β-하이드록시뷰티르산(영어: β-hydroxybutyric acid) 또는 3-하이드록시뷰티르산(영어: 3-hydroxybutyric acid)은 화학식이 CH3CH(OH)CH2CO2H인 유기 화합물이며 β-하이드록시산이다. β-하이드록시뷰티르산의 짝염기는 β-하이드록시뷰티레이트(영어: β-hydroxybutyrate) 또는 3-하이드록시뷰티레이트(영어: 3-hydroxybutyrate)로 알려져 있다. β-하이드록시뷰티르산은 2가지 거울상 이성질체인 D-β-하이드록시뷰티르산 및 L-β-하이드록시뷰티르산을 갖는 카이랄 화합물이다. β-하이드록시뷰티르산의 산화된 유도체 및 중합된 유도체는 자연에서 광범위하게 생성된다. 사람에서 D-β-하이드록시뷰티르산은 Gi/o-연결 G 단백질 연결 수용체(GPCR)인 하이드록시카복실산 수용체 2(HCA2)의 내인성작용제 중 하나이다.[1][2]
D-β-(D-β-하이드록시뷰티릴옥시)-뷰티르산의 D-β-하이드록시뷰티르산으로의 전환을 포함하는 이 대사 경로에서의 마지막 반응은 하이드록시뷰티르산-이량체 가수분해효소에 의해 촉매된다.[3]
다른 케톤체와 마찬가지로 사람의 혈장에서 β-하이드록시뷰티르산의 농도는 케톤증을 통해 증가한다.[4] β-하이드록시뷰티르산이 아세토아세트산으로부터 형성되기 때문에, β-하이드록시뷰티르산의 수치 상승은 자연적으로 예상된다. β-하이드록시뷰티르산은 혈당량이 낮을 때 뇌에 의해 에너지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5]당뇨병 환자는 당뇨병성 케톤산증을 진단하기 위해 소변 또는 혈액을 통해 케톤 수치를 검사할 수 있다. 알코올성 케톤산증에서 이러한 케톤체는 가장 높은 농도로 생성된다. 케톤체생성은 간세포의 옥살아세트산이 고갈될 경우 탄수화물 섭취를 줄임(다이어트 또는 기아를 통해)으로써 생기는 상황, 장기간의 과도한 알코올 섭취, 인슐린 결핍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옥살아세트산은 아세틸-CoA의 시트르산 회로로의 진입에 중요하기 때문에 충분한 옥살아세트산의 부재 하에서 지방산 산화로부터 아세틸-CoA의 빠른 생성은 시트르산 회로로 인한 감소된 용량을 압도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과량의 아세틸-CoA는 케톤체생성 방향으로 대사된다.
β-하이드록시뷰티르산은 산 가수분해에 의해 폴리하이드록시뷰티르산으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10]
혈장 내 β-하이드록시뷰티르산의 농도는 전자 수용성 보조 인자로 NAD+와 함께 β-하이드록시뷰티르산 탈수소효소를 사용하는 테스트를 통해 측정된다. β-하이드록시뷰티르산 탈수소효소에 의해 촉매되는 β-하이드록시뷰티르산의 아세토아세트산으로의 전환은 NAD+를 NADH로 환원시켜 전기적 변화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변화의 크기는 샘플에서 β-하이드록시뷰티르산의 양을 추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 가나Offermanns S, Colletti SL, Lovenberg TW, Semple G, Wise A, IJzerman AP (June 2011). “International Union of Basic and Clinical Pharmacology. LXXXII: Nomenclature and Classification of Hydroxy-carboxylic Acid Receptors (GPR81, GPR109A, and GPR109B)”. 《Pharmacological Reviews》 63 (2): 269–90. doi:10.1124/pr.110.003301. PMID21454438.
↑ 가나Offermanns S, Colletti SL, IJzerman AP, Lovenberg TW, Semple G, Wise A, Waters MG. “Hydroxycarboxylic acid receptors”. 《IUPHAR/BPS Guide to Pharmacology》. International Union of Basic and Clinical Pharmacology. 2018년 7월 13일에 확인함.
↑Gilbert DL, Pyzik PL, Freeman JM (2000). “The ketogenic diet: seizure control correlates better with serum beta-hydroxybutyrate than with urine ketones”. 《Journal of Child Neurology》 15 (3): 787–790. doi:10.1177/088307380001501203. PMID11198492. S2CID46659339.
↑Yoshiharu Doi; Masao Kunioka; Yoshiyuki Nakamura; Kazuo Soga (1988). “Nuclear magnetic resonance studies on unusual bacterial copolyesters of 3-hydroxybutyrate and 4-hydroxybutyrate”. 《Macromolecules》 21 (9): 2722–2727. Bibcode:1988MaMol..21.2722D. doi:10.1021/ma00187a012.
↑Dieter Seebach, Albert K. Beck, Richard Breitschuh, and Kurt Job "Direct Degradation of the Biopolymer Poly[(R)-3-Hydroxybutrric Acid to (R)-3-Hydroxybutanoic Acid and Its Methyl Ester" Org. Synth. 1993, 71, 39. doi10.15227/orgsyn.071.0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