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양 방씨(溫陽方氏)는 충청남도 아산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방(方)씨는 중국 허난성에서 계출된 성씨이며, 주나라 선왕 때 공신(功臣)으로 경사(卿士)를 지낸 방숙(方叔)의 후예이다. 염제 신농씨(神農氏)의 11세손이자 유망황제(楡罔皇帝)의 장남인 방뢰(方雷)가 하남성(河南省) 방산(方山) 지방을 봉토(封土)로 받으며 방(方) 성(姓)의 비조(鼻祖)가 되었다.
방뢰(方雷)의 134세손인 방지(方智)가 당나라 한림학사로서 669년 나당동맹(羅唐同盟)의 문화사절로 신라에 동래하였다.
중시조 방운(方雲)이 고려 개국에 공을 세워 좌복야(左僕射)에 올랐으며, 993년(성종 12년) 거란이 침입했을 때 공훈을 세워 온수군(溫水君)에 봉해졌다.
시조 방지(方智)가 당(唐)나라 한림학사(翰林學士)로서 669년(당 총장 2년) 나당동맹(羅唐同盟)의 문화사절(文化使節)로 신라에 동래(東來)하여 설총(薛聰)과 함께 구경(九經)의 회통(會統)을 국역하였고, 장씨(張氏)와 혼인하여 가유현(嘉猷縣: 현 경상북도 상주시)에 정착하였다. 시조 방지의 묘(墓)는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동면 봉계리에 있다.[3]
중시조 방운(方雲)이 고려 개국에 공을 세워 대장군(大將軍)을 거쳐 좌승지(左承旨), 지성사(知省事) 등을 역임한 후 좌복야(左僕射)에 이르렀으며, 993년(성종 12) 거란(契丹)이 침입했을 때 공훈을 세워 배방산(拜方山) 일대를 봉토(封土)받고 온수군(溫水君)에 봉해졌다.[4]
2세 방중탁(方仲鐸)이 목종 때 도첨의 정승(都僉議政丞)을 지냈고, 3세 방휴(方休)가 현종 때 중랑장(中郞將)을 지냈으며, 6세 방유(方裕)는 숙종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추밀원 직학사(樞密院直學士)를 거쳐 문하시랑(門下侍郞)에 이르렀다. 7세 방재(方宰)가 대호군(大護軍)을 지내고, 9세 방희진(方曦進)이 대제학(大提學)에 오르면서 고려조에 대대로 벼슬을 하였다.[5]
12세 방우선(方于宣)이 1269년(고려 원종 10년) 국자시(國子試)에 장원급제하고 1311년(충선왕 3년) 평양부윤(平壤府尹)이 되어 안정도존무사(安定道存撫使)를 겸하였다.[6]
15세 방순(方恂)이 1362년(고려 공민왕 11년) 문과에 급제하여 판전교시사 등을 지내다가 조선이 건국되자 예조참의에 임명되었으나 동료인 이집(李集)과 더불어 숯골에 은둔하며 고려에 대한 충절을 지켰다.[7] 방순의 손자 방강(方綱)이 1447년(세종 29년)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1454년(단종 2) 승정원(承政院) 좌승지(左承旨)에 올랐으며, 성종 때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을 지냈다.
20세 방유령(方有寧)이 1489년(성종 20년) 문과에 급제하여 대사간(大司諫), 이조참판(吏曹參議), 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하고, 1520년 병조판서(兵曹判書)에 이르렀다.
계림군(雞林君) 방윤(方輪)[8]의 아들 방호의(方好義)는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의 손자 봉산군 이돈(鳳山君 李敦)의 딸과 혼인하여 1514년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를 거쳐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를 역임하고, 1554년(명종9년) 정2품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와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에 이르렀다.
방호의의 손자 방덕룡(方德龍)은 1588년(선조 21년) 무과에 급제하고 낙안군수로 재직할 때 이순신의 선봉으로 노량해전에서 분전하다가 전사하여 형조참의에 추증되고,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2등에 녹훈되었다. 이순신 장군의 처가도 방(方)씨였으며, 이순신은 보성군수를 지낸 장인 방진(方震)의 후원으로 무과에 급제하였다.
조선 정조 때 무과에 급제한 방우정(方禹鼎)은 서정군(西征軍)의 좌초관(左哨官)으로 홍경래의 난을 진압하여 병조참판에 추증되었으며, 《서정일기(西征日記)》를 저술하였다.
