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값 정리
해석학 에서 중간값 정리 [ 1] (中間-定理, 영어 : intermediate value theorem ) 또는 사잇값 정리 [ 2] :78 는 구간 에 정의된 실숫값 연속 함수 가 임의의 두 함숫값 사이의 모든 수를 함숫값으로 포함한다는 정리이다. 이에 따라, 실숫값 연속 함수에 대한 구간의 상 은 구간이다.
정의
연속 함수
f
: : -->
[
a
,
b
]
→ → -->
R
{\displaystyle f\colon [a,b]\to \mathbb {R} }
가 주어졌다고 하자. 중간값 정리 에 따르면, 다음이 성립한다.
f
(
[
a
,
b
]
)
⊇ ⊇ -->
[
f
(
a
)
,
f
(
b
)
]
∪ ∪ -->
[
f
(
b
)
,
f
(
a
)
]
{\displaystyle f([a,b])\supseteq [f(a),f(b)]\cup [f(b),f(a)]}
즉, 임의의
u
∈ ∈ -->
(
f
(
a
)
,
f
(
b
)
)
∪ ∪ -->
(
f
(
b
)
,
f
(
a
)
)
{\displaystyle u\in (f(a),f(b))\cup (f(b),f(a))}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c
∈ ∈ -->
(
a
,
b
)
{\displaystyle c\in (a,b)}
가 존재한다.[ 3]
f
(
c
)
=
u
{\displaystyle f(c)=u}
증명
편의상
f
(
a
)
<
f
(
b
)
{\displaystyle f(a)<f(b)}
라고 가정하자. 임의의
f
(
a
)
<
u
<
f
(
b
)
{\displaystyle f(a)<u<f(b)}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집합을 정의하자.
E
=
{
x
∈ ∈ -->
[
a
,
b
]
: : -->
f
(
x
)
<
u
}
{\displaystyle E=\{x\in [a,b]\colon f(x)<u\}}
그렇다면,
a
∈ ∈ -->
E
{\displaystyle a\in E}
이며,
b
{\displaystyle b}
는
E
{\displaystyle E}
의 한 상계이다. 따라서,
E
{\displaystyle E}
는 유한한 상한
c
=
sup
E
∈ ∈ -->
R
{\displaystyle c=\sup E\in \mathbb {R} }
를 갖는다.
f
{\displaystyle f}
가 연속 함수이므로, 다음을 만족시키는
δ δ -->
>
0
{\displaystyle \delta >0}
이 존재한다.
f
(
x
)
<
u
∀ ∀ -->
a
≤ ≤ -->
x
<
a
+
δ δ -->
{\displaystyle f(x)<u\qquad \forall a\leq x<a+\delta }
f
(
x
)
>
u
∀ ∀ -->
b
− − -->
δ δ -->
<
x
≤ ≤ -->
b
{\displaystyle f(x)>u\qquad \forall b-\delta <x\leq b}
따라서
a
<
c
<
b
{\displaystyle a<c<b}
이다. 이제 귀류법 을 사용하여
f
(
c
)
=
u
{\displaystyle f(c)=u}
를 보이자. 먼저
f
(
c
)
>
u
{\displaystyle f(c)>u}
라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f
{\displaystyle f}
가 연속 함수이므로 다음을 만족시키는
η η -->
>
0
{\displaystyle \eta >0}
이 존재한다.
f
(
x
)
>
u
∀ ∀ -->
c
− − -->
η η -->
<
x
<
c
+
η η -->
{\displaystyle f(x)>u\qquad \forall c-\eta <x<c+\eta }
즉,
c
− − -->
η η -->
{\displaystyle c-\eta }
는
E
{\displaystyle E}
의 또 다른 상계이며, 이는
c
− − -->
η η -->
<
c
{\displaystyle c-\eta <c}
와 모순이다. 이제
f
(
c
)
<
u
{\displaystyle f(c)<u}
를 가정하자. 그렇다면,
f
{\displaystyle f}
가 연속 함수이므로 다음을 만족시키는
η η -->
>
0
{\displaystyle \eta >0}
이 존재한다.
