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한글・조선글
원래 이름 훈민정음(訓民正音)
유형 음소문자
표기 언어 한국어, 제주어, 찌아찌아어(비공식)
사용 시기 1446년 ~ 현재
창제자 세종

한글 또는 조선글한국어의 공식 문자로서, 세종대왕이 한국어를 표기하기 위하여 창제한 문자인 '훈민정음'(訓民正音)을 20세기 초반 이후 달리 이르는 명칭이다.[1][2]

한글이란 이름은 주시경 선생과 국어연구학회 회원들에 의해 지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3][4][5][6] 그 뜻은 '으뜸이 되는 큰글', '오직 하나뿐인 큰글', '한국인의 글자'이다.[3][7] 한글의 또 다른 별칭으로는 정음(正音), 언문(諺文)[8], 언서(諺書), 반절(反切), 암클, 아햇글, 가갸글, 국문(國文)[9] 등이 있다.[2]

음소문자인 한글은 홀소리(모음)와 닿소리(자음) 모두 소리틀을 본떠 만들었으며[10] 창제된 초기에는 닿소리 17개에 홀소리 11개, 총 28개였으나, 점차 4자(ㅿ, ㆁ, ㆆ, ㆍ)를 사용하지 않게 되어 현재는 홀소리 10자, 닿소리 14자만 쓰고 있다. 한글은 표음문자(소리글자)이자 자질문자로서 표의문자한자에 비해서 배우기 쉽고 읽고 쓰기가 편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선글'이라 부른다.

한글(훈민정음)은 창제된 이후 약 450년 동안 많은 시련을 겪었다. 조선의 선비들은 한글을 무시하고 홀대했으며 연산군은 한글 사용을 탄압하기도 했다.[11][12][13] 조선의 공식문자는 여전히 한자였으며, 갑오개혁이 단행된 1894년이 되어서야 형식적이나마 제1공용문자의 지위를 획득했다. 이후 일제강점기에는 일제에 의해 조선어학회 사건(1942)이 조작되는 등 일제는 한국어와 한글 사용을 금지하는 민족정신 말살정책을 펼쳐졌다. 그러나 이런 어려움 속에서도 주시경, 최현배 등 많은 선각자들이 한글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한글의 우수성을 알리고 널리 보급하려는 노력은 꾸준히 이어졌다.

1908년 국어연구학회가 창립된 이래 여러 시련에도 불구하고 한글연구의 명맥은 꾸준히 이어졌으며, 한글날 제정, 사전편찬, 맞춤법 제정 등 많은 성과들을 일구어냈다. 광복후 '조선어학회'가 활동을 재개하였고 1949년에 '한글학회'로 개칭되면서 한글 표준화 사업등 많은 노력이 있었다. 그 결과 한글은 한국어를 표기하는 국어로서의 위상을 지키게 되었다.

역사

창제 이전

한국은 삼국 시대부터 이두(吏讀)와 구결(口訣)을 써 왔다. 구결은 본래 한문에 구두(句讀)를 떼는 데 쓰기 위한 일종의 보조 편법에 지나지 않았고, 이두는 비록 한국어를 표기하는데 사용되었지만 한국어를 자신의 자유자재로 적을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그 표기법의 일원성(一元性)이 없어서 설사 이두로써 족하다 해도 한자교육이 선행되어야 했다. 이러한 문자 생활의 불편은 배우고 사용하기 쉬운 새로운 글자의 출현을 절실히 요구하고 있었다.

한글 창제

창제 이유

이러한 사조가 세종 때에 특히 두드러져 드디어 1443년 음력 12월에 문자 혁명의 결실을 보게 되었다.[14] 훈민정음 창제 취지는 세종이 손수 저술한 《훈민정음 해례본》 예의편(例義篇) 첫머리에 잘 나타나 있다. 한국어는 중국 말과 다르므로 한자를 가지고는 제대로 표기하기 어렵고 우리는 고유한 글자가 없어서 문자 생활의 불편이 매우 심했다.

‘훈민정음’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으로[15], 세종의 어제 서문과 정인지 서(序)에서 분명히 밝히고 있는바, 당시까지 한문 의존에 따른 어려움을 근본부터 극복하기 위해 한국어의 고유 문자로서 창제되었다.

한편 훈민정음(이하 한글) 창제 5년 뒤에 《동국정운(東國正韻)》이 간행되는데,[16] 당시 조선에서 통용되던 한자음을 중국어 원음으로 교정후 통일하기 위한 책으로서,[17] 한글을 사용하여 이 책에 수록된 한자의 발음을 표기하였다. 따라서 세종의 한글 창제의 목적이 한자 및 한문의 폐지를 위한 것은 아니라고 보이며, 한글의 활용 범위가 상당히 넓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신하들의 반대

집현전 부제학 최만리는 신석조, 김문, 하위지, 송처검, 조근, 정창손과 함께 1444년 2월 20일에 연명상소(갑자상소)를[18] 올려 한글 반포를 반대했다.[19] 이들은 새로운 문자를 제작, 보급하는 일은 사대의 관례에 어긋나는 일로 오랑캐의 소행에 해당하며, 한글이란 시골촌부나 사용할만한 상스러운 문자이고, 이두와는 달리 출세에만 급급한 벼슬아치들을 양산하여 학문의 발전을 쇠퇴시킬것이고, 한글사용은 가벼운 재주를 부리는 것과 같아 정치에도 무익하고, 억울한 옥살이의 원인은 문맹(文盲)이 아니라 관리의 공정성에 있으며, 새로운 문자사용이란 널리 의논하고 매우 신중하고 거듭 신중해야 하는일이라 등등의 주장을 펼치며 반대했다.[19]

이에 대해 세종은 이두와 한글의 사용은 모두 백성을 이롭게 한다는 점에서 동일하다고 반박했고, 언어학와 음운학을 거론하며 이들의 주장을 모두 물리쳤다. 그러나 세종의 반박과 설득에도 불구하고 최만리를 비롯한 연명상소를 올린 7명이 지속적인 반대가 극심하자 세종은 정창손을 파직시킴[20]과 동시에 7명 전원을 의금부에 하루동안 가두어 버렸다.[19] 하옥된 7명은 다음날 석방되었으나 최만리는 이내 벼슬에서 물러난후 낙향하였다.[21] 다만 김문(金汶)은 석방된후 곤장 100대를 맞았는데[22] 이는 한글 반포에 대해 찬성하던 기존 입장을 번복하여 반대했음에 대한 처결이었다.

정찬손이 파직된 것은 세종의 뜻을 정면으로 거슬렀기 때문이다. 세종은 지난 1428년에 발생하여 충격을 준 패륜범죄[23]의 재발을 막고자, 배우고 사용하기 쉬운 한글을 보급한후, 과거에 편찬했던 <삼강행실도>를 한글로 번역, 베포하여 백성들을 교화하고 계몽하고자 했다. 그러나 정창손은 과거에 <삼강행실도>를 베포했음에도 불구하고 큰 변화가 없었음을 거론하며, 삼강행실(三綱行實)의 실천 여부는 개인의 성품과 자질에 따른 문제이지 쉬운 문자로 쓴 책을 보급한다하여 달라질게 없다고 하며 한글 사용을 반대했다.[24] 정창손의 발언은 유학적 가르침에 위배되는 것으로[25] 격노한 세종은 파직을 명했던 것이다.[19]

야비하고 상스러운 문자라는 등의 표현을 사용하며 반대하는 것에 화가난 세종은 평소답지 않게 왕으로서의 권위를 내세워 강하게 대처하는 실수를 하고 말았다. 그러나 이런 강경책 덕분인지 이후로는 적극적으로 한글에 대해 반대하는 신하가 없었으며[26] 1446년 정식 반포 이후 단 한 건의 반대 상소도 남아 있지 않다.[27] 세종은 최만리를 비롯한 일부 학자들과 달리 혁신적인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었고 한글에 대한 자부심과 문자개혁 정책의 추진이 널리 백성들을 두루 이롭게 할 것이라는 신념이 있었다.[28] 따라서 대소신료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이들을 하옥해가면서까지 자신이 창제한 새로운 글자를 더욱 연구하며 한글반포 작업을 추진하였다.

한글 반포

훈민정음 언해》의 서두
용비어천가 권1 (1445년 편찬)

1446년 9월에 한글이 반포되었다.[29] 세종은 한글을 창제한후에 약 3년간 실제 궁중에서 한글을 직접 사용하면서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듬어 왔다. 성삼문, 신숙주, 최항, 정인지, 박팽년집현전 학자들에게 명하여 해설서인 『훈민정음 해례본(訓民正音 解例本)』을 발간하도록 했으며 1444년 2월에 최항과 박팽년에게 <고금운회거요>의 한글번역을 명했다.[30] 반포하기도 전에 <고금운회거요> 번역을 시켰다는 것은 이미 '한글'의 완성도는 매우 높았으며 새 문자에 대한 자신감이 있었다는 뜻으로 보인다.[31] 1445년(세종 27) 4월에는 한글을 처음으로 사용하여 악장(樂章)인 《용비어천가》를 편찬하고 1447년(세종 29) 5월에 간행하였다. 목판본 10권 5책 모두 125장에 달하는 서사시로서, 한글로 엮어진 책으로는 한국 최초의 것이 된다.

한글을 반포한후에는 하급 관리를 뽑을 때 한글을 시험 과목에 추가하였고,[32][33]삼강행실’과 같은 국가 윤리를 한글로 풀어 백성들에게 가르치도록 하였는데 이 두가지 사항을 조선 최고의 법전인 경국대전에 명문화하였다.[34] 사서(四書)를 한글로 번역하게했고[35] 백성들이 관가에 제출하는 서류를 한글로 작성토록 했으며 형률 적용 과정에서 그 내용을 한글로 번역하여 알려 주도록 했다. 궁중의 여인들에게 모두 한글을 익히도록 하고 세종 자신은 조정의 대신과 기관에 한글로 글을 내리기도 했다.[36] 이후로 민간과 조정의 일부 문서에서 한글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한글 보급 정책에 따라 한글은 점차 퍼져 나갔다.[37]

중국의 반응

1539년 중종때 주양우(朱良佑)라는 자가 한글을 중국인에게 가르쳐 준 사실이 발각되어 처벌을 받았다는 것으로[38] 보아 당대에는 새 문자 창제 사실을 중국에 적극적으로 알리지 않았던 것으로 보여진다.[39] 동국정운(1448)과 홍무정운역훈(1455)을 편찬하는등 여러사업을 진행했지만 세종은 한글 반포식을 거행하지 않았으며, 훗날 중국에 보내는 세종의 부고에도 훈민정음을 세종의 업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39] 새로운 문자 창제란 '문화적 독립'을 의미하는데,[40] 이는 약소국이었던 조선이 당대 동아시아의 패권국가인 중국을 무시하고 한자 중심 세계를 공개적으로 거부하는 행위에 해당한다. 외교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소지가 있어 조심스럽게 진행했던 것이다.