12세손 방우선(方于宣)이 1269년(고려 원종 10년) 국자시(國子試)에 장원급제하였고, 1311년(충선왕 3년) 평양부윤(平壤府尹)이 되어 안정도존무사(安定道存撫使)를 겸하였다.[6] 온양 방씨는 문정공(文定公) 방우선(方于宣)과 그의 아우 방우번(方于蕃), 목사(牧師) 방득세(方得世)의 아들 대(代)인 13세손에서 7파로 갈라진다.
7파 중에서도 특히 고려 충렬왕 때 대제학(大提學)을 역임한 방서(方曙)를 파조로 하는 판도판서공파가 온양 방씨의 대종으로서 주축을 이룬다. 상락부원군 방신우(臣祐)는 충렬왕 때 원나라에 들어가 평장정사(平章政事) 등의 요직을 지내고, 그뒤에도 원나라를 왕래하며 외교에 공헌하였다. 광록대부파의 파조 방신제(方臣悌)도 원나라에 가서 금자광록대부평장사(金紫光祿大夫平章事)를 지내고 중국에 정착하였다. 명나라의 대표적인 유학자 방효유(方孝孺)는 방신제의 5대손이다.[10] 중국의 방씨원류역사연구회, 방씨전족통보이사회(方氏全族統譜理事會)와 한국의 온양방씨중앙종친회는 인적·물적 교류를 해오고 있다.
방씨의 본관은 온양(溫陽)을 비롯하여 상주(尙州), 군위(軍威), 신창(新昌) 등 26본이 문헌에 전해지나 동조동근(同祖同根)으로 온양으로 단일화되고 있다. 《국조방목(國朝榜目)》에서도 종전의 상주·신창·군위 방씨도 본관을 온양으로 기록하고 있다.
*. 시대별 등과자(登科者)[102][103]
一 고려조(高麗朝) 문과(文科) 및 사마시(司馬試) 등과자
고려조 문과등과자는 방목(榜目) 일부만 현전(現傳)한다.(49명)
乙巳
贈 寧國公
尙書 左僕射
按廉使
同平章事
* 壻 延日人
鄭襲明
(希進)
乙未
大提學
楊廣道觀察使
尙書令
丁酉
贈 金紫光祿大夫
* 丈人 安東人
僕射公 尙書 權守洪
己巳
僉議贊成事
贈
金紫光祿大夫
經史敎授(1280)
癸丑
誠齋
直翰林院(1307)
平壤尹(1311)
安定道存無使
政堂文學
僉議中贊
判通禮院事
右文館提學
知制敎
사위 樂安人 金糾
奉翊大夫 密直提學
外孫 金輳(1339生)
鹽場別將(1318)
紺嶽山 山神祭 禁
龍巖寺 重創
贈 義國公
開國兵馬使
乙亥
版圖判書
藝文館提學
獨樂亭
壬午
密直院直學士
溫泉府院君
一云 知州事
密直副使
丁丑
平章事
太宗 世宗實錄
(得珠)
壬寅
佐郞 中書舍人
成均館司成
判典校寺事
禮曹參議
乙丑
卞季良과 同榜
死亡(1385)
大護軍
二等功臣(1363)
光祿大夫
(龍)
(寧淑宅主의 娚)
李原吉
開國原從功臣錄券 국보250호
初諱 台應
後孫 方有赫이 1833년(純祖33년) 忠勳府에서 謄寫(太宗敎書啟下事目) 받음.
