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황태후(太皇太后) 또는 태제태후(太帝太后)는 현 황제의 조모뻘로, 주로 선선대 황제의 정실 부인이다. 궁중에서 가장 높은 여인이며, 황실의 위엄을 상징한다. 태황태후는 그다지 정치적 실권은 없었으나, 궁중에서 가장 배분이 높기 때문에 언제나 존중의 대상이 되었다.
태황태후는 황제가 조모뻘임을 살필 때 실가(實家)의 항렬은 치지 아니하고 왕통(王統)만 치며, 반드시 전전 황제의 정실 부인이지도 않다.
하지만 태황태후는 황태후처럼 흔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상당수의 태후들이 황태후대에 사망하는 경우가 많기에 장수해서 태황태후까지 되는 것은 매우 드물었다. 어떤 때에는 황실의 최고 어른으로서 수렴청정을 행하기도 하였다.
한국의 태황태후
한국에서는 삼국 시대와 고려 시대에는 태왕태후(太王太后), 태상태후(太上太后), 대왕태후(大王太后) 등으로 불리었고, 조선 시대에는 대왕대비(大王大妃)로 불리었다.
베트남의 태황태후
베트남은 딘 왕조 이후로 외왕내제(外王內帝)식의 정치를 하면서, 황제국 체제의 풍습을 모방하여 마지막 왕조였던 응우옌 왕조가 멸망할 때까지는 황제국의 호칭인 태후(太后)를 사용하였다. 단, 레 왕조의 속주인 응우옌 주와 찐 주는 황제국의 호칭이 아닌 제후국의 호칭인 태비(太妃)를 사용하였고, 찐 주에서는 태황태후를 태존태비(太尊太妃)로 불리었다.
황제 |
자격 (황제와의 관계) |
시호(존호) |
성씨 |
배우자 |
재위기간 (음력/양력) |
능묘 |
비고
|
쩐 영종 (Anh Tông /陳英宗) |
어머니 |
흠자보성황태후 (Khâm Từ Bảo Thánh Hoàng Thái Hậu /欽慈保聖皇太后) |
진씨 (Trần Thị /陳氏) |
쩐 인종 (Nhân Tông /陳仁宗) |
(추존) |
덕릉 (Đức Lăng /德陵) |
[1]
|
쩐 명종 (Minh Tông /陳明宗) |
의붓 할머니 |
선자황태후 (Tuyên Từ Hoàng Thái Hậu /宣慈皇太后) |
1314년 3월 18일 (4월 3일) |
1318년 8월 19일 (9월 14일) |
귀덕릉 (Quy Đức Lăng /歸德陵) |
|
혼덕공 (Hôn Đức Công /昏德公) |
의붓 할머니 (양조모) |
헌자선성황태후 (Hiến Từ Tuyên Thánh Hoàng Thái Hậu /憲慈宣聖皇太后) |
쩐 명종 (Minh Tông /陳明宗) |
1369년 8월 4일 (9월 5일) |
1369년 12월 14일 (1370년 1월 12일) |
목릉 (Mục Lăng /穆陵) |
|
황제 |
자격 (황제와의 관계) |
시호 |
성씨(이름) |
존호 |
배우자 |
재위기간 (음력/양력) |
능묘 |
비고
|
레 숙종 (Túc Tông /黎肅宗) |
할머니 |
휘가태황태후 (Huy Gia Thái Hoàng Thái Hậu /徽嘉太皇太后) |
응우옌 티 항 (Nguyễn Thị Hằng /阮氏恆 /완씨항) |
[2] |
레 성종 (Thánh Tông /黎聖宗) |
1504년 6월 6일 (7월 17일) |
1505년 3월 22일 (4월 25일) |
소릉 (Chiêu Lăng /昭陵) |
|
레 위목제 (Uy Mục Đế /黎威穆帝)
|
황제 |
자격 (황제와의 관계) |
시호 |
성씨 |
배우자 |
재위기간 |
비고
|
막 선종 (Tuyên Tông /莫宣宗) |
할머니 |
문황후 (Văn hoàng hậu /文皇后) |
팜띠 (Phạm thị /范氏 /범씨) |
막 태종 (Thái Tông /莫太宗) |
|
|
순복제 (Thuần Phúc đế /淳福帝) |
할머니 |
현황후 (Hiển hoàng hậu /顯皇后) |
|
막 헌종 (Hiến Tông /莫憲宗) |
|
|