중국(명나라)은 조선의 새로운 문자 창제에 대해서 정치적으로나 학문적으로나 공식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39] 철저히 무시한 것이다. 명나라의 내정도 그리 편치만은 않았다. 1368년에 태조 주원장이 명(明)을 건국한 이래 3대 영락제에 이르러 국력이 크게 융성하였으나 1435년에 정통제가 9살의 어린나이에 즉위한후 점차 침제되기 시작했다.[41] 선대의 충신들이 사망하고 1442년에 섭정인 성효소황후 마저 죽자 환관 왕진이 권력을 잡고 전횡을 일삼으며 국정을 농단했다.[42] 1449년에 정통제가 직접 참전했다가 황제가 적국에 생포당하는 중국역사상 전례없는 사건이 벌어지기도 했다.[43] 정통제는 생환후 태상황이 되어 유폐된채 지내다가[43] 1457년에 쿠데타(탈문의 변)를 통해 복위하는 등에 일련의 사건들이 있었으며 이후의 황제들도 치세가 그리 순탄치만은 못했다.[41]

자모 낱자 명칭

훈민정음 제정 당시에 자모 낱자의 명칭을 무엇이라 했는지는 알 수 없다. <훈민정음 해례본>에는 이에 대한 언급이 없기 때문이다.[44] 문서나 교재를 통해 한글을 교육할때에는 개별 명칭이 굳이 필요없지만 말로 설명하고자 할때는 명칭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 특별히 언급한 당대의 문헌이 존재하지 않는다. 처음으로 자모 명칭에 대해 언급한 문헌은 1527년에 최세진이 쓴 《훈몽자회》이다.[45]

이 책은 아동들의 한자 공부를 위해 저술한 학습서인데 이 책의 말머리에 〈언문자모(諺文字母)〉란 제목 아래 한글자모에 관한 설명과 자모의 운용 원리에 대한 설명이 있으며, 한글 자모 낱자의 명칭을 한자의 음과 훈을 이용하여 달아놓았고 자모낱자의 순서등도 기록해놓았다. 자모 낱자의 명칭은 각 글자 밑에, 기역 其役, 니은 尼隱, 디귿 池○末, 리을 梨乙, 미음 眉音, 비읍 非邑, 시옷 時○衣, 이응 異凝”, “키 ○箕, 티 治, 피 皮, 지 之, 치 齒,  而, 이 伊, 히 屎”, “아 阿, 야 也, 어 於, 여 余, 오 吾, 요 要, 우 牛, 유 由, 으 應 不用終聲, 이 伊 只用中聲,  思 不用初聲”과 같이 표기되어 있다.[46]

최세진이 자모 낱자의 명칭과 자모의 순서를 처음으로 정한 것인지 아니면 전대로부터 전해 내려온 것을 정리한 것이지를 판단할 수 있는 어떠한 언급도 이 책에는 없다. 또한 한글 자모 낱자가 모두 27개라고 소개하고 있다. 그 사이에 문자 체계의 변화가 생겨서 '(여린히읗)'에 사용이 폐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아무튼 《훈몽자회》에 기록된 자모 낱자 명칭은 오늘날까지 그대로 사용되고 있다.[47]

한글의 수난

한글이 ‘훈민정음’이라는 이름으로 반포된 초기에는 '정음(正音)' 또는 '언문(諺文)'이라고도 불렸다.[48] '정음'은 훈민정음을 약칭한 것이고, '언문'이란 《세종실록》에서 '상친제언문이십팔자(上親製諺文二十八字)'라고 한 것에 비롯되었다. 그런데 당대의 양반들은 한자를 제외한 한글을 ‘언문’이라 칭하며 상것들이나 쓰는 글이라 하며 하대하였다.[49] 또한 한글을 '가짜글'이라는 의미를 부여하여 '언서(諺書)'라고 부르며 낮추어 보았는데, 이는 한자(漢字)를 진짜 글이라는 의미의 '진서(眞書)'라 부른데서 연유하였다.[50]

‘반절(反切)’이라는 말을 쓰기도 했는데, 중국 음운학의 반절법에서 초·중·종성을 따로 분리하는 방법을 쓰기 때문에, 정음이 초·중·종성을 분리하여 표기하는 점에서 이와 비슷하다고 보아 붙인 이름인 듯하다.[51] 그러나 일부에서는 '반토막 글'이라는 의미로 ‘반절(反切)’이라 하였다.[49] '암클'이라고도 불렸는데 소수에게 불린 명칭이며 이것은 여성이 쓰기 때문에 붙은 이름은 아니고 한글은 남성, 여성 모두 사용했으나 '암'은 여성이라는 뜻 말고도 부족하다라는 뜻도 있기 때문에 글을 배우지 못한 경우 쓰는 부족한 글씨 즉 '암클'로 불리기도 하였다.[출처 필요] 또한 아직 글을 배우지 못한 아이들이나 쓰는 글이라 하며 '아햇글'이라고 부르기도 했다.[9] 승려나 중인(中人)이하에서나 쓰는 글자라는 하대하는 뜻을 가진 '중글'은[52] 절의 승려들이 한글로 불경을 번역하고 신도들에게 교리 교육에도 사용하였다고 해서 비롯된 말이다.[53] '나랏글'이라는 의미의 '국문(國文)'으로 불린 것은 1894년 갑오개혁 때이나 일제강점으로 오래 가지 못했고 '한글'이라 불리게 된 것은 1910년 경부터이다.

이와 같이 한글이 반포된 이후 조선의 양반들은 한글 사용 자체를 반대하지는 않았으나 한글을 달갑게 생각하지 않았고 한자와 달리 얕잡아 보며 2류 문자 취급하면서 철저히 무시했다.[54] 이는 오랫동안 중국에 대한 사대주의에 젖어있었기 때문이다.[55] 지식인 사회로부터 홀대를 받은 한글은 주로 농서나 의서 같은 실용 서적을 번역하거나 불경을 번역, 편찬하는데 한정됐다. 사서삼경 언해본이 나왔지만 한문에 대한 기본 지식이 없는 백성에게는 여전히 어려웠고 과거 시험을 준비할 여유가 없는 이들이나 자격이 없던 평민들에게는 불필요한 책이었을 뿐이다. 고급 정보를 담은 책은 여전히 한문으로 간행되었다.

임금이 백성에게 내리는 글인 윤음을 한글로 펴내기도 했으나 한문 중심의 국가 정책이나 사회 분위기가 바뀐 건 아니었다. 조선 후기 실학자였던 정약용, 박지원, 박제가 등도 한글 사용을 외면하고 100% 한문으로만 저술을 남겼다. 특히 방대한 저술을 남긴 정약용은 가족과 주고받은 편지조차 한문만 사용했다. 실학자였던 이들조차 한자보다 실용적인 한글을 외면하고 한자를 우대하는 양반 사대부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다.[56]

양반들에 의해 우리글인 한글이 무시당하는 풍조는 19세기 후반까지 꾸준히 이어졌다. 육영공원배재학당의 교사로 활동하던 미국인 헐버트의 회고록에는, "조선인들은 위대한 문자인 한글을 무시하고 있으며[57] 사대부들에게 한글을 아느냐고 물으면 그들은 알고 있으면서도 입에 거품을 물고 모른다고 답했다."[58]고 적혀 있다. 또한 그는 1889년에 《사민필지》라는 우리나라 최초의 순한글 지리 교과서를 집필하였는데, 책의 서문에 "한글이 중국 글자에 비하여 크게 요긴하건만 사람들이 요긴한 줄도 알지 아니하고 업신여기니 어찌 아깝지 아니하리오"라고 썼다.[59][60] 이를 통해 당시 지배계층이 우수한 한글을 두고 여전히 한자를 중시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연산군의 박해

1504년(연산군 10년) 7월에 그의 패륜적인 행위에 대해 질책하는 한글 투서가 발견되었다.[61][62] 범인 색출 작업을 했으나 잡아내지 못하자 연산군은 그해 7월 20일부로 백성들의 한글 사용을 금하도록 명했다.[63][64][65] 한글로 구결을 단 책을 불사르게 했고 배우거나 쓰지 못하게 했는데, 위반자는 '기훼제서율(棄毁制書律)'을[66] 적용하여 곤장 100대부터 참수형에 처하도록 했다.[67] 사용하는 자를 알고도 고발하지 않은 이웃도 잡아들여서 '제서유위율(制書有違律)', 즉 임금의 지시를 위반한 사람을 다스리는 법을[68] 적용하여 곤장 100대를 때리라 명했다.[69][70] 그러나 조정 안에서 한글을 사용하는 것은 부분적으로 허용하였다. 한글로 역서를 번역하도록 했으며,[71] 궁인의 제문을 한글로 번역하여 의녀를 시켜 읽도록 하기도 했다.

조선 중기

한글이 지배 계층으로부터 멸시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궁중과 일부 양반층, 백성들, 특히 부녀자들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널리 사용되었다.[49] 1490년 충청도 회덕에 사는 신창 맹씨는 함경도에 근무하는 군인인 남편 나신걸로부터 한글로 쓰인 편지를 받았다. 편지에는 함경도에서 한성으로 전근되었으니 옷을 보내달라는 내용이 적혀 있었다.[72] 1586년 경상도 안동에 일선 문씨는 세상을 먼저 떠나 남편 이응태에게 원망 섞인 편지를 썼다. 편지에는 '둘이서 머리 하얗게 되도록 살다 함께 죽자더니 먼저 가냐. 이 편지를 읽으면 꼭 꿈에 나와 말을 걸어달라’고 적혀 있다.[73] 이와 같이 백성들이 한글로 된 서신을 주고받을 수 있었던 것은 한글이 한문에 비해 매우 단순하여 읽고 쓰기가 너무나도 쉬웠던 까닭에 누구나 짧은 시간내에 배우고 익힐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율곡 이이가 《대학》에 구결을 달고 언해한 《대학율곡언해》는 1749년에 간행되었다.[74]

조선 중기 이후로 가사 문학, 한글 소설 등 한글로 창작된 문학이 유행하였고, 서간에서도 한글/정음이 종종 사용되었다.