鄭圃隱 門人
軍器寺正
懷德君
別將 龍과 同名異人
張寬
開國原從功臣錄券
보물726호
居士
金會鍊
보물437호
二. 조선조(朝鮮朝) 문과(文科) 방목
조선조 문과등과자 방목(榜目)전체가 현전(現傳)한다.(14명)
庚辰
丁卯
親試
左承旨 平澤縣監
宗學司誨 歙谷縣令
成均館典籍
永華君
進士
己酉
式年
文科(1489)
持平(1502)
司憲府執義(1505)
通政大夫(1506)
靖國原從2等(1507)
濟州牧使(1507)
承政院右承旨(1514)
司諫院大司諫(1515)
吏曹參議(1516)
左承旨(1517)
嘉善大夫(1517)
工曹參判(1517)
大司憲(1517)
同知成均館事(1517)
聖節使(1518)
漢城府右尹(1518)
兵曹參判(1518)
宗簿寺提調(1521)
慶尙道觀察使(1523)
同知中樞府事((1528)
光國原從2等(1591)
諡號 : 文節
贈 兵曹參判
庚申
校書館正
校書館著作
校書博士
造紙別提
通訓大夫
贈 通政大夫 左承旨
嘉善大夫
辛丑
校書館博士 典籍
己卯
校書著作(1701)
奉常主簿(1704)
銀溪察訪(1706)
朝散大夫
(愛先)
副護軍
甲辰
丙子
養賢庫奉事
成均館學正
成均館博士
養賢庫主簿
司憲府監察
繼天
丙午
戊子
壬子
延曙察訪
(震錫)
癸亥
成均館直講
承文院判敎
春秋館編修官
魚川察訪
己未
廷試
成均館學諭
癸卯
正言 兵曹佐郞
持平
典籍 副護軍
奉常寺主簿
贈 參議
辛卯
戊午
禮曹佐郞
三. 조선조 사마시(司馬試) 등과자
조선조 사마방목은 일부만 현전한다.(60명)
甲申
甲子
贈 刑曹參議
增廣
本 軍威
丙申
(善務)
本 金山
(仲規)
庚戌
英陵參奉
南部主簿
永同縣監
贈 禮曹參議
本 盈德
居 江華
(世英)
乙卯
亨難原從功臣
庚寅
辛未
丁未
(繼昌)
?
引儀
禮賓司正
敎授
靖國原從3等
生員 3등 60위
本 化寧
居 開城
癸未
濟州縣監(1592)
文川郡守(1596)
軍器監正
樂安郡守(1597)
進士 3등 1위
居 京
庚子
壬申
本 泰安
居 甑山
丁亥
生父 :
東叔
己丑
龍驤衛副護軍
本 淸州
居 靑陽
丙戌
贈 通政大夫
壬辰
辛巳
(周承)
贈 朝奉大夫
居 平澤
(啓楨)
居 嘉山
癸巳
居 高陽
己亥
居 長興
居 定州
辛亥
生父 : 致厚
居 鏡城
(熙三)
居 鴻山
乙酉
居 林川
戊戌
居 梁山
祖父 大明
居 永興
丙寅
戊申
居 順川
甲戌
居 咸陽
居 信川
庚午
本 豊川 居 孟山
四. 고려조(高麗朝) 무인(武人)
고려조는 무과시험이 별도로 없었다.(25명)
左僕射
開國功臣
溫陽君
溫昌君
門下侍郞
諡號 忠肅公
軍威君
紅巾賊討伐
(雲實)
進士 別將
副司直
沈敬宗 戶口單子
* 壻 沈敬宗
(開國原從功臣 沈之伯 孫)
承訓郞
보물 726호
鄭圃隱人
五. 조선조(朝鮮朝) 무과(武科) 등과자(444명)
현전하는 무과방목 및 족보와 무과총요 타방목 왕조실록 녹권등 참조
一) 세대와 계파가 분명한 등과자(337명)
開國原從功臣
五衛司果(1507)
捕盜巡檢使(1507)
金海府使(1512)
嘉善大夫(1512)
忠淸道節度使(1512)
全羅左道水軍節度使(1518)
會寧府使(1520)
同知中樞府事(1524)
聖節使(1524)
闕內 別巡將(1525)
全羅道兵馬節度使(1526)
咸鏡北道節度使(1531)
聖節使(1532)
平安道節度使(1534)
贈 兵曹判書
贈 資憲大夫
1491
靖國原從2等功臣
更子
副司果
縣監
行 忠佐衛
副司直 僉正
贈 嘉善大夫
全羅左水使
慶尙右兵使
忠州牧使
慶尙右水軍節度使
忠淸水軍節度使
平安兵馬使
資憲大夫
知敦寧府事
甲午
寶城郡守
江華敎授 參奉
新定牙州誌 武科편
忠武公 丈人
護軍
訓練主簿
扈聖原從2等(1605)
亨難原從2等(1614)
典獄主簿(1625)
光國原從3等
靖國原從功臣
寧國原從3等
內禁衛
訓導
應吉
都摠都事
