961-01-09) January 9, 1961 (age 62)Detroit, Michigan, U.S.OccupationWriter, producerAlma materHarvard UniversitySpouse Stephanie Gillis ​(m. 2002)​Children2 Alfred Ernest Jean III (born January 9, 1961) is an American screenwriter and producer.[1] Jean is well known for his work on The Simpsons. He was raised near Detroit, Michigan, and graduated f...

 

Laura Bell BundyBundy in April 2010LahirLaura Ashley Bell Bundy10 April 1981 (umur 42)Lexington KentuckyNama lainLaura Bell,Laura BundyPekerjaanActress, singer, dancer, songwriterTahun aktif1990–presentOrang tuaDon Bundy and Lorna Bell Bundy-JonesSitus webhttp://laurabellbundy.com Laura Ashley Bell Bundy (lahir 10 April 1981) adalah seorang aktris dan penyanyi Amerika yang telah tampil di sejumlah peran Broadway, baik dibintangi dan pendukung, serta televisi dan film. Peranny...

 

Burung kenanga Metopidius indicus Bronze-winged jacanacallsStatus konservasiRisiko rendahIUCN22693547 TaksonomiKerajaanAnimaliaFilumChordataKelasAvesOrdoCharadriiformesFamiliJacanidaeGenusMetopidiusSpesiesMetopidius indicus Latham, 1790 Tata namaSinonim taksonParra indica protonymParra aenea CuvierDistribusi lbs Burung kenanga ( Metopidius indicus ) adalah burung perandai dalam keluarga Jacanidae . Ia dijumpai di Asia Selatan dan Tenggara dan merupakan satu-satunya spesies dalam genus Metopid...

Welsh actor Richard Corgan Richard Corgan is a Welsh actor. He was born and brought up in Cwmtwrch in January 1978. He went to Maesydderwen school, and later to Gorseinon College, Aberystwyth University and The Bristol Old Vic Theatre School. Corgan's television roles include the recurring character Dafydd Dav Llewellyn in BBC One's Doctors and a leading role in two series of the BBC Wales drama Baker Boys. He has also appeared in the BBC programmes Casualty,[1] Caught in the Web, and...

 

French painter You can help expand this article with text translated from the corresponding article in French. (June 2016) Click [show] for important translation instructions. Machine translation, like DeepL or Google Translate, is a useful starting point for translations, but translators must revise errors as necessary and confirm that the translation is accurate, rather than simply copy-pasting machine-translated text into the English Wikipedia. Consider adding a topic to this template...

 

Fictional character in The Chronicles of Narnia This article includes a list of general references, but it lacks sufficient corresponding inline citations. Please help to improve this article by introducing more precise citations. (May 2016) (Learn how and when to remove this template message) Fictional character Prince CaspianNarnia characterBen Barnes as Prince Caspian in The Chronicles of Narnia: Prince CaspianIn-universe informationAlias Caspian X Caspian the Seafarer Caspian the Navigato...

University in Milton Keynes, England This article is about the UK university. For other institutions with similar names, see List of open universities. For the general concept, see Open university. For other uses of the term, see Open university (disambiguation). The Open UniversityCoat of arms of The Open UniversityMottoLearn and LiveTypePublic, distance education universityEstablished1969FoundersHarold Wilson[1]Jennie Lee[1]Walter Perry[1]Peter Venables[1]Bud...

 

Existen desacuerdos sobre la neutralidad en el punto de vista de la versión actual de este artículo o sección.En la página de discusión puedes consultar el debate al respecto. Guerra de independencia de Grecia Parte de historia del Imperio otomano e historia de Grecia En el sentido de las agujas del reloj: el campamento de Georgios Karaiskakis en Phaliro, la quema de una fragata otomana por un brulote griego, la Batalla de Navarino e Ibrahim Pasha de Egipto en el Tercer Asedio de Missolo...

 

Suécia Alcunhas?  Blågult (Azul e Amarelo)Tre Kronor (As Três Coroas) Associação Svenska Fotbollförbundet Confederação UEFA (Europa) Material desportivo?  Adidas Treinador Jan Andersson Capitão Victor Lindelöf Mais participações Anders Svensson (148) Melhor marcador?  Zlatan Ibrahimović (62) Uniformetitular Uniformealternativo FIFA Código SWE Ranking 22[1] Melhor colocação 2 (novembro de 1994)[1] Pior colocação 45 (março, outubro e novembro de 2015; março de...

Chonan language spoken by the Selk'nam people OnaSelk'namNative toArgentina, ChileRegionPatagonia, Tierra del Fuego.EthnicitySelk'namExtinct1970s (is being revitalised by the modern community)[1]Language familyChonan † Chon proper †Island Chon †OnaWriting systemLatin scriptLanguage codesISO 639-3onaGlottologonaa1245ELPOna Ona, also known as Selk'nam (Shelknam), is a language spoken by the Selk'nam people in Isla Grande de Tierra del Fuego in southernmost South America. Part...

 

Glam metalMötley Crüe tampil live pada tahun 2012, dari kiri ke kanan: Vince Neil, Nikki Sixx (latar belakang), Tommy Lee (latar depan), Mick MarsNama lain Hair metal Pop metal Lite metal Sumber aliran Heavy metal hard rock pop pop rock arena rock glam rock glam punk[1][2][3] Sumber kebudayaanakhir 1970-an dan awal 1980-an Los Angeles dan New YorkVersi regional Australia Amerika Serikat Britania Raya Eropa Irlandia Swedia Norwegia Finlandia Jepang Hongkong Topik lain...

 

This article has multiple issues. Please help improve it or discuss these issues on the talk page. (Learn how and when to remove these template messages) This article relies largely or entirely on a single source. Relevant discussion may be found on the talk page. Please help improve this article by introducing citations to additional sources.Find sources: Cone-saturated – news · newspapers · books · scholar · JSTOR (June 2020)This article includes a l...

تاتسيكي جيناي (باليابانية: 仁内建之)‏  معلومات شخصية الميلاد 21 مارس 1933(1933-03-21)أوبيهيرو، هوكايدو تاريخ الوفاة 12 أبريل 2000 (67 سنة) مواطنة اليابان  الحياة العملية المدرسة الأم جامعة نيهون المهنة مؤدي صوت،  وممثل  المواقع IMDB صفحته على IMDB  تعديل مصدري - تعديل   تاتسيُك...

 

From the 7th to 3rd Century BC, the Scythian people of the Pontic–Caspian steppe engaged in the widespread practice of metallurgy. Though Scythian society was heavily based around a nomadic, mobile lifestyle, the culture was capable of practicing metallurgy and of producing metal objects. Many works of Scythian metalworking have subsequently been found throughout the range of the people. Iron Scythian acinaces from the 7th-5th century BC Description Scythian comb dated to the 4th Century BC...

 

Strategi Solo vs Squad di Free Fire: Cara Menang Muda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