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관(衛綰, ? ~ 기원전 131년)은 전한 중기의 관료로, 대국 대릉현(大陵縣)[1] 사람이다. 문제 · 경제를 섬겨 중랑장 · 태자태부 · 어사대부 · 승상 등을 역임했다.
수레를 가지고 부리는 기예로 낭(郞)이 돼 문제를 섬겼고, 공이 있어 중랑장으로 승진했다. 근신하여 문제의 신뢰를 받았다. 황태자(후의 경제)가 문제의 좌우 사람들을 불러 연회를 열자 칭탈하고 가지 않았다. 문제는 죽으면서 태자에게 위관을 잘 대우하도록 부탁했다.[2]
낭관 중에 죄를 지은 사람이 있으면 그 죄를 가려주고, 다른 중랑장들과 공을 다투지 않고 항상 양보했다. 경제가 이를 보고 충성스럽고 다른 마음이 없다고 여겨 하간나라(당시 하간왕은 하간헌왕)의 태부로 삼았다.[2][3] 경제 3년(기원전 154년) 오초칠국의 난이 일어나자 조서를 받아 장수가 돼 하간나라의 병을 거느리고 오나라·초나라와 싸워 공을 세웠고, 중위가 됐다.[2][3] 경제 6년(기원전 151년)에 군공으로 건릉후에 봉해졌다.[2]
경제 7년(기원전 150년), 경제가 율태자를 폐하고 외척 율경(栗卿) 일족을 주살하려는데, 성품이 어진 위관이 이를 차마 보지 못할 것 같아 집으로 돌려보내고 혹리인 제남태수 질도를 중위로 삼아[3] 율씨들을 사로잡게 했다.[2] 일이 끝나고 교동왕 유철을 새 태자로 세우면서 위관은 태자태부가 됐다.[2] 경제 중3년(기원전 147년) 승상으로 승진한 도후 유사를 대신해 어사대부가 됐고, 경제 후원년(기원전 143년) 면직된 유사를 대신해 승상이 됐다.[2][3] 궁에 들어왔을 때부터 승상이 되고 나서도 새로운 것을 만들거나 있던 것을 폐하거나 한 것이 아무것도 없었으나, 문제는 위관이 돈후해 어린 황제의 재상이 될 만하다고 여기고 총애하며 많은 상을 내렸다.[2]
무제가 황제가 되자, 경제가 병들었을 때 승상으로서 무고한 죄인 맡은 일을 바로 수행하지 못했다 하여[2] 건원 원년(기원전 140년)에 면직됐다.[3] 건릉후로 봉해진 지 21년 만에 죽어 시호를 경(敬)[4] 또는 애(哀)[5]라 하고 아들 위신이 후작을 계승했다.[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