扈聖原從1等
木浦萬戶(壬亂時)
禦侮將軍
謁聖
瓮津縣令
別試
价川郡守
居 洪州
號 :
樂天
辛酉
丁巳
庭試
居 楊州
宣武原從3等
壬亂時 義兵
魚遊澗萬戶
都摠經歷
贈 戶曹參判
翰周
丙科 19위
壬戌
淸難原從1等(1605)
大浦萬戶(1609)
臨溜鎭僉使
東國新續三綱行實圖의
烈婦 全州李氏
瑞興縣監(1628)
假提調(1637)
文化縣令(1642)
廣州中軍(1644)
居 南陽
振武原從1等
折衝將軍
哨官(1591)
判官
虞侯
司䆃主簿(1646)
武兼(1649)
僉使(1663)
慶州判官
(益慶)
永興判官
居 結城
寧國原從2等
南海縣令
嘉山郡守(1631)
咸從縣令(1636)
軍器僉正(1639)
三水郡守(1639)
贈 兵曹參議
柳濯의 反亂鎭壓時 戰死(1645)
亨難原從2等
贈 判決使
保社原從3等(1681)
本 安山, 居 京
贈工曹參議
訓練院判官
舒川萬戶(1639)
壯仕郞
重試
1618년 庭試
本 南陽
居 水原
宣傳官
哨官(1674)
主簿(1676)
軍器判官(1677)
戊辰
安骨萬戶
守門將(1646)
訓練主簿(1648)
草芝萬戶(1658)
都摠都事(1663)
全南虞侯(1664)
甑山縣令(1675)
利城縣監(1676)
(指男)
靖社原從3等(1625)
寧國原從1等(1646)
忠翊衛
知中樞府事
贈 崇政大夫
贈 判敦寧府事
所非浦萬戶(1637)
寧國原從3等(1646)
(永,英)
宣武原從3等(1605)
振武原從3等(1625)
靖社原從2等(1625)
癸酉
戊寅
保社原從2等(1681)
監察
遂安郡守
武兼
法聖萬戶
(知圓)
(智遠)
捕盜軍官(1644)
昌洲僉使(1647)
副護軍(1648)
贈 知中樞府事
贈 軍資監正
族譜生年 誤錄 ?
孝僖는 23世
禮는 22世로 보임.
1613
居 振威
三寸 義一 舒川萬戶
僉節制使
訓練院副正
舒川萬戶
芳浦萬戶(1664)
本 懷德
居 驪州
宣略將軍
武科(1651)
司果
龍驤衛副司果
柔遠僉節制使
水軍船將
武兼宣傳官
柔遠僉節制使(1673)
登山僉節制使
五衛將 副司勇
副護軍 五衛將
僉知中樞府事
赤梁僉節制使
谷城縣監
副司正
權內禁衛管
內禁衛部將(1673)
揚武原從3等(1622)
邊將除授
山羊會萬戶(1679)
魚游澗僉使(1686)
白峙僉使(1697)
忠壯將(1715)
土地賣買文記
贈 參判
本 南原
柔遠僉節制使(1699)
副護軍(1700)
僉知中樞府事(1701)
漢城判尹
五衛都摠府
副摠官
花梁僉使(1677)
彌助項僉使(1680)
馬梁僉使(1683)
康津縣監(1696)
利城縣監(1678)
(萬古)
武兼(1663)
居 春川
萬戶
保社原從3等(1681
薺浦萬戶(1707)
上護軍(1627)
承政院日記(仁祖)
族譜에 父 生年誤謬
閑良
居 鳳山
振武原從3等
武科(1672)
保社原從3等
吾乙足萬戶(1681)
觀象監直長
部將(1673)
豐山萬戶(1676)
同知中樞府事(1661)
居 大邱
揚武原從2等
助羅萬戶(1675)
(現 巨濟島)
龍驤衛副司直
假引儀(1670)
忠順衛(1673)
折衝將軍(1673)
守門將(1681)
內資寺主簿(1682)
雲峰縣監(1685)
陽德縣監(1689)
奏請使 軍官(1694)
延日縣監(1701)
兔山縣監(1711)
軍器主簿(1656)
贊儀(1667)
沙斤察訪(1668)
副護軍(1673)
禮賓主簿(1674)
松羅察訪(1691)
贈 判中樞府事
勵節校尉
武兼(1718)
兎城僉使(1724)
本 河東
居 鐵山
哨官(1681)
古群山僉使(1697)
同知中樞府事
保社原從3等(1681等
(震雄)
丙辰
武科(1714)
景福宮假衛將(1720)
車嶺僉使(1721)
揚武原從2等(1728)
副護軍(1734)
正方山莊別將(1739)
忠翊將(1739)
折衝將軍(1627)
正憲大夫
贈 漢城左尹
五衛都摠府摠管
本 羅州