무안제 (Vũ An đế /武安宗) |
할머니 |
|
부띠 (Vũ Thị /裴氏 /배씨) |
막 선종 (Tuyên Tông /莫宣宗) |
1592년 |
|
군주 |
자격 (군주와의 관계) |
시호 |
성씨(이름) |
존호 |
배우자 |
재위기간 |
비고
|
위남왕 (Uy Nam Vương /威南王) |
할머니 |
자선태비 (Tứ Tuyên Thái Phi /慈宣太妃) |
쯔엉 티 응옥쭈 (Trương Thị Ngọc Chử /張氏玉杵 /장씨옥저) |
[3] |
진광왕 (Tấn Quang Vương /晉光王) |
1729년 ~ 1750년 |
|
명도왕 (Minh Đô Vương /明都王) |
할머니
|
어머니 |
자덕태비 (Từ Đức Thái Phi /慈德太妃) |
부 티 응옥응우옌 (Vũ Thị Ngọc Nguyên /武氏玉源 /무씨옥원) |
[4] |
안도왕 (An Đô Vương /安都王) |
1740년 ~ 1751년 |
|
정도왕 (Điện Đô Vương /奠都王) |
할머니 |
자택태비 (Từ Trạch Thái Phi /慈澤太妃) |
응우옌 티 응옥디엠 (Nguyễn Thị Ngọc Diễm /阮氏玉焰 /완씨옥염) |
[5] |
명도왕 (Minh Đô Vương /明都王) |
1782년 ~ 1784년 |
|
단남왕 (Đoan Nam Vương /端南王) |
할머니
|
황제 |
자격 (황제와의 관계) |
시호 |
성씨(이름) |
존호 |
배우자 |
재위기간 |
능묘 |
비고
|
티에우찌제 (Thiệu Trị /昭治帝 /소치제) |
할머니 |
순천고황후 (Thuận Thiên Cao Hoàng Hậu /順天高皇后) |
쩐 티 당 (Trần Thị Đang /陳氏璫 /진씨당) |
[6] |
자롱제 (Gia Long /嘉隆帝 /가륭제) |
1840년 ~ 1846년 |
천수릉 (Thiên Thọ Lăng /天授陵) |
|
죽득제 (Dục Đức /育德帝) |
법적 할머니 |
의천장황후 (Nghi Thiên Chương Hoàng Hậu /儀天章皇后) |
팜 티 항 (Phạm Thị Hằng /范氏姮 /범씨항) |
[7] |
티에우찌제 (Thiệu Trị /昭治帝 /소치제) |
1883년 ~ 1889년 (태황태후) |
창수릉 (Xương Thọ Lăng /昌壽陵) |
[8]
|
히엡호아제 (Hiệp Hòa /協和帝) |
의붓 어머니
|
끼엔푹제 (Kiến Phúc /建福帝) |
법적 할머니
|
함응히제 (Hàm Nghi /咸宜帝) |
법적 할머니
|
동카인제 (Đồng Khánh /同慶帝) |
법적 할머니
|
타인타이제 (Thành Thái /成泰帝) |
법적 증조모 |
[9] |
1889년 ~ 1902년 (태태황태후)
|
법적 할머니 |
여천영황후 (Lệ Thiên Anh Hoàng Hậu /儷天英皇后) |
부 티 하이 (Vũ Thị Hài /武氏諧 /무씨해) |
[10] |
뜨득제 (Tự Đức /嗣德帝) |
1889년 ~ 1903년 |
겸수릉 (Khiêm Thọ Lăng /謙壽陵) |
|
바오다이제 (Bảo Đại /保大帝) |
의붓 할머니 |
보천순황후 (Phụ Thiên Thuần Hoàng Hậu /輔天純皇后) |
응우옌 흐우 티 냔 (Nguyễn Hữu Thị Nhàn /阮友氏嫻 /완우씨한) |
[11] |
동카인제 (Đồng Khánh /同慶帝) |
1933년 ~ 1935년 |
사명릉 (Tư Minh Lăng /思明陵) |
|
할머니 |
우천순황후 (Hựu Thiên Thuần Hoàng Hậu /佑天純皇后) |
쯔엉 티 툭 (Dương Thị Thục /楊氏熟 /양씨숙 |
[12] |
1933년 ~ 1944년 |
사총릉 (Tư Thông Lăng /思聰陵) |
|
중국의 태황태후
중국에서는 한나라의 여치(呂雉)가 섭정을 명분으로 태황태후로 재위한 이후로 청나라가 멸망 할 때까지 계속 쓰여왔다.
