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계 과보의 마음(팔리어: rūpāvacara-vipākacittāni 루-빠-와짜라 위빠-까 찟따-니, 영어: fine-material-sphere resultant consciousness)은 특히 상좌부의 교학과 아비담마 그리고 수행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과거 생의 색계 유익한 마음 5가지에 의해 쌓인 업의 결과로서 현생에서 받는 총체적 과보로서, 색계에 태어난 유정 즉 색계의 천(天)과 함께하는, 무탐·무진·무치의 3선근을 모두 동반하는 다음 5가지 마음을 말한다.[1][2] 이 5가지 색계 마음은 초선·제2선·제3선·제4선의 4선 또는 4선정 체계가 아닌 초선·제2선·제3선·제4선·제5선의 5선 또는 5선정 체계에 따른 것이다.
일으킨 생각 · 지속적 고찰 · 희열 · 행복 · 집중이 함께하는 초선의 과보의 마음
지속적 고찰 · 희열 · 행복 · 집중이 함께하는 제2선의 과보의 마음
희열 · 행복 · 집중이 함께하는 제3선의 과보의 마음
행복 · 집중이 함께하는 제4선의 과보의 마음
평온 · 집중이 함께하는 제5선의 과보의 마음
위의 각각의 항목에서 '지혜와 함께한다'는 표현이 없지만 욕계에서 색계초선으로, 즉, 더 상위의 계로 태어나기 위해서는 지혜(인과에 대한 이해와 그 이해에 의거한 노력)가 없이는 불가능하다. 욕계를 제외한 모든 계 즉 색계·무색계·출세간의 마음은 무탐·무진·무치의 3선근 모두와 함께한다.[3]
탐욕(貪欲) ·진에(瞋恚) ·혼면(惛眠) ·도회(掉悔) ·의(疑)의 5개(五蓋)를 세분하면 욕계 · 색계 · 무색계의 5개로 나뉜다. 이 중에서 진에 즉 진 즉 성냄은 오직 욕계에만 있다. 따라서, 5개는 욕계의 번뇌로서의 5개인 탐욕 · 진에 · 혼면 · 도회 · 의 5가지 번뇌와 색계의 번뇌로서의 5개인 탐욕 · 혼면 · 도회 · 의의 4가지 번뇌와 무색계의 번뇌로서의 5개인 탐욕 · 혼면 · 도회 · 의의 4가지 번뇌로 나뉜다.
색계 과보의 마음, 즉, '색계에 태어나는 유정과 선천적으로 함께하는 마음'은 전생에서 선정력을 개발하여 욕계의 번뇌로서의 5개를 조복(단멸이 아님)한 유정들이 가지는 마음이다. 즉, 현생에서 선정력을 개발하여 초선에 드는 것이 언제나 가능하게 된 상태일 때 다음 생에서 색계초선천에 태어난다. 그리고 5선의 나머지 4가지 선정은 초선에 든 후 순차적으로 획득된다. 그러므로, 색계 과보의 마음 5가지를 획득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 즉, 색계에 태어날 수 있는 최소한의 조건이란 초선이 언제나 가능한 상태이다. 즉, 욕계의 번뇌로서의 5개가 언제나 조복되는 상태이다. 이 상태는, 달리 말하면, 초선천이라는 세계와 언제나 상응할 수 있는 마음 상태를 말한다. 말하자면, 우리가 욕계에 있는 이유 또는 욕계에 태어난 이유는 욕계라는 세계와 언제나 상응할 수 있는 마음 상태에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초선은 호흡 관찰 수행(지식념·수식관) ·까시나 명상·4념처·4무량심 수행·간화선·염불선 등의 수행을 통해 욕계의 번뇌로서의 5개를 일시적으로 또는 언제나 조복한 상태일 때 그 동일한 수행을 통해 일시적으로 또는 언제나 초선에 들 수 있다. 그리고 사후에 색계 초선천에 태어나는 것은 이들 수행을 통해 욕계의 번뇌로서의 5개를 영원히 조복한 상태일 때, 즉, 초선에 드는 것이 언제나 가능한 상태일 때, 즉, 초선을 성취(획득이 아니라 성취임, 즉, 획득한 것을 상실하지 않는 상태임)한 상태일 때이다. 마찬가지로, 5선의 체계에 의거할 때, 이들 수행을 통해 제2선·제3선·제4선·제5선이 성취된 상태에서 죽었을 때 다음 생에서 그 성취된 선정력과 매치되는 색계 초선천·제2선천·제3선천·제4선천에 태어난다.
