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그마스테롤(영어: stigmasterol)은 가장 풍부한 식물성 스테롤(피토스테롤) 중 하나이며, 세포막의 구조와 생리를 유지하는 주요 기능을 가지고 있다.[2]유럽 연합에서는 E 번호가 E499인 식품 첨가물이며, 식품 제조에 사용되어 피토스테롤 함량을 증가시키며, 잠재적으로 저밀도 지질단백질(LDL)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낮출 수 있다.[3]
발견
20세기 중반에 울젠 인자(Wulzen factor)라고 불린 스티그마스테롤은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생리학자 로절린드 울젠에 의해 발견되었다.[4]
자연적인 생성
스티그마스테롤은 콩, 칼라바르콩, 유채씨 등과 같은 수많은 식물성 지방이나 기름에서, 분꽃류의 중국 약초인 소엽맥문동[5]을 포함한 본초학에서 사용되는 약초에서 생성되는 불포화 피토스테롤이다.[2]
스티그마스테롤은 다양한 채소, 협과, 견과류, 씨앗 및 저온 살균을 하지 않은 우유의 구성 성분이다. 저온 살균은 스티그마스테롤을 불활성화시킨다. 식용유에는 채소보다 많은 양의 스티그마스테롤이 들어 있다.[6]
업존사(社)는 1959년에 코리티손을 상업적으로 합성하는 과정의 출발 원료로 스티그마스테롤을 사용했다.[12][13]
연구
주요 피토스테롤 중 하나로서, 스티그마스테롤은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킬 가능성을 가진 식이에서 스테롤 화합물 중에 포함된다.[2] 식물성 스테롤을 하루에 2 g을 섭취하면 혈액의 저밀도 지질단백질(LDL) 콜레스테롤을 8~10% 감소시키고,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 위험을 낮출 수 있다.[3] 식물 세포의 생리 과정의 한 요소로서, 스티그마스테롤은 식물 세포막의 생합성과 관련된 식물 스트레스 반응 및 대사 반응에서 역할을 할 수 있다.[2] 스티그마스테롤은 또한 TNF-α 및 VEGFR-2의 하향 조절을 통해 항혈관형성 및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14]
볼데논의 잠재적 전구체
스테로이드인 스티그마스테롤은 단백동화 스테로이드인 볼데논의 전구체이다. 볼데논 운데실레네이트는 가축의 성정을 유도하기 위해 수의학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스포츠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남용되는 단백동화 스테로이드 중 하나이다. 이것은 볼데논에 양성 반응을 보인 일부 운동 선수들이 스테로이드 자체를 섭취한 것이 아니라 스티그마스테롤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한 것이 아닌가라는 의혹을 불러일으켰지만,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15][16][17]
↑ 가나다라Ferrer A, Altabella T, Arró M, Boronat A (July 2017). “Emerging roles for conjugated sterols in plants”. 《Progress in Lipid Research》 67: 27–37. doi:10.1016/j.plipres.2017.06.002. PMID28666916.
↑Han JH, Yang YX, Feng MY (December 2008). “Contents of phytosterols in vegetables and fruits commonly consumed in China”. 《Biomedical and Environmental Sciences》 21 (6): 449–53. doi:10.1016/S0895-3988(09)60001-5. PMID19263798.
↑Sundararaman P, Djerassi C (October 1977). “A convenient synthesis of progesterone from stigmasterol”. 《The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42 (22): 3633–4. doi:10.1021/jo00442a044. PMID915584.
↑Gallina G, Ferretti G, Merlanti R, Civitareale C, Capolongo F, Draisci R, Montesissa C (October 2007). “Boldenone, boldione, and milk replacers in the diet of veal calves: the effects of phytosterol content on the urinary excretion of boldenone metabolite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55 (20): 8275–83. doi:10.1021/jf071097c. PMID17844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