태황태후를 태제태후(太帝太后), 황태태후(皇太太后), 제태태후(帝太太后), 태제태황태후(太帝太皇太后) 등으로도 불리었다.
위진시대
남북조 시대(북조)
황제 |
자격 (황제와의 관계) |
시호 |
성씨(이름) |
배우자 |
재위기간 |
비고
|
민(閩)
|
민 강종(閔康宗) |
할머니 |
- |
황혜고(黃惠姑) |
민 태조(閔太祖) |
935년 ~ ? |
|
황제 |
자격 (황제와의 관계) |
시호 |
성씨 |
배우자 |
재위기간(음력/양력) |
능묘 |
비고
|
홍광제(弘光帝) |
할머니 |
효령태황태후 (孝寧太皇太后) |
정씨(鄭氏) |
만력제(萬曆帝) |
(추존) |
- |
|
영력제(永曆帝) |
할머니 |
효경태황태후 (孝敬太皇太后) |
이씨(李氏) |
(추존) |
- |
|
일본의 태황태후
일본에서는 다이호 율령으로 율령제(律令制)를 도입한 이후, 삼궁(황후, 황태후, 태황태후)의 칭호가 쓰여졌다. 영(令)에서 삼궁과 후비들을 관리하기 위해 <츄구시키(中宮職)>란 관청을 세웠고, 『료노기게(令義解)』에서는 츄구시키를 태황태후를 모시기 위한 근거로 삼았지만, 그와는 별개로 태황태후에게 따로 궁직을 주어 모시게 하였다.
쇼무 천황의 생모이자 고켄 천황의 조모인 후지와라노 미야코(藤原 宮子)를 태황태후로 격상시킨 이후로, 역대 천황의 정실과 생모, 준황후(유모, 양모), 전전황후등을 격상 시키거나 추존을 하였다. 그러나 헤이안시대 중후기 쯤에 섭관정치(摂関政治)와 원정(院政)등의 의해서 황후와 중궁의 작위가 본래 하나인데 새로이 황후의 작위를 만들기도 하였고, 후지와라 가문의 섭정으로 천황의 재위기간이 짧아지고, 천황이 양위한 다음에도 중궁을 새로 간택을 한다든지, 천황의 후비가 아닌 황족이 황후나 황태후를 자칭하는 일 등의 이유로 태황태후의 작위는 막부시대가 들어선 이후에는 거의 잘 쓰이지 않았다. 황태후 작위도 난보쿠초 시대 이후에는 황후에 재위하거나 중궁이상의 정실에게만 사용하게 하였다.
같이 보기
각주
- ↑ 쩐 영종 흥롱(興隆) 17년(1309년) 황태후에서 태황태후로 추존됨.
