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 성우극회(韓國放送 聲優劇會)는 한국방송공사에서 운영하는 대한민국 방송의 성우 단체이다.
한국방송공사의 산하로 두고있는 한국방송 출신 성우들이 정회원으로 있는 성우 관련 단체이다. 상위기관은 한국방송공사이며 성우극회장을 필두로 자사 성우들의 작품 출연, 근로 처우, 방송 활동 등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한국방송공사 성우 공채를 통해서 선발하고 있으며 한국방송공사에서 주관하는 한국방송공사 한국어능력시험 자격증 소지자의 경우 가산점이 주어진다.
기본적으로 한국방송공사의 성우 공채에 합격한 성우들로 이루어져 있으나, 한국방송공사가 1980년 말 전두환 정권의 방송 통폐합 조치로 인해 동양방송(TBC)와 동아방송(DBS)를 강제 인수하게 됨에 따라 이전에 TBC와 DBS의 공채에 합격한 성우들까지 한국방송 성우극회에 소속되었고, 결과적으로는 한국방송 성우극회가 국내 최대의 성우극회가 되는데 큰 배경이 되었다.
한국방송 성우극회 공채에 합격하여 한국방송공사의 전속 성우로 활동하게 된 성우들은 전속 기간 동안 외화 및 애니메이션 더빙은 하지 않고 대부분 라디오 드라마에 출연하거나 간혹 KBS 프로그램 나레이션을 맡게 된다. 라디오 드라마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한국방송 성우극회의 뿌리가 과거 라디오 방송 활동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라디오 드라마의 명맥을 이어나가는데 가장 큰 믿거름이 되고 있다.
1994년까지는 성우를 최대 14명까지 뽑은 바 있다. 그래서 성우들의 활동이 사실적으로 줄게 되거나 아예 일이 부여되지 않자, 1995년부터 성우를 12~10명 이하로 뽑기로 하였다.
2025년 50기인 8명이자, 프리랜서로 된 7명으로 바뀌어서[1] 2026년부터 신규 공채를 중단한다.
취소선 표시는 KBS 성우극회로부터 탈퇴, 제명 혹은 이적했거나 현재 사망한 성우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