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re to: share facebook share twitter share wa share telegram print page

대어족

대어족(大語族, 영어: macrofamily)는 합의된 어족(고립된 언어 포함)들을 더 큰 규모의 분류로 묶는 가설적 관계를 말한다.[1][2] 이 용어는 드물게 아프리카아시아어족과 같이 매우 오래되고 방대하고 다양성이 높은 언어 계통을 묘사하는 데도 쓰였다.[3]

거시 비교언어학

대어족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 이론은 간혹 거시 비교언어학(Макрокомпаративистика)이라는 이름으로 묘사된다. 언어학자 에드워드 바이다(Edward Vajda)는 오늘날 비교언어학계가 크게 언어의 계통 성립에 극도로 설득력 있는 증거를 요구하는 학자들과 극명한 증거 없이도 소수의 계통 안에 언어들을 분류하는 학자들로 나뉜다고 말하며 이들을 각각 "splitters"(분할파)와 "lumpers"(통합파)라고 표현하였다.[4] 또한 바이다는 대량 비교의 방법론을 사용하는 조지프 그린버그메릿 룰렌 등 학자들과 노스트라트어족 가설로 대표되는 러시아의 모스크바 비교언어학파를 "super lumper"(초통합파)라고 묘사한다.[5] 거시 비교언어학은 오늘날 학계에서 변두리 이론으로 여겨진다.[6]

목록

같이 보기

각주

  1. Campbell, Lyle and Mixco, Mauricio J. (2007), A Glossary of Historical Linguistics, University of Utah Press/Edinburgh University Press.
  2. Matthews, P.H. (2007), Oxford Concise Dictionary of Linguistics, Oxford University Press.
  3. Diakonoff, Igor M. (1996), "Some reflections on the Afrasian linguistic macrofamily." Journal of Near Eastern Studies 55, 293–294.
  4. Vajda E. J. “Historical-comparative Linguistics”. cii.wwu.edu. 2017년 8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8월 20일에 확인함. 
  5. Vajda E. J. “Notes to the film "Before Babel". 《cii.wwu.edu》. 2016년 1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8월 26일에 확인함. 
  6. Старостин Г. С. и др. К истокам языкового разнообразия. Десять бесед о сравнительно-историческом языкознании с Е. Я. Сатановским — Москва: Издательский дом «Дело» РАНХиГС, 2015. — С. 208, 209, 211—213, 227, 233. — 584 с. — ISBN 978-5-7749-1054-0, УДК 81-115, ББК 81.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