- ↑ 장락성자태황태후(Trường Lạc Thánh Từ Thái Hoàng Thái Hậu/長樂聖慈太皇太后)
- ↑ 휘유순덕태종태비(Huy Nhu Thuần Đức Thái Tông Thái Phi/徽柔淳德太宗太妃)
- ↑ 의공후덕장행단의광운연복태존태비(Ý Công Hậu Đức Trang Hạnh Đoan Nghi Khuông Vận Diễn Phúc Thái Tông Thái Phi/懿恭厚德莊幸端儀匡運衍福太宗太妃)
- ↑ 성자태존태비(Thánh Từ Thái Tông Thái Phi/聖慈太宗太妃)
- ↑ 인선자경복수강녕태황태후(Nhân Tuyên Từ Khánh Phúc Thọ Khang Ninh Thái Hoàng Thái Hậu/仁宣慈慶福壽康寧太皇太后)
- ↑ 자유박혜태황태후(Từ Dụ Bác Huệ Thái Hoàng Thái Hậu/慈裕博惠太皇太后)
- ↑ 타인타이 황제 즉위 후 태태황태후(太太皇太后)라는 존호를 신설하여 존숭함.
- ↑ 자유박혜강수태태황태후(Từ Dụ Bác Huệ Khang Thọ Thái Thái Hoàng Thái Hậu/慈裕博惠康壽太太皇太后)
- ↑ 장의순효태황태후(Trang Ý Thuận Hiếu Thái Hoàng Thái Hậu/莊懿順孝太皇太后)
- ↑ 곤원창명태황태후(Khôn Nguyên Xương Minh Thái Hoàng Thái Hậu/坤元昌明太皇太后)
- ↑ 곤의창덕태황태후(Khôn Nghi Xương Đức Thái Hoàng Thái Hậu/坤儀昌德太皇太后)
- ↑ 명제 즉위 후 황태후로 격하.
- ↑ 폐제 퇴위 후 황태후로 복위.
- ↑ 효소제 때 황태후로 복위.
- ↑ 경수태황태후(慶壽太皇太后)
- ↑ 숭경태황태후(崇慶太皇太后)
- ↑ 수성융자비복광우태황태후(壽聖隆慈備福光祐太皇太后)
- ↑ 수성혜성자우태황태후(壽成惠聖慈佑太皇太后)
- ↑ 수화성복태황태후(壽和聖福太皇太后)
- ↑ 경원궁태황태후(慶元宮太皇太后)
- ↑ 명덕궁태황태후(明德宮太皇太后)
- ↑ 의천흥성자인소의수원전덕태녕복경휘문숭우태황태후(儀天興聖慈仁昭懿壽元全德泰寧福慶徽文崇佑太皇太后)
- ↑ 찬천개성인수휘의소선정문자우저선연경복원태황태후(贊天開聖仁壽徽懿昭宣貞文慈佑儲善衍慶福元太皇太后)
- ↑ 역모를 일으켜 폐서인 됨.
- ↑ 성자인수태황태후(聖慈仁壽太皇太后)
- ↑ 자성강수태황태후(慈聖康壽太皇太后)
- ↑ 소성자수공간안의장경돈혜온장강화인선홍정태황태후(昭聖慈壽恭簡安懿章慶敦惠溫莊康和仁宣弘靖太皇太后)
- ↑ 황태부인(皇太夫人)에서 태황태후(太皇太后)로 격상됨.
- ↑ 다이도 원년(806년)에 황태후에서 태황태후로 추증됨.
- ↑ 안나 2년(969년)에 황태후에서 태황태후로 추증됨.
- ↑ 역대 일본 황후 중에서 재위기간이 가장 김.
- ↑ 시라카와 천황의 황녀이자 도바 천황의 준모(准母). 존칭황후(尊称皇后)에서 태황태후로 격상됨.
- ↑ 역대 최연소 재위이자 최단기간 재위. 이후 니조 천황에게 재가 하면서 중궁으로 복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