근대

띄어쓰기 도입

독립신문 초판 (1896.4.7)

한글은 창제 이래 약 400 여년이 넘도록 띄어쓰기를 하지 않았다. 한글에 띄어쓰기를 최초로 적용한 사람은 스코틀랜드 출신 장로교 선교사 존 로스이다.[75] 그는 19세기 말에 중국에서 선교활동을 하던 중에 성경을 한국어로 번역하고자 한국인 이응찬으로부터 한국어를 배운 후 한국어 학습 교재인 《Corean Primer》(한국어 첫걸음)을 1877년에 펴냈는데, 이 책에서 처음으로 한글 띄어쓰기를 적용하였다.[76] 이는 영어의 띄어쓰기가 자연스레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한글 띄어쓰기는 대중화 되지 못했다.

이후 배재학당 교수로 활동하던 미국 출신 언어학자이자 선교사 호머 헐버트 박사가 한글에 띄어쓰기 도입을 적극적으로 권장함에 따라 1896년에 창간된 <독립신문> 한글판에 띄어쓰기가 본격적으로 도입되었다.[77] 아울러 이 시기에 '마침표'와 '쉼표'도 처음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1906년 대한국민교육회가 발간한 <초등소학>에는 단어와 조사들을 모두 띄어 쓰는 일도 있었다. 그러다가 1933년 조선어학회가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제정하면서 띄어쓰기의 어문규정이 하나씩 정립되기 시작했다.

국문 연구소

1894년(조선 고종 31년) 갑오개혁에서 마침내 한글을 ‘국문’(나랏글)이라고 하여, 1894년 11월 21일 칙령 제1호 공문식(公文式) 제14조[78] 및 1895년 5월 8일 칙령 제86호 공문식 제9조[79]에서 법령을 모두 국문을 바탕으로 삼고 한문 번역을 붙이거나 국한문을 섞어 쓰도록 하였다. 이와 더불어 한글 사용이 점차 늘자, 한글 표기법에 관한 문제가 제기되었다.[80] 공동연구에 의한 통일된 문자체계의 필요성을 느끼던 중 1905년 지석영이 상소한 〈신정국문(新訂國文)〉이 고종황제의 재가를 얻어 한글 맞춤법으로서 공포되었다.[81]

그러나 그 내용상에 여러 문제점이 지적되면서 1906년 5월에 이능화가 〈국문일정의견〉을 제출하는 등 논란이 되자 당시 학부대신 이재곤의 건의로 1907년 7월 8일 대한제국 학부에 통일된 문자 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한국어 연구 기관으로 국문 연구소가 설치되었다.[81] 1506년 중종언문청이 폐지된 이후로는[82] 처음으로 한글을 연구하는 국가기관이 만들어진 것이다.[83][84]국문 연구소의 연구 성과는 1909년 12월 28일 학부에 제출한 보고서로서 〈국문연구의정안〉 및 어윤적, 이종일, 이억, 윤돈구, 송기용, 유필근, 지석영, 이민응의 8위원 연구안으로 완결되었다.

국어 연구 활동

한글과 한문이 혼용되어 쓰인 매일신보 1944년 기사

한편 민간에서는 1906년 주시경이 《대한국어문법》을 저술하여 1908년에 《국어문전음학(國語文典音學)》으로 출판하였으며, 1908년 최광옥의 《대한문전(大韓文典)》, 1909년 유길준의 《대한문전(大韓文典)》, 김희상의 《초등국어어전》, 1910년 주시경의 《국어문법(國語文法)》등이 출간되고, 이후에도 1911년 김희상의 《조선어전(朝鮮語典)》, 1913년 남궁억의 〈조선문법(朝鮮文法)〉, 이규영(李奎榮)의 〈말듬〉, 1925년 이상춘의 《조선어문법(朝鮮語文法)》 등으로 이어지면서, 1937년 최현배의 《우리말본》으로 집대성된다.

우리말과 글의 연구.통일.발전을 목적으로, 1908년 8월31일 주시경 선생이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과 서울 봉원사에서 창립총회를 열고 ‘국어연구학회’를 창립하였다.[85] 그러나 1910년 한일합병이 이루어지며 국어라는 말이 일본어를 뜻하게 되면서 1911년 9월3일 ‘배달말글몯음’(조선언문회)으로 이름을 변경하였다.[86] 1913년 3월 23일에 ‘한글모’로 바꾸었으며, 1921년 12월3일 ‘조선어연구회’로 다시 변경하였다.[87] 그동안 많은 강연, 학술대회를 연 바, 1926년에 한글날을 제정하였고 1927년에는 동인지 ‘한글’을 창간하였다. 1931년 1월 10일 ‘조선어학회’로 이름을 고쳐 활동하며 학회지 ‘한글’ 창간(1932), 한글맞춤법 통일안 제정(1933), 표준말 사정(1936), 외래어 표기법 통일안 제정(1940)등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던중에 1942년 일제에 의해 자행된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국어연구가 중단되는 큰 시련을 맞게 되었다.

한글 보급 운동

한일강제합방이후 일제는 강압적인 무단통치를 일삼았다. 3·1 운동이후 유화적인 문화통치를 실시했으나 허울뿐이었으며 탄압과 감시, 민족말살과 황국식민화 교육, 우민화 정책에 따른 단순 실업 교육, 일본어 학습 확대, 한국어 교육 축소를 단행했다. 이런 일제의 차별 교육정책으로 인해 1930년 무렵 문맹율은 약 70%정도에 달하였다.[88] 같은 역사를 가지고 같은 언어를 사용해야 민족의 동질성과 일체감을 확보하고 단결할 수 있으며 민족정신을 고양시킬수 있는데,[89] 당시 조선인의 문맹율은 너무 높았다. 심각성을 깨달은 민족 지도자들은 문맹퇴치를 위해 적극적으로 한글보급운동에 나섰다.

언론사들도 이 운동에 동참했다. 1931년 동아일보가 농촌계몽운동인 브나로드 운동을 전개하여 대학생으로 조직된 계몽대가 지방으로 내려가 한글을 가르쳤다. 조선일보는 1929년 여름부터 1934년까지 6년간 "아는 것이 힘, 배워야 산다"라는 표어아래 문맹퇴치운동을 했다.[90] 조선어학회도 전국순회 조선어 강습회를 열었다. 문자보급운동이 민족의식 고취와 계몽운동으로 확대되어가자 일제는 1934년에 이 운동을 강제로 금지시켰다.[88] 또한 1930년대 말부터 민족말살통치를 실시하며 한국어 교육을 폐지하고 우리말 사용도 탄압하였다.[91]

해례본의 발견

훈민정음 해례본

세종대왕은 한글을 창제한후에 집현전 학자들에게 명하여 해설서인 『훈민정음 해례본(訓民正音 解例本)』을 발간하도록 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훈민정음 해례본'은 기록에만 존재할 뿐 한 권도 전해지지 않았었는데, 1940년 안동에서 처음 발견되었다.[92] 이책을 전형필이 큰 기와집 10채 값에 해당하는 1만원을 지불하여 입수한 후 보관하였다.[93] 광복 후 전형필은 해례본의 존재 사실을 학계에 알렸고 영인본을 제작·배포하여 책의 내용을 공개하였다.[94]

해례본이 발견되기 전에는 한글 창체 원리와 기원에 대하여 고대글자 모방설, 고전(古篆) 기원설, 범자(梵字) 기원설, 몽골문자 기원설, 심지어는 창살 모양의 기원설까지 나올 정도로 학자들 사이에서 여러 학설들이 난무하며 독창성이 부정당했다.[95] 그러나 이 책의 출현으로 모두 일소되고 조음기관 상형설이 제자원리(制字原理)였음이 분명히 밝혀졌다.[95] 또한 한글의 우수성, 독창성을 올바로 알릴 수 있는 좋은 근거 자료가 되고 있다.

현대

한글학회의 주요활동

광복후 활동을 재개한 조선어학회는 초.중등 교과서 편찬(1945), 훈민정음 원본 영인 (1946), 세종 중등 국어교사 양성소 설치(1948) 하였다. 아울러 1949년 9월 25일 ‘한글학회’로 이름을 바꾸게 되었다. 이후 큰 사전 편찬(1957), 한글 타자기 통일 글자판 발표(1962), 쉬운말 사전(1967), 월간지 ‘한글새소식’ 창간(1972), 우리말의 로마자 적기 발표(1984), 제1회 우리 말글 연수회(1985), 한국지명총람 편찬(1986), 문학한글 창간(1987), 한힌샘 주시경 연구/교육한글 창간(1988)등의 일을 했다.[96]

또한, 한국 땅이름 큰사전 편찬(1991), 우리말 큰사전 편찬(1991), 제1회 외국인 한국어 발표 대회(1999), 학회 발행 논문집 학술정보 제작(2000), 첫 번째 우리말글 지킴이 위촉(2000), 우리 토박이 말 사전 편찬(2001), 첫 번째 아름다운 우리말 가게이름 선정(2001), 제1회 전국 한말글이름 가진 이 글짓기 대회(2004), 한글 무늬옷 입기 운동(2005), 한글날 큰잔치 조직위원회 결성(2006), 한글을 빛낸 자랑스러운 인물 4편(한힌샘 주시경, 외솔 최현배, 건재 정인승, 고루 이극로) 편찬(2008, 2009) 등의 일을 하였다. 1996년에는 비영리 학술단체로는 처음으로 누리집(홈페이지)을 만들어 누리그물(인터넷)을 통하여 갖가지 정보를 제공하고 정보 교환의 마당을 마련해 놓고 있으며,정기 간행물 『한글』,『문학한글』, 『교육한글』, 『한힌샘 연구』, 『한글 새소식』 등을 누리집에서 제공하고 있다.[96]

한글 간소화 파동

문화 유산 지정

간송미술관에서 보관중인 《훈민정음 해례본》, 즉 간송본은 1962년에 국보 70호로 지정되었으며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되었다.[97][98] 한글의 옛 이름이자 해설서의 제목이기도한 훈민정음은 해례본, 예의본, 언해본으로 구분된다. 이 중에 해례본만 단행본으로 발간되었으며 예의본과 언해본은 단행본이 아니고 《세종실록》과 《월인석보》에 실려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해례본과 예의본은 한문으로 쓰여져 있고 언해본은 한문과 함께 한글로 번역되어 있다.