f
(
x
)
<
u
∀ ∀ -->
c
− − -->
η η -->
<
x
<
c
+
η η -->
{\displaystyle f(x)<u\qquad \forall c-\eta <x<c+\eta }
즉,
c
+
η η -->
/
2
∈ ∈ -->
E
{\displaystyle c+\eta /2\in E}
이며, 이는
c
=
sup
E
{\displaystyle c=\sup E}
와 모순이다. 따라서
f
(
c
)
=
u
{\displaystyle f(c)=u}
이다.
따름정리
볼차노 정리
연속 함수
f
: : -->
[
a
,
b
]
→ → -->
R
{\displaystyle f\colon [a,b]\to \mathbb {R} }
가 다음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f
(
a
)
f
(
b
)
<
0
{\displaystyle f(a)f(b)<0}
볼차노 정리 (영어 : Bolzano's theorem )에 따르면,
f
{\displaystyle f}
는
(
a
,
b
)
{\displaystyle (a,b)}
에서 영점 을 갖는다. 즉, 다음을 만족시키는
c
∈ ∈ -->
(
a
,
b
)
{\displaystyle c\in (a,b)}
가 존재한다.
f
(
c
)
=
0
{\displaystyle f(c)=0}
볼차노 정리는 중간값 정리에서
u
=
0
{\displaystyle u=0}
인 특수한 경우이다.
구간의 보존
구간
I
⊆ ⊆ -->
R
{\displaystyle I\subseteq \mathbb {R} }
및 연속 함수
f
: : -->
I
→ → -->
R
{\displaystyle f\colon I\to \mathbb {R} }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I
{\displaystyle I}
의 상
f
(
I
)
{\displaystyle f(I)}
은 역시 구간이다. 이를 연결 공간 의 개념을 사용하지 않고 증명하려면,
I
⊆ ⊆ -->
R
{\displaystyle I\subseteq \mathbb {R} }
가 구간일 필요충분조건이 임의의
a
,
b
∈ ∈ -->
I
{\displaystyle a,b\in I}
에 대하여
(
a
,
b
)
⊆ ⊆ -->
I
{\displaystyle (a,b)\subseteq I}
인 것이라는 보조정리를 사용해야 한다.
특히, 만약
I
=
[
a
,
b
]
{\displaystyle I=[a,b]}
가 닫힌구간일 경우,
f
(
I
)
{\displaystyle f(I)}
의 양 끝점은
f
{\displaystyle f}
의 최댓값 과 최솟값 이다. 즉, 다음이 성립한다.
f
(
[
a
,
b
]
)
=
[
min
x
∈ ∈ -->
[
a
,
b
]
f
(
x
)
,
max
x
∈ ∈ -->
[
a
,
b
]
f
(
x
)
]
{\displaystyle f([a,b])=\left[\min _{x\in [a,b]}f(x),\max _{x\in [a,b]}f(x)\right]}
이 정리는 중간값 정리와 최대 최소 정리 를 사용하여 증명할 수 있다.
홀수차 실수 다항식의 근의 존재
임의의 실수 홀수 차 다항식 은 적어도 하나의 실수 영점을 갖는다. 이는 대수학의 기본 정리 의 자명한 경우이며, 중간값 정리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증명할 수 있다.