居 義州
訓鍊奉事(1668)
忠武衛 副司果
副司果(1724)
魚游澗僉使(1724)
許沙僉使(1733)
行龍驤衛副護軍
妻父 牛峯人
直長 金說明
子 : 洵
忠武衛
位羅萬戶
善積僉節制使
習讀官(1652)
張禧嬪 便에 섬
折衝將軍(1691)
* 1719년 繼後
(載宇 載宙)
武藝別監(1735)
武科(1750)
兄 載宇 載宙 載穹
大汝
智島萬戶
生父
震紀
(有寧)
居 富寧
(士潤)
居 江西
訓鍊院主簿(1810)
松浦水軍萬戶(1817)
折衝將軍(1837)
學生
本 洪州
馬梁僉節制使
揚武原從3等
禦侮將軍副
本 淸州 居 京
(養父)
(五星)
發茂山萬戶
求禮縣監
居 宣川
승정원일기 3월 18일
爲 副司正
汝謙
1737
甲寅
守門將 別將
武科壯元(1740)
禮賓別提(1740)
廣梁僉節制使(1751)
豪打萬戶
護軍 部將
兵曹參判
贈 左尹
訓練院僉正
崇政大夫
工曹參議
居 北靑
左哨官(1812)
五衛將(1812)
僉知(1812)
求禮縣監(1814)
副護軍(1816)
平安中軍(1820)
西征日記 著者
副司勇(1802)
能麽兒廳郞(1804)
掌苑署別提
長興庫主簿
正祖의 사위 洪顯周와 교류.
裝潢癖
始興郡 光明里 乙座
別提(1808)
守門將
訓練院主簿(1810)
宣傳官(1827)
折衝將軍(1834)
五衛將(1836)
孟山縣監(1847)
副司果(1809)
典儀(1822)
贊儀(1823)
引儀(1823)
瓦署別提(1829)
通訓大夫(1843)
壽職 通政大夫
贈 通訓大夫
五衛將(1890)
戶曹參判
龍驤衛 副護軍
守門將(1867)
僉知(1867)
折衝將軍(1867)
龍驤衛副護軍(1967)
忠壯衛將(1867)
五衛將(1872)
加里浦僉使(1873)
騎士將(1875)
* 書畵家
號 : 友山
守門將(1824)
中嶺堡大將
居 孟山
五衛將(1878)
嘉善大夫(1899)
(漢樞)
守門將(1883)
(玄將)
居 鍾城
中樞院議官
忠武衛副司勇
敦寧府都正
1884년 자료
閑良으로 기록
開城府留營狀啓謄錄 3 各司謄錄 4
選武左列軍官閑良方圭錫
五衛將
兵馬虞候
二) 방목(榜目)은 있으나 세대나 계파가 불분명(54명)
宣武原從2等
本 新昌
羽林衛
好智 後孫과 同名異人
本 密陽
本 砥平
本 大興
本 水原
本 茂安
本 海州
本 江陵
本 富平
衛將 副司猛
本 樹州
本 永德
守門將(1662)
梨津萬戶(1664)
碧沙察訪(1674)
江東縣監(1689)
本 溫陽
(瑾年)
阿山萬戶(1674)
訓練判官
阿吾地萬戶(1681)
僉節制使(1686)
甘浦萬戶(1687)
副司果(1690)
(根連)
本 南原 居 京
玉江萬戶(1664)
忠武衛副司果
本 豊川
(1728)
梨津萬戶
(1729)
本 結城
(1773)
(震逸)
祖父 弘紀
允恒
善積僉使
(1847)
本 平山
三) 기타 세대나 계파가 불분명(53명)
都萬戶(1408)
左軍大將(1421)
佐翼原從3等(1455)
敵愾原從功臣(1456)
宣武原從2等(1605)
子 水玄(1612년생)
武科(1637년)
靖社原從1等(1625)
振武原從2等(1625)
翼社原從3等(1614)
振武原從1等(1625)
折衝將軍(1629)
豐州府使(1639)
寧國原從3등(1646)
子 雲
木浦萬戶(1663)
克仁
克善
克俊
克萬 武科(1694)
始祖 月峯 幽宅에서
碑文發見
1681년生 1728년卒
訓練習讀
羅暖柒浦 萬戶
寅火堡 萬戶
原從功臣錄券
梨津萬戶(1729)
揚武原從3等(1728)
護軍 部將(1758)
淸州營將
陽德縣監(1857)
咸南虞侯(1881)
五衛將(1882)
六. 조선조(朝鮮朝) 잡과방목(雜科榜目)
一) 역과(譯科) : 52명