해례본은 전권 33장 1책의 목판본으로 책의 규격은 가로 20cm, 세로 32.3cm이며 예의, 해례, 서문으로 구성 되어있다. 예의 부분은 세종이 직접 썼으며 4장 7면으로 면마다 7행에 매행 11자로 되어 있다. 해례 부분은 26장 51면 3행으로 면마다 8행에 매행 13자로 되어 있고 신숙주 등 집현전(集賢殿) 학사가 집필하였다.[97] 정인지가 대표하여 쓴 서문은 3장 6면에 한 자씩 낮추어서 매행 12자로 구성되어 있다.

세종대왕 문해상

유네스코(UNESCO)는 1946년부터 문맹 퇴치 운동을 전개해왔다. 또한 9월 8일을 '세계 문해의 날(International Literacy Day)'로 지정하여 매년 기념행사를 하며 문맹 퇴치의 중요성을 알리는데 앞장서고 있다.[99] 문해의 날이란, 문자를 읽고 쓰는 일의 중요성을 다시 생각해보게 하는 날로서, 인간다운 삶을 누리기 위해서는 최소한 읽고 쓸줄 알아야 하며, 이는 알권리와 표현의 자유를 보장받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가 된다.

한국정부는 문해력이 낮은 백성들을 위해 쉽게 익히고 사용할 수 있도록 과학적인 문자를 만든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정신과 업적을 전 세계에 알림과 동시에 세계 문맹 퇴치에 이바지 하고자 '세종대왕 문해상' 제정을 유네스코에 제안하였다.[100] 이런 취지에 공감하여 상을 제정한 유네스코는 1990년부터 문맹퇴치에 앞장선 개인이나 단체를 선정하여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을 매년 세계 문해의 날에 수여하고 있다. 수상자에게 지급되는 상금은 한국정부가 전액 지원하고 있다.[100][101][102]

그밖의 일들

한국에서는 한글전용법이 시행되어 한자의 사용이 줄어들면서 1990년대 그 사용이 절정을 이루었다.[103] 이후 정부 차원에서의 영어 우대 정책으로 한글의 사용이 점차 줄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104]

2009년에는 문자가 없어 의사소통에 곤란을 겪었던 인도네시아의 소수 민족인 찌아찌아족이 자신들의 언어 찌아찌아어의 표기 문자로 시범으로 한글을 채택, 도입하였다. 그리고 2012년솔로몬 제도에 있는 일부 주가 모어 표기 문자로 한글을 도입하였다.[105]

다양한 창제학설

조음기관 모방설

훈민정음 해례본에는 자음과 모음 각각의 창제 원리가 상세히 설명되어 기본 자음 5자(ㄱ, ㄴ, ㅁ, ㅅ, ㅇ)는 발음 기관의 모양을 추상화하고, 기본 모음 3자(ㆍ, ㅡ, ㅣ)는 천지인 3재를 상징하여 창제되었고 다른 글자들이 획을 덧붙이는 방식으로 만들어졌다고 밝히고 있다. 『훈민정음 해례본(訓民正音 解例本)』을 바탕으로 한글과 음양오행의 관계를 기록하였다.

가. 모음음양의 원리를 기본으로 만들어졌다.

  • 기본 모음'ㆍ, ㅡ, ㅣ'를 보면 'ㆍ'(아래아)는 양(陽)인 하늘(天)을 본떠 만들고, 'ㅡ'는 음(陰)인 땅(地)을 본떠 만들었으며, 'ㅣ'는 음과 양의 중간자인 인간(人)의 형상을 본떠 만들었다. 천지인(天地人)은 하늘(·)과 땅(ㅡ), 사람(ㅣ)을 나타낸다.
  • 『훈민정음 해례본』에 따르면 'ㅏ, ㅑ, ㅗ, ㅛ'는 'ㆍ'(아래아) 계열의 글자이다.

'ㆍ'(아래아)의 속성은 양이다. 양의 특성은 위로의 상승, 바깥으로의 확장이다. 따라서 점을 위, 바깥쪽에다 찍은 것.

  • 'ㅓ, ㅕ, ㅜ, ㅠ'는 그 반대로 'ㅡ' 계열의 글자이기 때문에 음의 속성을 따라, 하강, 수축의 뜻으로 점을 안쪽, 아래로 찍은 것.

나. 자음오행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 『훈민정음 해례본』에선 각 방위와 발음 기관을 연결시키고, 해당 발음 기관에서 나는 소리 또한 방위와 연관시키고 있다. 방위는 또 계절과 연결이 되므로, 결국 소리는 계절과 연결된다.

(소리=방위=계절, 소리=계절) 계절은 봄, 여름, 늦여름, 가을, 겨울 순이므로, 소리 역시 어금닛소리(ㄱ, 봄), 혓소리(ㄴ, 여름), 입술소리(ㅁ, 늦여름), 잇소리(ㅅ, 가을), 목소리(ㅇ, 겨울) 순으로 배열한다.

  • 『훈민정음 해례본』에서 기본 자음을 ㄱ, ㄴ, ㅁ, ㅅ, ㅇ, ㄹ 순으로 배열한 것은 오행 원리와 연관이 있다.
자음과 오행의 관계 정리표
속성 계절 방위 음성 음계
목(木, 나무) 춘(春, 봄) 동(東, 동녘) 어금닛소리(, , ) 각(角)
화(火, 불) 하(夏, 여름) 남, (南, 남녘) 혓소리(, , , ) 치(徵)
토(土, 흙) 계하 (季夏, 늦여름) 중앙(中, 無定) 입술소리(, , , ) 궁(宮)
금(金, 쇠) 추(秋, 가을) 서(西, 서녘) 잇소리(, , , , ) 상(商)
수(水, 물) 동(冬, 겨울) 북(北, 북녘) 목구멍소리(, ) 우(羽)

파스파 문자 유래설

세종실록》에 최만리가 훈민정음이 “고전(古篆)을 본떴다(倣)”라고 말한 기록이 있는데,[106][107] 이 말이 모호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해석이 있다. 이 '고전'의 해석에는 한자의 전자체(篆字體)라는 설과 당시에 '몽고전자(蒙古篆字)'로도 불렸던 파스파 문자를 말하는 것이라는 설이 있다. 또한 ‘본떴다’에도 그 생김새만이 닮았을 뿐이라는 풀이와 만드는 데에 참고를 했다, 또는 모두 본떴다 등의 여러 가지 해석이 있다.

파스파 문자와 한글의 비교

파스파 문자 유래설에 따르면 한글의 기본자는 ㄱㄴㅁㅅㅇ이 아닌 ㄱㄷㅂㅈㄹㅇ이며 조음 기관을 모방한 것이 아니라 발음이 흡사한 파스파 문자의 자음들을 간략화한 것이다. 파열 및 파찰음인 ㄱㄷㅂㅈ를 감획하여 비음 및 마찰음인 ㆁㄴㅁㅅ가 생성되었으며 가획하여 유기음인 ㅋㅌㅍㅊ이 생성되었다는 이론이다. 이 가설의 장점 중 몇 가지는 다음과 같다.

  • ㄱㄴㅁㅅ은 파열음(ㄱ), 비음(ㄴㅁ), 마찰음(ㅅ)으로 되어있어 비일관적이나 ㄱㄷㅂㅈ은 모두 파열음(ㄱㄷㅂ) 내지는 파찰음(ㅈ)이라서 음운론적으로 일관적이다. ㄱㄴㅁㅅㅇ이 기본자라면 ㄱ이 ㄴㅁ처럼 비음을 나타냈었어야 자연스럽다.
  • 해례본은 ㄹ이 혀의 모습을 본떴다고 설명하나 ㄹ과 같은 설측음이나 설탄음을 발음할 때 혀 모양이 ㄹ처럼 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파스파 문자의 /l/에 해당하는 자음과 그 형태가 유사하다.
  • 또한 연구개 비음을 나타내는 ㆁ의 모양도 조음기관 모방설로는 설명할 수 없는데 파스파 문자 유래설에 따르면 비음을 나타내는 ㄴㅁ은 파열음을 나타내는 ㄷㅂ의 상단을 감획한 모양인데 ㄱ을 마찬가지로 감획하면 ㅣ모양이 되며 이 아래에 ㅇ을 덧붙였다고 하면 ㆁ의 모양이 설명 가능하다.

기타 학설

1940년 훈민정음 해례본이 발견되기 이전에는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를 설명한 문헌이 없어 그 유래로 여러 이론이 제기되었다. 그 이전에 제기되었던 주요 학설은 다음과 같다.

  • 발음 기관 상형설: 발음 기관을 상형했다는 설. 신경준, 홍양호, 최현배
  • 전자 기원설: 한문 비석 등에 쓰이는 전자체에서 유래되었다는 설. 황윤석(黃胤錫), 이능화
  • 범자(梵字) 기원설: 불경과 함께 고대 인도 문자가 전해져 그것에서 유래했다는 설.[108] 성현, 이수광
  • 고대 문자 전래설: 훈민정음 이전 민간에서 전해지던 고대 문자로부터 유래했다는 설.
  • 창문 상형설: 한옥의 창살 모양에서 유래했다는 설.[109] 에카르트(P. A. Eckardt)
  • 서장(西藏)글자·오행(五行)이론.[110]

구조

한글로 쓴 '한글'.
한글의 구조
첫소리 글자 'ㅍ'에 가운뎃소리 글자 'ㅐ'가 합쳐 '패'가 되는 과정을 나타낸 이미지.
첫소리를 나타내는 'ㅍ'와 가운뎃소리를 나타내는 'ㅐ'가 합쳐 '패'가 되었다.

한글은 낱소리 문자에 속하며, 낱자 하나는 낱소리 하나를 나타낸다. 낱소리는 닿소리(자음)와 홀소리(모음)로 이루어진다.

소리마디는 첫소리(초성), 가운뎃소리(중성), 끝소리(종성)의 낱소리 세 벌로 이루어지는데, 첫소리와 끝소리에는 닿소리를 쓰고 가운뎃소리에는 홀소리를 쓴다. 한글은 낱자를 하나씩 풀어쓰지 않고 하나의 글자 마디로 모아쓰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자모 낱자

처음 한글 낱자는 닿소리 17자와 홀소리 11자로 총 28가지였다. 오늘날 한글 낱자에 쓰이지 않는 없어진 글자를 소실자(消失字)라 하는데, 닿소리 ㅿ(반시옷), ㆁ(옛이응), ㆆ(여린히읗)과 홀소리 ㆍ(아래아)의 네 글자이다. 이로써 현대 한글은 모두 24자로서 닿소리 14자와 홀소리 10자로 되어 있다.