한편, 무루의 지혜, 즉, 무분별지의 반야로 욕계의 번뇌로서의 5개를 완전히 단멸(조복이 아님)한 상태가 성문4과 중 제3과인 아나함(불환)의 상태이다. 따라서 아나함은 사후에 색계에 태어나는데, 특히 이들이 태어나는 곳은 4선 또는 5선을 성취했을 뿐 출세간(즉, 여기서는 성문4과 중 제3과)을 성취하지 못한 유정들이 태어나는 곳과는 다른, 훨씬 청정한 곳인 색계의 5정거천이다.
1. First jhāna resultant consciousness together with initial application, sustained
application, zest, happiness, and one-pointedness.
2. Second jhāna resultant consciousness together with sustained application, zest,
happiness, and one-pointedness.
3. Third jhāna resultant consciousness together with zest, happiness, and onepointedness.
4. Fourth jhāna resultant consciousness together with happiness and one-pointedness.
5. Fifth jhāna resultant consciousness together with equanimity and one-pointedness.
These are the five types of fine-material-sphere resultant consciousness.
↑Bhikkhu Bodhi & Allan R. Bomhard (2007). 《A Comprehensive Manual of Abhidhamma》. Charleston Buddhist Fellowship. p.35.
Guide to §§18—20
Fine-material-sphere consciousness (rūpāvacaracittāni): This sphere of
consciousness includes all the cittas that “move about in” or pertain to the fine-material
plane of existence (rūpabhūmi), the realms in which gross matter is absent and only a
subtle residue of matter remains. Rebirth into these realms is achieved by the attainment
of the meditative states called jhānas,34 high attainments in the development of
concentration (samādhi). The states of consciousness that “frequent” this plane,
inasmuch as they are qualitatively connected to it, are called “fine-material-sphere
consciousness.”
Fifteen cittas fall into this category — five wholesome, five resultants, and five
functional. The wholesome fine-material-sphere cittas are experienced by worldlings
(puthujjana) and trainees (sekha) who develop the jhānas within this life itself. Their
corresponding results (vipāka) arise only in the fine-material world, in the beings who
have been reborn there as a consequence of developing the jhānas. The five functional
(kiriya / kriyā) jhāna cittas are experienced only by Arahants who attain the jhānas.
34 Sometimes also called rūpajjhānas, “fine-material absorptions,” to distinguish them from the
arūpajjhānas which follow.
↑Bhikkhu Bodhi & Allan R. Bomhard (2007). 《A Comprehensive Manual of Abhidhamma》. Charleston Buddhist Fellowship. p.51.
Guide to §21 The five jhānas become of fifteen types by occurring as wholesome cittas, as
resultants, and as functionals. Each jhāna citta of the same level is defined by the same
set of factors, whether wholesome (kusala), resultant (vipāka), or functional (kiriya /
kriyā). All cittas of the fine-material sphere (rūpāvacara) are associated with knowledge
(ñāṇasampayutta), though knowledge, not being a specific jhāna factor, is not mentioned
in the formulas. Thus, all the fine-material-sphere cittas have three roots: (1) non-greed
(alobha); (2) non-hatred (adosa); and (3) non-delusion (amoha).
↑Bhikkhu Bodhi & Allan R. Bomhard (2007). 《A Comprehensive Manual of Abhidhamma》. Charleston Buddhist Fellowship. p.50.
According to the Suttanta method, which enumerates four jhānas of the fine-material
sphere, the first jhāna is identical in all respects with the first jhāna of the
Abhidhamma method. However, the second jhāna of the Suttanta method is attained by
the simultaneous subsiding of initial application (vitakka) and sustained application
(vicāra), and, thus, has only the three jhāna factors of zest (pīti), happiness (sukha), and
one-pointedness (ekaggatā), like the third jhāna of the Abhidhamma method. The third
jhāna of the Suttanta method has the two factors of happiness and one-pointedness, the
fourth jhāna the two factors of equanimity (that is, neutral feeling) and one-pointedness.
These two jhānas are equivalent to the fourth and fifth jhānas, respectively, of the
Abhidhamma method.
Although the Suttas do not mention the fivefold analysis of jhāna in explicit
terms, they provide an implicit basis for this analysis in the Buddha’s distinction between
three kinds of concentration: (1) concentration accompanied by both initial application
and sustained application (savitakka savicāra samādhi 有尋有伺三摩地 = 有覺有觀三昧); (2) concentration without initial
application but with sustained application (avitakka vicāramatta samādhi 無尋唯伺三摩地 = 無覺有觀三昧; and (3)
concentration with neither initial application nor sustained application (avitakka avicāra
samādhi 無尋無伺三摩地 = 無覺無觀三昧 (Majjhima Nikāya 128/iii, 162). The first is obviously the first jhāna in both
systems, and the third is the second and higher jhānas of the Suttanta method and the
third and higher jhānas of the Abhidhamma method. The second, however, is nowhere
clarified within the Suttas themselves and only becomes intelligible as the second jhāna
of the Abhidhamma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