방순원(方舜元) 방예남(方禮男) 방호겸(方好謙) 방호정(方好正) 방이민(方以敏) 방효민(方孝敏) 방필규(方必規) 방필항(方必恒) 방홍기(方弘器) 방진량(方震亮) 방진호(方震灝) 방재주(方載宙) 방진양(方震壤) 방유양(方有壤) 방처조(方處祚) 방처겸(方處謙) 방처모(方處謨) 방도유(方道裕) 방태희(方泰禧) 방태수(方泰遂) 방재화(方載華) 방효언(方孝彦) 방효건(方孝騫) 방처구(方處矩) 방세홍(方世弘) 방우서(方禹叙) 방중숙(方重叔) 방희용(方羲鏞) 방익용(方益鏞) 방철용(方徹鏞) 방건용(方建鏞) 방문용(方文鏞) 방한익(方漢翼) 방한덕(方漢德) 방한일(方漢一) 방한성(方漢星) 방한승(方漢昇) 방한시(方漢始) 방한주(方漢周) 방한칠(方漢七) 방한찬(方漢璨) 방한유(方漢儒) 방한종(方漢宗) 방한준(方漢準) 방한필(方漢弼) 방한식(方漢式) 방원영(方元榮) 방진영(方鎭榮) 방세영(方世榮) 방춘영(方春榮) 방대영(方大榮) 방유영(方有榮)
二) 의과(醫科) : 41명
방충효(方忠孝) 방정(方貞) 방진기(方震夔) 방진석(方震奭) 방진강(方震綱) 방진기(方震紀) 방유강(方有綱) 방처화(方處和) 방세정(方世正) 방세완(方世完) 방세균(方世均) 방치령(方致齡) 방태여(方泰輿) 방태지(方泰智) 방태형(方泰逈) 방태규(方泰逵) 방태후(方泰厚) 방응진(方應辰) 방효민(方孝民) 방효직(方孝直) 방효덕(方孝悳) 방효본(方孝本) 방효술(方孝述) 방우주(方禹疇) 방우전(方禹甸) 방우규(方禹圭) 방우구(禹方九) 방우민(方禹敏) 방윤승(方允升) 방재용(方載鏞) 방원용(方遠鏞) 방유용(方惟鏞) 방기용(方夔鏞) 방대용(方大鏞) 방윤국(方允國) 방한주(方漢柱) 방한기(方漢箕) 방한장(方漢章) 방계영(方啓榮) 방은영(方殷榮) 방득영(方得榮)
三) 음양과(陰陽科) : 3명
방중국(方重國) 방현국(方顯國) 방경국(方慶國)
四) 율과(律科) : 7명
방세헌(方世憲) 방덕령(方德齡) 방응하(方應河) 방처의(方處毅) 방효익(方孝翼) 방언성(方彦城) 방재헌(方載憲)
五) 주과(籌科) - 취재(取才) : 3명
주과(籌科)는 취재(取才)형식으로 등용(登用)했다.
방우전(方禹典) 방윤학(方允學) 방원용(方遠鏞)
온양(溫陽)은 충청남도 아산시 온양동 일대의 지명이다. 백제의 탕정군(湯井郡)이었다. 671년(신라 문무왕 11)에 탕정주(湯井州)로 승격되어 총관(摠管)이 파견되었다. 757년(경덕왕 16년)에는 탕정군으로 강등되었으나 음봉현(陰峰縣)·기량현(祈梁縣)·평택현(平澤縣)을 영현으로 관장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년)에 온수군(溫水郡)으로 고치고, 1018년(현종 9년)에 천안부(天安府)에 속하게 하였다. 1172년(명종 2) 온수현으로 강등되었다. 1414년(태종 14)에 온수와 신창(新昌)을 온창현(溫昌縣)으로 병합하였다가 1416년에 다시 온수현을 분리하였다. 1441년(세종 23)에 온양군으로 승격되어 조선시대 동안 유지되었다. 1896년에 충청남도 온양군이 되었다. 1914년 온양군·신창군을 아산군으로 통합하였다. 1973년 온양읍이 1986년에 온양시로 승격되어 아산군에서 분리되었다가 1995년 온양시와 아산군을 통합하여 아산시가 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방(方)씨는 충청도 온수(溫水; 아산) · 신창(新昌; 아산) · 니산(尼山; 논산) · 임천(林川; 부여) · 태안(泰安), 경기도 지평(砥平; 양평), 전라도 만경(萬頃; 김제), 경상도 상주(尙州) · 군위(軍威) 등의 토성(土姓)으로 기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