각 자모의 소릿값을 살펴보면 첫소리 아·설·순·치·후(牙舌脣齒喉)와 반설·반치(反舌半齒)의 7음으로 구별하였고 모음은 따로 구별하지 않았다. 이러한 7음과 각 자모의 독특한 배열순서는 중국 운서(韻書)를 그대로 모방한 것이라고 여겨진다. 그리고 실제로 쓸 적에는 각 낱자를 독립시켜 소리 나는 차례대로 적지 않고 반드시 닿소리와 홀소리를 어울려 쓰기로 하였으니 곧 <· ㅡ ㅗ ㅜ ㅛ ㅠ >는 자음 아래에 쓰고, <ㅏ ㅓ ㅑ ㅕ>는 자음 오른쪽에 붙여 쓰기로 하였다. 즉 음절문자(音節文字)로 하되, 그 모양이 네모꼴이 되도록 하였으니 이는 한자의 꼴에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닿소리
기역 니은 디귿 리을 미음 비읍 시옷 이응 지읒 치읓 키읔 티읕 피읖 히읗
홀소리

이 스물네 가지를 바탕으로 하는데, 모두 홑소리(단음)이고, 홑소리로 나타낼 수 없는 겹소리(복음)는 두세 홑소리를 어울러서 적되, 그 이름과 순서는 다음과 같다.

겹닿소리
쌍기역 쌍디귿 쌍비읍 쌍시옷 쌍지읒
겹홀소리
소실자 닿소리
반시옷 옛이응 여린히읗
유성 치경 마찰음 연구개 비음 성문 파열음

반시옷알파벳z에 해당하는 음가를 가진 것으로 추정되며, 여린히읗은 1을 강하게 발음할 때 목구멍이 막히며 나는 성문 파열음으로 추측된다.

현대 한글에서는 끝소리가 없으면 받침을 쓰지 않고 끝소리가 있을 때에만 홑받침 또는 겹받침을 쓰는데, 홑받침에는 모든 닿소리가 쓰이며, 겹받침에는 홑홀소리 아래에만 놓이는 겹닿소리 ㄲ(쌍기역)과 ㅆ(쌍시옷)과 따로 이름이 없지만 모든 홀소리 아래에 놓일 수 있는 겹받침으로만 쓰이는 겹닿소리가 있다. 모든 받침의 소릿값은 끝소리 규칙에 따라 8갈래로 모인다.[111]

겹받침
받침의 소릿값

사전에 올릴 때에는 첫소리 > 가운뎃소리 > 끝소리의 순으로 정렬하되, 그 정렬 순서는 다음과 같다.

정렬 순서
첫소리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가운뎃소리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끝소리 (없음) ㄱ ㄲ ㄳ ㄴ ㄵ ㄶ ㄷ ㄹ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ㅁ ㅂ ㅄ ㅅ ㅆ ㅇ ㅈ ㅊ ㅋ ㅌ ㅍ ㅎ

모아쓰기

한글의 모든 낱자는 한데 모아쓰도록 하고 있으며, 닿소리를 가장 먼저 쓰고 그 오른쪽이나 아래에 홀소리를 적으며, 모든 받침은 닿소리와 홀소리 밑에 놓인다. 따라서 글자 마디로 모아쓸 때는 다음과 같은 틀에 맞추어 쓴다.

  • 중성이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ㅣ일 때는 중성을 초성의 오른쪽에 붙여 쓴다.
초성 중성
초성 중성
종성
  • 중성이 ㅗ, ㅛ, ㅜ, ㅠ, ㅡ일 때는 중성을 아래쪽에 붙여 쓴다. 종성이 있으면 그 아래 붙여 쓴다.
초성
중성
초성
중성
종성
  • 중성이 ㅘ, ㅙ, ㅚ, ㅝ, ㅞ, ㅟ, ㅢ와 같이 아래쪽에 붙이는 모음과 오른쪽에 붙이는 모음의 복합일 때는 다음과 같이 아래쪽에 먼저, 그 다음 오른쪽에 붙여 쓴다. 종성은 마찬가지로 아래쪽에 붙여 쓴다.
초성 중성
중성
초성 중성
중성
종성

표기 가능한 글자 수

현대 한글은 낱자를 엮어 11,172(첫소리 19 × 가운뎃소리 21 × (끝소리 27 + 끝소리 없음 1))글자 마디를 쓸 수 있다. 11,172자 중 399자는 받침이 없는 글자이며 10,773자는 받침이 있는 글자이다. 사용 빈도는 KS X 1001 완성형 한글 코드에 선별된 2,350글자가 상위 99.9%로 알려져 있다.[출처 필요]

소리 나는 음절 개수

어문 규정에 따라 현대 한국어 표준어에서 실제 사용하는 음절은 이보다 적다. 한국어의 소리는 첫소리+가운뎃소리(+끝소리)로 이루어지는데, 표준어에서 첫소리에는 19가지 닿소리가 모두 쓰이되, 첫소리에 놓인 ㅇ은 소리 나지 않는다. 끝소리는 7종성법에 따라 7갈래로 모이며 끝소리가 없는 것까지 더하여 모두 8갈래이므로 현대 한국어의 발음은 첫소리 19 × 가운뎃소리 21 × 끝소리 8 = 3,192가지 소리가 된다.

그런데 표준 발음법을 따르면 구개음 ㅈ, ㅉ, ㅊ 뒤의 이중 모음 ㅑ, ㅒ, ㅕ, ㅖ, ㅛ, ㅠ는 단모음 ㅏ, ㅐ, ㅓ, ㅔ, ㅗ, ㅜ로 소리 나므로 첫소리 3 × 가운뎃소리 6 × 끝소리 8 = 144소리가 빠지고, 아울러 소리 나는 첫소리 (ㅇ이 아닌 첫소리 뒤에 오는)를 얹은 가운뎃소리 (ㅢ)는 ㄴ을 제외하면(ㄴ은 구개음화에 따른 다른 음소로 인정하고 있다.) [ㅣ]로 소리 나므로(한글 맞춤법 제9항 및 표준 발음법 제5항 단서 3) 첫소리 17 × 가운뎃소리 1 × 끝소리 8 = 136 소리가 다시 빠진다. 따라서 현재 한국어 표준어에서 실제 사용하는 소리마디는 3192 − 144 − 136 = 2,912가지가 된다.

한글 맞춤법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

한글이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문자가 아니기 때문에 때로는 로마자로 표기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한글 표기를 읽을 수 없는 외국인이나 그들을 대상으로 한국어를 알려야 하는 경우, 한국어를 로마자로 표기해 의사소통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지명, 인명, 상호명 등과 같은 고유 명사를 로마자로 표기할 때 로마자 표기 규정에 따르면, 표기가 통일되어 의사소통이 원활해지고, 정보 검색 등이 편리해진다.[112]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은 1832년 독일인 지볼트(Siebold, P.F.), 1895년 미국인 호머 헐버트를 비롯하여[113] 서양의 동양학자나 선교사·외교관들이 만든 방안들이 있고, 정인섭, 최현배, 박창해 등의 국내 학자들이 만든 방안도 여럿이 있다. 또한 1940년 조선어학회의 안과 1948, 1959, 1984년에 나온 문교부의 방안 등이 있다. 이들 여러 방법 중에 가장 널리 알려지고, 또 흔히 쓰이는 것은 매큔·라이샤워체계(The McCune-Reischauer System for the Romanization of Korean)와 마틴(Martin)이 제안한 예일체계(The Yale System), 2014년에 나온 문화체육관광부안이다.

로마자표기법이 통일되지 않고 다소 무질서하게 사용되어 왔던 것은 한국어의 특성상 로마자로 표기하는 데 있어서 여러 문제점이 있었는데, 그 해결 방안이 각기 만족스럽지 않았기 때문이다. 2000년에 인터넷시대에 맞지 않는 반달표와 어깨점을 없애고 한국인과 외국인 모두에게 편리한 방향으로 개정한 문화관광부안이 고시되었는데,[114] 이것을 일부 개정하여 2014년에 문화체육관광부가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고시되어[115] 현재까지 시행되고 있다.

한글의 우수성

‘과학성’과 ‘체계성’에 있다. 글자를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떠 만들었다는 점에서 한글은 과학적이다. ‘ㅁ’은 입술의 모양, ‘ㅇ’은 목구멍 모양, ‘ㅅ’은 이빨 모양에서 본뜨고, ‘ㄱ’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 ‘ㄴ’은 혀가 윗잇몸에 닿는 모양을 본떠 만들었다. 한글이 체계적이라는 것은 자모를 따로따로 만들지 않고 기본 글자를 먼저 만들고 나머지는 그것을 바탕으로 만들었다는 점이다. 즉 기본자인 ㄱ에 획을 더해 ㅋ을 만드는 식이다. 모음의 경우도 ‘하늘, 땅, 사람’을 형상화한 ‘ㆍ, ㅡ, ㅣ’를 기본 글자로 하고, 나머지는 기본자에 획을 하나씩 더하거나 조합해서 만들었다.

용도폐기된 4글자

  • (여린히읗, 된이응) : 하고 의 중간획 글자로, ㅇ에 흡수되면서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 (옛이응, 꼭지이응) : 아음으로, '앙'이라는 소리를 낼 때 본 글자의 종성이응, 즉 유성음 이응이 옛이응이다. 지금은 사용할 때 하고 혼동하기 쉬으므로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예를 들어 '솅종(세종)' 할 때 솅(세)의 ㅇ은 그냥 '이'이고, 종 할때는 ㆁ, 즉 옛이응이 된다.
  • (반시옷) : ㅆ, ㅉ의 중간 글자로, 하고 의 중간 발음이 난다. 지금은 이 글자가 점차 ㅅ하고 ㅈ 소리로 점차 간소화 되면서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알파벳의 /z/ 소리를 띈다. 반치음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 (아래아) : 본 글자는 초성의 밑에 쓰는 ㅏ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아)하고 (으)의 중간 발음이다. 역시 ㅏ로 간소화 되면서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유니코드

유니코드에서 한글은 다음 영역들에 배당돼 있다.

  • 한글 글자 마디(Hangul Syllables): U+AC00~U+D7AF
  • 한글 자모(Hangul Jamo): U+1100~U+11FF
  • 한글 자모 확장-A(Hangul Jamo Extended-A): U+A960~U+A97F
  • 한글 자모 확장-B(Hangul Jamo Extended-B): U+D7B0~U+D7FF
  • 한글 호환 자모(Hangul Compatibility Jamo): U+3130~U+318F
  • 반각 한글 자모: U+FFA0~U+FFDC

현재 유니코드에 포함돼 있는 옛한글 자모의 총 개수는 초성 124개, 중성 94개, 종성 137개와 채움 문자 2개(초성, 중성)이다. 방점을 제외하고 총 조합 가능한 글자 마디 개수를 구한다면 다음과 같다.