홀수차 실수 다항식
p
(
x
)
=
a
2
n
+
1
x
2
n
+
1
+
a
2
n
x
2
n
+
⋯ ⋯ -->
+
a
1
x
+
a
0
∈ ∈ -->
R
[
x
]
(
a
0
,
… … -->
,
a
2
n
+
1
∈ ∈ -->
R
,
a
2
n
+
1
≠ ≠ -->
0
)
{\displaystyle p(x)=a_{2n+1}x^{2n+1}+a_{2n}x^{2n}+\cdots +a_{1}x+a_{0}\in \mathbb {R} [x]\qquad (a_{0},\dots ,a_{2n+1}\in \mathbb {R} ,\;a_{2n+1}\neq 0)}
이 주어졌다고 하자. 편의상
a
2
n
+
1
>
0
{\displaystyle a_{2n+1}>0}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lim
x
→ → -->
− − -->
∞ ∞ -->
p
(
x
)
=
− − -->
∞ ∞ -->
,
lim
x
→ → -->
∞ ∞ -->
p
(
x
)
=
∞ ∞ -->
{\displaystyle \lim _{x\to -\infty }p(x)=-\infty ,\;\lim _{x\to \infty }p(x)=\infty }
예를 들어, 전자의 경우 다음과 같이 보일 수 있다.
lim
x
→ → -->
− − -->
∞ ∞ -->
p
(
x
)
=
lim
x
→ → -->
− − -->
∞ ∞ -->
a
2
n
+
1
x
2
n
+
1
(
1
+
a
2
n
a
2
n
+
1
x
− − -->
1
+
⋯ ⋯ -->
+
a
0
a
2
n
+
1
x
− − -->
(
2
n
+
1
)
)
=
− − -->
∞ ∞ -->
{\displaystyle {\begin{aligned}\lim _{x\to -\infty }p(x)&=\lim _{x\to -\infty }a_{2n+1}x^{2n+1}\left(1+{\frac {a_{2n}}{a_{2n+1}}}x^{-1}+\cdots +{\frac {a_{0}}{a_{2n+1}}}x^{-(2n+1)}\right)\\&=-\infty \end{aligned}}}
이에 따라, 다음을 만족시키는
c
<
0
<
d
{\displaystyle c<0<d}
가 존재한다.
p
(
c
)
<
0
<
p
(
d
)
{\displaystyle p(c)<0<p(d)}
중간값 정리를
p
|
[
c
,
d
]
{\displaystyle p|_{[c,d]}}
에 적용하면, 다음을 만족시키는
p
{\displaystyle p}
의 영점
e
∈ ∈ -->
(
c
,
d
)
{\displaystyle e\in (c,d)}
의 존재를 얻는다.
닫힌구간 위의 브라우어르 고정점 정리
연속 함수
f
: : -->
[
a
,
b
]
→ → -->
[
a
,
b
]
{\displaystyle f\colon [a,b]\to [a,b]}
는 항상 고정점 을 갖는다. 즉, 다음을 만족시키는
c
∈ ∈ -->
[
a
,
b
]
{\displaystyle c\in [a,b]}
가 존재한다.
f
(
c
)
=
c
{\displaystyle f(c)=c}
이는 브라우어르 고정점 정리 의 자명한 경우이며, 중간값 정리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증명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함수
g
: : -->
[
a
,
b
]
→ → -->
R
{\displaystyle g\colon [a,b]\to \mathbb {R} }
를 정의하자.
g
(
x
)
=
f
(
x
)
− − -->
x
∀ ∀ -->
x
∈ ∈ -->
[
a
,
b
]
{\displaystyle g(x)=f(x)-x\qquad \forall x\in [a,b]}
그렇다면,
g
{\displaystyle g}
는 연속 함수이며,
g
(
b
)
≤ ≤ -->
0
≤ ≤ -->
g
(
a
)
{\displaystyle g(b)\leq 0\leq g(a)}
이므로, 중간값 정리에 따라 다음을 만족시키는
c
∈ ∈ -->
[
a
,
b
]
{\displaystyle c\in [a,b]}
가 존재한다.
g
(
c
)
=
0
{\displaystyle g(c)=0}
즉,
f
(
c
)
=
c
{\displaystyle f(c)=c}
가 성립한다.
가역 연속 함수의 단조성
구간
I
⊆ ⊆ -->
R
{\displaystyle I\subseteq \mathbb {R} }
및 단사 연속 함수
f
: : -->
I
→ → -->
R
{\displaystyle f\colon I\to \mathbb {R} }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f
{\displaystyle f}
는 순단조 함수 이다. 이는 중간값 정리를 통해 다음과 같이 증명할 수 있다.