  • 조합 가능한 한글: 125×95×138 = 1,638,750개
  • 완성된 한글: 124×94×138 = 1,608,528개
  • 조합 가능한 비표준 한글: 총 16,989개
    • 채움 문자로만 구성된 한글: 1개
    • 초성과 종성으로만 이루어진 비표준 한글: 124×137 = 16,988개
  • ∴ 표준 한글 총 개수(조합 가능한 한글 코드 − 비표준 한글): 1,639,011개

방점 2개 또한 유니코드에 U+302E(〮)와 U+302F(〯)로 등록돼 있다.

다른 언어에서의 한글 사용

한글은 2009년에 처음으로 인도네시아의 소수 민족인 찌아찌아족의 언어인 찌아찌아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한국찌아찌아문화교류협회[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이밖에도 한국에서는 한글을 표기 문자로 보급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2012년 솔로몬 제도의 토착어를 한글로 표기하여 교육하는 활동이 시작됐다.[116] 2012년 10월부터 시행된 것은 2개 언어이며 결과에 따라 솔로몬 제도 전역으로 확대할 예정이다.[117]

간혹 영어 발음을 정확하게 표기하기 위해 옛한글 등을 부활시킨 표기법을 연구하는 일도 있으나 이 역시 개인 연구자에 따른 것이다. 그리고 한국인이 아닌 사람이 만든 인공어 618-Vuro인공 문자 井卜文(Jingbu Script) 등에서 일부 한글 또는 한글을 동기로 한 문자를 개인 수준에서 사용한 예를 볼 수 있다.

오해와 사실

  • 한글은 한자의 부수로 이루어 지거나 그 어떠한 나라의 글자에서도 본따온 것이 아닌, 한민족의 고유 글자이다.
  • 유네스코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것은 "한글"이 아닌 책 《훈민정음 해례본》이다.[39][118]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은 기록물이 담고 있는 내용이 아니라 기록물만을 등록 대상으로 한다.
  • 한글날이란 한글 창제일(음력 12월 30일)을 기념하는 날이 아니라 한글 반포일을 기념하는 날이다.
  • 세종대왕이 창제한 것은 한국어(말)가 아니라 우리말을 표기하는 문자(글자)를 창제했다.
  • 한글은 언어의 이름이 아니라 문자의 이름이다.
  • 창제 당시의 이름인 '훈민정음'과 그 약칭인 '정음'도 본래 글자의 이름이었다.
  • 실제의 한글은 모든 언어의 발음을 표기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또한 현재의 한글은 창제 당시의 훈민정음보다 표현할 수 있는 발음 수가 적다.
  • 모든 소리를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은 원래 언어학 명제가 아니고 창제 당시에 모든 소리는 기본 5음의 조화로 이루어진다는 사상을 배경으로 한 철학적 표현이다.
  • 한글 낱자는 모두 소릿값이 확정되어 있고 실제 한글 쓰임에서는 모아쓰기의 규칙도 정해져 있으므로 한글로 표현되는 소리의 숫자는 본래 유한하며, 한글의 기본은 한국어에 맞추어져 있다.
  • 현재 한글은 한국어 발음에만 사용하고 있으나 원래의 훈민정음에서는 모아쓰기가 좀 더 다양하며, 아울러 《동국정운》에 따르면 실제의 한국어 발음뿐만 아니라 이론적 한자음도 훈민정음으로써 표현하고 있다.
  • 찌아찌아족의 찌아찌아어의 표기에는 사용되나 공식은 아니다.

한글 낱자 목록

같이 보기

각주

  1. [네이버 지식백과] 조선어연구회 [朝鮮語硏究會] (두산백과)...국어연구학회는 1911년 9월 3일 '배달말·글모음'으로 이름을 바꾸었고, 1913년 3월 23일 '한글모'로 개칭하였다가..(중략)..1927년 3월부터는 기관지 《한글》을 간행하여 한글의 보급과 선전에 힘썼으나..(이하생략)
  2. [한국민속 대백과사전] 한글날 (문화체육관광부, 국립민속박물관)...한글이라는 이름은 언문, 반절, 가갸글 등으로 불러 오던 훈민정음을 1910년대에 주시경(周時經)을 중심으로 한 국어 연구가들이 으뜸가는 글, 하나 밖에 없는 글이라는 뜻으로 지어서 쓰게 된 것이다. 그러나 그때까지만 해도 그 쓰임이 보편화되지 않았다.
  3. [네이버 지식백과] 한글 가치의 재발견, 주시경 (우리말의 수수께끼, 2002. 4. 20., 박영준, 시정곤, 정주리, 최경봉)...'한글'이라는 명칭은 주시경에게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이에 대한 명확한 기록은 없으나.....(중략)...'한글'은 '한(韓) 나라의 글', '큰글', '세상에서 첫째가는 글' 등으로 해석될 수 있다.
  4. 정재환 <나라말이 사라진 날> 생각정원 2020 p55....최현배는 '한글'이란 말을 주시경이 지었다고 했다.
  5. [네이버 지식백과] 훈민정음 - 세계가 인정하는 우리글 (장콩 선생님과 함께 묻고 답하는 세계문화유산 이야기(한국편), 2011. 3. 15., 장용준(장콩), 조성덕, 양희석, 주상태)....한글학자 주시경 선생은 1913년 어린이 잡지 〈아이들보이〉에 글을 쓰면서 ‘한글’이라는 이름을 최초로 사용하여 ≪훈민정음≫의 현재 이름인 ‘한글’을 탄생시켰어요.
  6. 이이화 <한국사 이야기 9> 한길사 2009.4.10 p261
  7. [네이버 지식백과] 한글 - 세상에서 가장 신비한 문자 (위대한 문화유산, 최준식)....‘한글’이라는 이름은 1910년대 초에 주시경 선생을 비롯한 한글학자들이 쓰기 시작한 것입니다. 여기서 ‘한’이란 크다는 것을 뜻하니, 한글은 ‘큰 글’을 말한다고 하겠습니다.
  8. 중화권에서 한글을 지칭하는 단어이다.
  9. 코리아 스토리 기획위원회 <한글, 자연의 모든 소리를 담는 글자> 허원미디어 2006 p112
  10. 김태민(2020),「한글! 온 누리에 나르샤」,『한글 새소식』 569호, 한글 학회
  11. [네이버 지식백과] 훈민정음은 모든 백성이 사용하였을까? (우리말의 수수께끼, 2002. 4. 20., 박영준, 시정곤, 정주리, 최경봉)
  12. 신병주 <조선을 움직인 사건들> 새문사 2009년 p102
  13. [네이버 지식백과] 훈민정음 [訓民正音] -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한국사 개념사전, 2010. 6. 4., 공미라, 김수옥, 김애경, 김지수, 노정희)...연산군 10년인 1504년에 연산군의 잘못을 지적하는 한글로 쓰인 글이 발견되었어. 연산군은 이 글을 보고 매우 화가 나서 글을 쓴 사람을 고발하면 상금과 벼슬을 주겠다고 약속했지. 한양의 백성들 중 한글을 아는 사람을 불러 글씨체를 비교할 정도였어. 하지만 연산군은 글을 쓴 사람을 찾을 수가 없었지. 그러자 연산군은 “앞으로는 언문을 가르치지도 배우지도 말고, 배운 자는 쓰지 못하게 하라.”는 희한한 명령을 내렸어.
  14. [세종실록 102권] 세종 25년 12월 30일.....是月, 上親制諺文二十八字, 其字倣古篆, 分爲初中終聲, 合之然後乃成字, 凡于文字及本國俚語, 皆可得而書, 字雖簡要, 轉換無窮, 是謂訓民正音
  15. “훈민정음은 백성(百姓) 가르치시는 정(正)한 소리라”(현대어 표기로 옮김), 〈세종어제훈민정음〉, 《월인석보》. 1459년.
  16. [세종실록 117권] 세종 29년 9월 29일.....是月, 《東國正韻》成, 凡六卷, 命刊行
  17. [네이버 지식백과] 동국 정운 [東國正韻] (한국 자전의 역사, 2012. 11. 19., 박형익)...이 책은 제목 그대로 우리나라의 바른 음을 수록한 운서로 중국의 「홍무 정운(洪武正韻)」과 대비된다. 「동국 정운」은 세종 때에 혼란스러웠던 우리 한자음을 통일하여 표준음을 정하려는 의도로 편찬되었다.
  18. 김슬옹 교수 [우리문화신문] 최만리 외 6인 언문 반포 반대 상소의 진실.....이 상소문은 당시 집현전 부제학이었던 최만리 공 외 6인(신석조, 김문, 정창손, 하위지, 송처검, 조근)의 연합 상소임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상소문은 이 해의 연도에 따라 갑자상소라 부르기로 한다.
  19. [세종실록] 세종 26년, 1444년 2월 20일
  20. [네이버 지식백과] 정창손 [鄭昌孫] (두산백과)....1444년 응교(應敎) 때 한글제정을 반대하여 파직, 투옥되었다가 이듬해 풀려나와 응교에 복직, 1446년 집의(執義) 때 왕실의 불교숭상을 반대하여 재차 파직되었다.
  21. [네이버 지식백과] 최만리 [崔萬理] - 한글 창제에 반대 상소를 올린 집현전의 수장 (인물한국사, 김범, 장선환)...세종은 최만리를 비롯해 상소에 참여한 사람들을 의금부에 하옥시켰다가 다음날 석방하라고 명령했다. 하루 만에 풀려났지만 최만리의 공식적 경력은 이것으로 마감되었다. 그는 다시 관직에 나아가지 않았고 이듬해(세종 27년. 1445) 10월 23일에 세상을 떠났다.
  22. 《세종실록》 103권, 세종 26년(1444) 2월 21일
  23. [네이버 지식백과] 삼강행실도 [三綱行實圖]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1428년 진주(晉州)에 사는 김화(金禾)가 아버지를 살해한 사건에 대하여 강상죄(綱常罪:사람이 지켜야 할 도리에 어긋난 죄)로 엄벌하자는 주장이 논의되었을 때...(생략)
  24. [세종실록] 세종 26년, 1444년 2월 20일....정창손(鄭昌孫)은 말하기를, ‘삼강행실(三綱行實)을 반포한 후에 충신·효자·열녀의 무리가 나옴을 볼 수 없는 것은, 사람이 행하고 행하지 않는 것이 사람의 자질(資質) 여하(如何)에 있기 때문입니다. 어찌 꼭 언문으로 번역한 후에야 사람이 모두 본받을 것입니까.’..(이히생략)
  25. 김슬옹 교수 [우리문화신문] 세종은 언제부터 훈민정음 창제를 고민했을까?.....책으로 성인의 도를 깨우치고 자신들의 정체성을 지켜나가는 사대부 학자로서는 앞뒤가 안 맞는 말이었다. 그래서 세종은 “이 따위 말이 어찌 선비의 이치를 아는 말이겠느냐. 아무짝에도 쓸 데 없는 용렬한 선비이다.”라고 조금 과격해 보이는 말로 꾸짖었다. 웬만하면 벌을 잘 안 주는 세종의 정치 스타일로 볼 때 크게 화를 냈음이 분명하다.
  26. 박문국 <한국사에 대한 거의 모든 지식, 조선의 왕 이야기(상)> 소라주 2015년 p73
  27. 김슬옹 교수 [우리문화신문] 한글 28문제로 나는 한글박사
  28. 허웅 <한글과 민족문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9년 p63
  29. [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113권, 세종 28년, 1446년 9월 29일....是月, 訓民正音成
  30. [세종실록] 세종 26년, 1444년 2월 16일
  31. 김슬옹 교수 [우리문화신문] 최만리 외 6인 언문 반포 반대 상소의 진실
  32. [세종실록 114권] 세종 28년 12월 26일....이조에 전지(傳旨)하기를, "금후로는 이과(吏科)와 이전(吏典)의 취재(取才) 때에는 《훈민정음(訓民正音)》도 아울러 시험해 뽑게 하되, 비록 의리(義理)는 통하지 못하더라도 능히 합자(合字)하는 사람을 뽑게 하라." 하였다.
  33. [세종실록 116권] 세종 29년 4월 20일....다른 것은 없으니, 이제부터는 함길도 자제로서 이과 시험에 응시하는 자는 다른 도의 예에 따라 6재(六才)를 시험하되 점수를 갑절로 주도록 하고, 다음 식년(式年)부터 시작하되, 먼저 《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시험하여 입격한 자에게만 다른 시험을 보게 할 것이며, 각 관아의 이과 시험에도 모두 《훈민정음》을 시험하도록 하라." 정통(正統) 9년 1444 세종 26년. 하였다.
  34. 김슬옹 교수 [우리문화신문] 한글 28문제로 나는 한글박사 (2015.01.08)
  35. [세종실록 119권] 세종 30년 3월 28일....상주사(尙州使) 김구(金鉤)를 역마로 부르다. 구(鉤)는 상주사(尙州使)가 된 지 반년도 못되었는데, 집현전(集賢殿)에서 어명을 받들어 언문(諺文)으로 《사서(四書)》를 번역하게 하였다. 직제학 김문(金汶)이 이를 맡아 했었으나, 문(汶)이 죽었으므로, 집현전에서 구(鉤)를 천거하기에 특명으로 부른 것이며, 곧 판종부시사(判宗簿寺事)를 제수하였다.
  36. 박영규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웅진지식하우스 1996년 p110
  37. '라랴러려' 분청사기..."16세기 지방 하층민도 한글 사용".YTN.2011-09-08.
  38. [중종실록 92권] 중종 34년 11월 22일
  39. 김슬옹 교수 [우리문화신문] 한글 28문제로 나는 한글박사 (2015.01.08)
  40. 안영환 <우리가 몰랐던 개방의 역사> 다솜커뮤니케이션 2010년 p233
  41. [네이버 지식백과] 명 [明] (두산백과)....영락제 이후 명은 퇴조의 기미를 보이기 시작했으며 정치적으로는 환관이 다시 득세하여 황제는 정사를 돌보지 못했고 사치와 향락에 빠졌다...(중략)...관리는 점차 부패하고 토지를 잃은 유민이 속출하여 명나라의 명운이 기울기 시작하면서 전국 각지에서 민란이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대외적으로는 몽골족과 왜구의 침입으로 혼란을 겪었으며 후기에는 만주족이 세운 후금(後金 : 이후 청나라가 됨)이 명나라를 압박하였다.
  42. 강정만 <명나라 역대황제평전> 주류성출판사 2017년 p165
  43. [네이버 지식백과] 정통제 [正統帝] (두산백과)....1449년 동서 몽골통일에 성공한 오이라트(Oirāt)족의 족장 에센[也先]이 쳐들어옴에 따라, 왕진의 권고에 따라 친히 이를 맞아 싸웠으나 토목보(土木堡) 싸움에서 대패하여 포로가 되었으며, 이 사건을 두고 토목의 변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듬해에 석방되었으나 이미 동생 경태제(景泰帝)가 즉위하여 있었으므로, 태상황제로서 남궁(南宮)에 유폐되었다.
  44. [네이버 지식백과] 세종대왕은 28자에 어떤 이름들을 붙였을까? (우리말의 수수께끼, 2002. 4. 20., 박영준, 시정곤, 정주리, 최경봉)
  45. [네이버 지식백과] 새로운 시작, 훈몽자회 (우리말의 수수께끼, 2002. 4. 20., 박영준, 시정곤, 정주리, 최경봉)
  46. [네이버 지식백과] 훈몽자회 [訓蒙字會]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47. [북녘말] 기윽 디읃 시읏 / 김태훈 : 칼럼 : 사설.칼럼 : 뉴스 : 한겨레
  48.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한글....‘훈민정음’을 줄여 ‘정음’이라고도 하였는데, 이 이름은 훈민정음 해례의 끝에 있는 정인지의 글에 이미 나타나 있다. ‘언문(諺文)’이라는 이름은 최근까지 쓰였는데, 이것은 그 유래가 오래된 말이다. 원래 ‘언’이란 ‘우리말’ 또는 ‘정음’을 가리키는 말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49. [네이버 지식백과] 훈민정음 - 세계가 인정하는 우리글 (장콩 선생님과 함께 묻고 답하는 세계문화유산 이야기(한국편), 2011. 3. 15., 장용준(장콩), 조성덕, 양희석, 주상태).....그들은 ≪훈민정음≫을 상것들이나 쓰는 글이라 하여 언문 또는 언서라고 했고, 아녀자들이 주로 쓰는 글이라 하여 암클, 반토막 글이라 하여 반절, 아이들이나 쓰는 글이라 하여 아햇글이라고 비하했지요. ≪훈민정음≫은 조선 최고의 명군주 세종 대왕이 만든 글자지만, 조선 시대 내내 지식인들에게 수모를 당했어요.
  50. [네이버 지식백과] 훈민정음은 모든 백성이 사용했는가 - 훈민정음과 '어린' 백성 (우리말의 수수께끼, 2002. 4. 20., 박영준, 시정곤, 정주리, 최경봉).....한문의 명칭을 '진짜글[진서(眞書)]'이라고 부르는 것은 그들의 신분을 드러내는 데 걸맞았다. 그들은 남부럽지 않은 수준 높은 문자 생활을 누리고 있었다. 그들에게 가짜글에 지나지 않는 새로운 문자는 전혀 필요치 않았던 것이다.
  51. [네이버 지식백과] 한글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52. 권광욱 <한자도 우리글> 해돋이 2008년, p179
  53. [네이버 국어사전] 중글
  54. 김슬옹 교수 [우리문화신문] 한글 28문제로 나는 한글박사 (2015.1.8)....조선시대 양반들이 한글 자체를 반대하지는 않았다. 1446년 정식 반포 이후 단 한 건의 반대 상소도 남아 있지 않다.
  55. 코리아 스토리 기획위원회 <한글, 자연의 모든 소리를 담는 글자> 허원미디어 2006 p110
  56. 김슬옹 교수 [우리문화신문] 정약용이 한글을 쓰지 않은 까닭은? (2016.10.30)
  57. 김동진 <헐버트의 꿈, 조선은 피어나리> 참좋은친구 2019년 p74
  58. 김동진 <헐버트의 꿈, 조선은 피어나리> 참좋은친구 2019년 p89
  59. 공병설 기자 [ 연합뉴스 2010-10-03 ] 115년 전 한글 로마자표기법 발표한 외국인...헐버트 박사는 그 서문에서 "조선 언문이 중국 글자에 비하여 크게 요긴하건만 사람들이 요긴한 줄도 알지 아니하고 업신여기니 어찌 아깝지 아니하리오"라고 썼다.