귀류법 을 사용하여,
f
{\displaystyle f}
가 순단조 함수가 아니라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다음을 만족시키는
a
,
b
,
c
∈ ∈ -->
I
{\displaystyle a,b,c\in I}
가 존재한다.
a
<
b
<
c
{\displaystyle a<b<c}
f
(
a
)
<
f
(
b
)
>
f
(
c
)
{\displaystyle f(a)<f(b)>f(c)}
또는
f
(
a
)
>
f
(
b
)
<
f
(
c
)
{\displaystyle f(a)>f(b)<f(c)}
편의상 전자가 성립한다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max
{
f
(
a
)
,
f
(
c
)
}
<
u
<
f
(
b
)
{\displaystyle \max\{f(a),f(c)\}<u<f(b)}
를 취할 수 있다. 각각
f
|
[
a
,
b
]
{\displaystyle f|_{[a,b]}}
와
f
|
[
b
,
c
]
{\displaystyle f|_{[b,c]}}
에 중간값 정리를 적용하면 다음을 만족시키는
d
∈ ∈ -->
(
a
,
b
)
{\displaystyle d\in (a,b)}
및
e
∈ ∈ -->
(
b
,
c
)
{\displaystyle e\in (b,c)}
가 존재함을 얻는다.
f
(
d
)
=
f
(
e
)
=
u
{\displaystyle f(d)=f(e)=u}
이는
f
{\displaystyle f}
가 단사 함수인 것과 모순이다.
일반화
위상수학과 해석학의 몇몇 정리들은 중간값 정리를 특수한 경우로 포함한다.
연결 공간의 보존
두 위상 공간
X
,
Y
{\displaystyle X,Y}
사이의 연속 함수
f
: : -->
X
→ → -->
Y
{\displaystyle f\colon X\to Y}
가 주어졌다고 하자. 만약
X
{\displaystyle X}
가 연결 공간 이라면,
f
(
X
)
{\displaystyle f(X)}
역시 연결 공간이다. 실수 집합
R
{\displaystyle \mathbb {R} }
위에서 연결 공간은 구간과 동치이므로, 이와 같은 정리는 중간값 정리의 한 가지 일반화이다.
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와 (순서 위상 을 부여한) 전순서 집합
(
Y
,
≤ ≤ -->
)
{\displaystyle (Y,\leq )}
사이의 연속 함수
f
: : -->
X
→ → -->
Y
{\displaystyle f\colon X\to Y}
가 주어졌다고 하자. 만약
X
{\displaystyle X}
가 연결 공간이라면, 임의의
a
,
b
∈ ∈ -->
X
{\displaystyle a,b\in X}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f
(
X
)
⊇ ⊇ -->
[
f
(
a
)
,
f
(
b
)
]
∪ ∪ -->
[
f
(
b
)
,
f
(
a
)
]
{\displaystyle f(X)\supseteq [f(a),f(b)]\cup [f(b),f(a)]}
실수 집합
R
{\displaystyle \mathbb {R} }
은 표준적인 전순서를 갖추므로, 이 정리 역시 중간값 정리를 일반화한다.
다르부 정리
미분 가능 함수
f
: : -->
[
a
,
b
]
→ → -->
R
{\displaystyle f\colon [a,b]\to \mathbb {R} }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f
′
(
[
a
,
b
]
)
⊇ ⊇ -->
[
f
′
(
a
)
,
f
′
(
b
)
]
∪ ∪ -->
[
f
′
(
b
)
,
f
′
(
a
)
]
{\displaystyle f'([a,b])\supseteq [f'(a),f'(b)]\cup [f'(b),f'(a)]}
이를 다르부 정리 라고 한다. 실수 연속 함수는 항상 어떤 함수의 도함수 이므로, 다르부 정리는 중간값 정리의 일반화이다.
각주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