  60. 유재규 기자 [ SBS 뉴스, 2010.10.5 ] 한글 사랑한 미국인…'한글학자' 헐버트 재조명.....서문에서는 한글이라는 훌륭한 글자를 두고도 한자만 중시하던 당시 세태를 아쉬워하고 있습니다. 1908년까지 모두 15권의 한글 교과서를 펴냈습니다.
  61. 연산군일기 54권, 연산 10년 7월 19일
  62. 함규진 <한국인의 운명을 바꾼 역사적 선택, 108가지 결정> 페이퍼로드 2008년 p204
  63. 신병주 <조선을 움직인 사건들> 새문사 2009년 p102
  64. [연산군일기 54권] 연산 10년 7월 20일...且今後諺文勿敎勿學, 已學者亦令不得行用。 凡知諺文者, 令漢城五部, 摘告。 其知而不告者, 幷隣人罪之。 昨日捕罪人節目, 城內則已通諭, 城外及外方亦諭之
  65. 박영규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웅진지식하우스 2004년 초판175쇄 p218
  66. [네이버 지식백과] 기훼제서율 [棄毁制書律] (두산백과)...임금이 발행한 문서를 망가뜨린 죄를 다스리는 법.
  67. 연산군일기 54권, 연산 10년 7월 22일
  68. [네이버 지식백과] 제서유위율 [制書有違律] (한국고전용어사전, 2001. 3. 30., 세종대왕기념사업회).....임금의 교지(敎旨)와 세자(世子)의 영지(令旨)를 위반한 자를 다스리는 율. ≪대명률(大明律)≫ 이율(吏律) 제서유위조(制書有違條)에 의하면 위반한 사람은 장 1백에 처한다고 규정하였음. [유사어]제위율(制違律). [참고어]제서(制書).
  69. “연산군의 한글 탄압과 능이 되지 못한 연산군묘”. 우리문화신문. 2017년 5월 24일. 
  70. [네이버 지식백과] 훈민정음은 모든 백성이 사용하였을까? (우리말의 수수께끼, 2002. 4. 20., 박영준, 시정곤, 정주리, 최경봉)
  71. [연산군일기 56권] 1504년(연산 10년) 12월 10일 3번째기사
  72. 배영환 <‘현존 最古의 한글편지 ‘신창맹씨묘출토언간’에 대한 국어학적인 연구’> 국어사연구 15권 15호, 국어사학회, 2012년
  73. <안동 정상동 일선문씨와 이응태묘 발굴조사 보고서’> 안동대박물관, 2000년
  74. 대학율곡언해 - 디지털한글박물관
  75. [1]Archived 2022년 5월 28일 - 웨이백 머신 [국립 한글박물관 소식지 2017년 2월호] 최초로 한글 띄어쓰기, 존 로스 선교사로부터 시작되다...로스는 이응찬의 도움을 받아 최초의 한글 띄어쓰기가 도입된 한국어교재 ‘조선어 첫걸음(Corean Primer, 1877)’을 만들었다. 이는 로스가 자신과 같은 선교사나 외국인들이 한글을 배울 수 있도록 만든 책으로, 한글 아래 발음기호를 표기하는 방식으로 기록됐다. 여기에 최초의 한글 띄어쓰기가 도입된 것은 로스가 사용하던 영어의 띄어쓰기가 자연스레 반영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76. [국민일보 2013년 10월 8일] 한글 띄어쓰기 첫 도입은 로스 선교사...한글 출판물 가운데 처음으로 띄어쓰기가 도입된 문헌은 스코틀랜드 출신의 존 로스(1841∼1915) 선교사가 쓴 한국어 교재 ‘조선어 첫걸음(Corean Primer)’이다.
  77. [네이버 지식백과] 호머 헐버트 [Homer Bezaleel Hulbert] (두산백과)...한글의 우수성과 과학성에 매료돼 미국 언론과 영문 잡지에 기고를 통해 홍보했으며..(중략)..1896년 서재필, 주시경 등과 함께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 신문인 〈독립신문〉을 발간하였고, 당시 주시경과 함께 국문연구소를 설립하고 한글을 연구하며 띄어쓰기를 도입하였다.
  78. 第十四條 法律勅令總以國文爲本漢文附譯或用國漢文
  79. 第九條 法律命令은 다 國文으로써 本을 삼꼬 漢譯을 附하며 或國漢文을 混用홈
  80. 한동완《국문연구의정안》 신구문화사 2006 p17
  81. [네이버 지식백과] 국문연구소 [國文硏究所] (두산백과)
  82. 중종실록 1권, 중종 1년 9월 4일
  83. [네이버 지식백과] 국문연구소 [國文硏究所] (두산백과)
  84. [네이버 지식백과] 국문연구소 [國文硏究所]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학부대신 이재곤(李載崐)의 청의로 각의를 거쳐 그해 7월 8일에 설치되었다.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정음청(正音廳) 설치 이후 한글을 연구하기 위한 최초의 국가기관이라 할 수 있다.
  85. [네이버 지식백과] 국어연구학회 [國語硏究學會]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창립총회는 1908년 8월 31일 돈의문 밖 봉원사(奉元寺)에서 하기국어강습소 졸업생들과 국어연구에 뜻이 있는 사람들이 모여 열었다. 이날 김정진(金廷鎭)을 회장으로 뽑고, 사립청년학원(私立靑年學院)에 학회의 위치를 정했다. 주시경의 이력서에 의하여 ‘국문연구회(國文硏究會)’ 혹은 ‘국문연구학회(國文硏究學會)’로 알려져 왔으나, 이규영(李奎榮)이 편찬한 『한글모죽보기』가 발견됨으로써, 이 단체의 정확한 명칭과 연혁이 밝혀졌다.
  86. 한글학회 <한글학회 100년사> 2009년 p31....1911년 9월 3일 (일) 하오 2시에서 4시까지, 주시경 선생 댁에서 가진 1911년 총회에서 학회이름을 "배달말글 몯음(朝鮮言文會)"으로 바꾸었다. 가장 직접적인 이유는 경술국치를 당한뒤 "국어"가 일반적으로 일본어를 가르키는 것이 되었기 때문이다.
  87. [네이버 지식백과] 조선어연구회 [朝鮮語硏究會] (두산백과).....선구적 한글학자인 주시경(周時經)의 영향을 받은 임경재(任璟宰), 최두선(崔斗善), 이규방(李奎昉), 권덕규(權悳奎), 장지영(張志映), 신명균(申明均), 이상춘(李常春), 김윤경(金允經), 이승규(李昇圭) 등 15, 16명이 1921년 12월 3일 휘문의숙에서 국어의 정확한 법리(法理)를 연구할 목적으로 조직하였다. 간사장은 임경재, 간사는 장지영·최두선이었다. 역사상 최초의 국어연구학회로 학문연구뿐 아니라 주시경의 학문과 정신을 이어 말과 글을 통해 민족정신을 고취하고자 노력하였다. 이 단체는 1908년 8월 31일 주시경·김정진 등을 중심으로 우리 말과 글의 연구·통일·발전을 목표로 조직된 국어연구학회를 모체로 하여 탄생하였다.
  88. [네이버 지식백과] 문자보급운동 [文字普及運動] (두산백과)
  89. [네이버 지식백과] ‘가갸날’ 만드니 세종대왕님 울지 마옵소서 : 한글 보급 운동 (고교생이 알아야 할 한국사 스페셜, 2009. 2. 5., 김아네스, 최선혜)
  90. 새마을운동의 시작은…장준하? 박정희?, 노컷뉴스, 변상욱
  91. [네이버 지식백과] 조선어학회사건 [朝鮮語學會事件] (두산백과).....한국인이 한국말을 자유롭게 하지 못하게 하고 일본어를 사용토록 하는 일본어교육정책이었다. 학교에서도 조선어 교육을 폐지하고, 일본어로 강의하고 일본어를 기본과목으로 가르치고, 학생들의 학교생활에서도 일본어만을 사용토록 강제하였다. 이와 같이 물질이 아닌 정신적 측면에서 한국인을 일본인화하려는 정책을 추진해나가는 가운데, 한국의 지식인층의 저항을 탄압하지 않으면 그 뿌리를 뽑을 수 없다고 생각하였다.
  92. 코리아 스토리 기획위원회 <한글, 자연의 모든 소리를 담는 글자> 허원미디어 2006, p38
  93. [간송미술문화재단] 보성 중학교 인수과 훈민정음 구입
  94. [네이버 지식백과] 훈민정음 해례본 - 한글의 창제 목적과 원리를 밝히다 (위대한 문화유산, 이진명, 간송미술문화재단)...예의와 해례가 모두 실려 있는 훈민정음 정본이 1940년에야 발견되었다. 그것이 이 『훈민정음 해례본』이다. 이 『훈민정음 해례본』이 대중에게, 그리고 한글학회 간부들에게 공개된 것은 해방 후에 이르러서였다..(중략)..해방 후 조선어학회 간부들을 불러 한글 연구를 위해 영인본을 만들며 세상에 공개된다.
  95. [네이버 지식백과] 훈민정음 [訓民正音] (두산백과)
  96. “(한글학회) 학회소식 (발돋음)”. 2021년 11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1월 30일에 확인함.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97. [네이버 지식백과] 훈민정음 [訓民正音] (두산백과)
  98. 송명석 外 2명 <우리나라의 세계문화유산 1> 반석출판사 2013년 p179
  99. [United Nations Homepage] International Literacy Day 8 September -- Background....The 8th of September was proclaimed International Literacy Day by UNESCO in 1966 to remi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f the importance of literacy for individuals, communities and societies, and the need for intensified efforts towards more literate societies. The issue of literacy is a key component of the UN'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the UN's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100. [네이버 지식백과] 세종대왕상 [King Sejong Prize, 世宗大王賞] (두산백과)
  101.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제32회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 수상
  102. [UNESCO Homepage] UNESCO International Literacy Prizes....Since 1967, UNESCO International Literacy Prizes have rewarded excellence and innovation in the field of literacy. Over 500 projects and programmes undertaken by governments,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around the world have been recognized. Through these prestigious Prizes, UNESCO seeks to support effective literacy practices and encourages the promotion of dynamic literate societies. Currently there are two UNESCO International Literacy Prizes: +The UNESCO King Sejong Literacy Prize (3 awards) : Established in 1989, with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t gives special consideration to mother anguage-based literacy development. Each of the three UNESCO King Sejong prizewinners receives a medal, a diploma and US$20.000.
  103. 세계는 지금 '언어전쟁' 중
  104. “한글 홀대하는 사회”. 2012년 11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2월 2일에 확인함. 
  105. 솔로몬제도 일부 주(州)서 표기문자로 한글 채택
  106. 其字倣古篆分爲初中終聲合之然後乃成字 : (그 글자는 옛 전자(篆字)를 모방하고, 초·중·종성으로 나뉘어 그것을 합한 연후에 글자를 이룬다.) 《세종실록》 25년 12월 30일.
  107. 象形而字倣古篆因聲而音叶七調 (물건의 형상을 본떠서 글자는 고전을 모방하고, 소리(聲)로 인(因)하여 음(音)은 칠조(七調)에 맞아). 《세종실록》28년 9월 29일. 이 기사는 《훈민정음》의 정인지 〈서(序)〉를 옮겨 놓은 것이다.
  108. 이성규 <UFO가 놀고 트랜스젠더 닭이 울었사옵니다> 살림출판사 2010년, p225
  109. 함규진 <한국인의 운명을 바꾼 역사적 선택, 108가지 결정> 페이퍼로드 2008년 p198
  110. 글로벌세계대백과, 〈양반관료의 문화〉, 한글 창제.
  111. 然ㄱㆁㄷㄴㅂㅁㅅㄹ八字可足用也如ㅂ·ㅣㅅ곶爲梨花여ㅿ의갗爲狐皮而ㅅ字可以通用故只用ㅅ字 ,훈민정음 해례 종성해
  112. [ 네이버 국어사전 ] '로마자 표기법'의 필요성
  113. 공병설 기자 [ 연합뉴스 2010-10-03 ] 115년 전 한글 로마자표기법 발표한 외국인
  114. [네이버 지식백과] 로마자표기법 [Romanization] (두산백과)
  115. [네이버 지식백과] 로마자표기법 [─字表記法]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116. 차지연 [연합뉴스] 솔로몬제도 일부 州, 표기문자로 한글 채택 (2012.10.08)
  117. 김희영 기자 [머니투데이] 솔로몬제도 일부 州, 표기문자로 한글 채택 (2012.10.09)
  118. [세종소리] 우리가 모르는 한글이야기 (4분 13초)

참고 문헌

관련 문헌

외부 링크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양반관료의 문화"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Strategi Solo vs Squad di Free Fire: Cara Menang Muda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