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프르산(영어: capric acid) 또는 데칸산(영어: decanoic acid)은 10개의 탄소로 구성된 포화 지방산이며, 화학식은 CH3(CH2)8COOH이다. 카프르산의 염과 에스터(에스테르)는 카프레이트 또는 데카노에이트라고 불린다. 카프르산이란 용어는 라틴어 "caper / capra" (염소)에서 유래되었는데 이는 카프르산의 땀에 젖은 듯한 불쾌한 냄새가 염소를 연상시키기 때문이다.[9]
발견
카프르산은 코코넛유(약 10%)와 팜핵유(약 4%)에서 자연적으로 발견되고, 그 외에 일반적인 종자 기름에는 흔치 않다.[10] 카프르산은 다양한 포유류의 젖에서 발견되며, 다른 동물성 지방에서는 소량 발견된다.[11] 또한 카프르산은 두리안의 일종인 Durio graveolens의 열매 지방의 1.62%를 차지한다.[12]
카프로산과(C6 지방산)과 카프릴산(C8 지방산)은 염소에서 그 이름을 따왔다. 카프르산과 이들 지방산들은 염소 젖의 지방 중 15%를 차지한다.
생산
카프르산은 산성 조건 하에서 산화제인 삼산화 크롬(CrO3)을 사용하여 1차 알코올인 데칸올을 산화시켜 제조할 수 있다.[13]
카프르산의 중화 또는 전형적인 트라이글리세라이드인 카프르산 에스터에 수산화나트륨을 가해 비누화시키면 나트륨 데카노에이트(sodium decanoate)를 얻을 수 있다. 나트륨 데카노에이트(CH3(CH2)8COO−Na+)는 일부 비누 제품의 구성 성분이다.
용도
카프르산은 인공 과일 향 및 향료용 에스터 제조에 사용되며, 또한 화학 합성의 중간생성물로 사용된다. 카프르산은 유기 합성 및 향수, 윤활유, 그리스, 고무, 염료, 플라스틱, 식품첨가제, 의약품 제조에 산업적으로 사용된다.[8]
의약품
다양한 의약품의 카프레이트 에스터 프로드러그들이 이용가능하다. 카프르산은 지방산이므로 약물과 함께 염 또는 에스터를 형성하면 지질친화성과 지방 조직에 대한 친화성이 증가한다. 지방 조직에서 약물의 분포가 일반적으로 느리기 때문에 데카노에이트 형태를 사용하여 장기간 주사 가능한 형태의 약물(데포 주사라 불림)을 개발할 수 있다. 데카노에이트 에스터로 이용가능한 약물의 예로는 난드롤른(nandrolone), 플루페나진(fluphenazine), 브롬페리돌(bromperidol), 할로페리돌(haloperidol)이 있다.
효과
카프르산은 치료와 관련된 농도에서 비경쟁적 AMPA 수용체(α-아미노-3-하이드록시-5-메틸-4-이소자졸레프로피온산 수용체)의 길항제로서 전압의존적 및 소단위체 의존적 방식으로 작용하며, 이는 카프르산의 항경련 효과를 설명하기에 충분하다.[14] 뇌에서 카프르산에 의한 흥분성 신경전달의 직접적인 억제는 중간 사슬 트라이글리세라이드(MCT) 케톤 생성성 식이의 항경련제 효과에 기여한다.[14] 카프르산과 AMPA 수용체의 길항제인 페람파넬(perampanel)은 AMPA 수용체에서 따로 떨어진 서로 다른 부위에 작용하므로 AMPA 수용체에서 협동 작용이 가능하여 페람파넬과 케톤 생성성 식이가 서로 시너지 효과를 일으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14]
카프르산은 케톤 생성성 식이와 관련된 미토콘드리아 증식을 담당할 수 있으며,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수용체의 작용과 미토콘드리아 발생에 관여하는 표적 유전자를 통해 생성될 수 있다.[15][16] 미토콘드리아 내막에 위치한 전자전달계의 복합체 I의 활성은 카프르산의 처리에 의해 크게 상승된다.[15]
그러나 입을 통해서 섭취한 중간 사슬 지방산들은 간문맥을 통해 간에서 흡수됨으로써 1차 통과 대사에 의해 매우 빠르게 분해될 것이라는 점과 β-산화와 시트르산 회로를 통해 신속하게 대사되어 이산화 탄소, 아세톤, 케톤체를 생성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17] 케톤체인 β-하이드록시뷰티르산과 아세톤이 직접적인 항경련 활성을 가지는지는 불분명하다.[14][18][19][20]
↑ 가나다라n-Decanoic acid in Linstrom, Peter J.; Mallard, William G. (eds.); NIST Chemistry WebBook, NIST Standard Reference Database Number 69,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Gaithersburg (MD), http://webbook.nist.gov (retrieved 2014-06-15)
↑Beare-Rogers, J. L.; Dieffenbacher, A.; Holm, J. V. (2001년 1월 1일). “Lexicon of lipid nutrition (IUPAC Technical Report)”. 《Pure and Applied Chemistry》 73 (4): 685–744. doi:10.1351/pac200173040685.
↑ 가나다D. Bond, Andrew (2004). “On the crystal structures and melting point alternation of the n -alkyl carboxylic acids”. 《New Journal of Chemistry》 28 (1): 104–114. doi:10.1039/B307208H.
↑ 가나다“CAPRIC ACID”. 《chemicalland21.com》. AroKor Holdings Inc. 2014년 6월 15일에 확인함.
↑David J. Anneken, Sabine Both, Ralf Christoph, Georg Fieg, Udo Steinberner, Alfred Westfechtel "Fatty Acids" in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2006, Wiley-VCH, Weinheim. doi10.1002/14356007.a10_245.pub2
↑Beare-Rogers, J. L; Dieffenbacher, A; Holm, J. V (2001). "Lexicon of lipid nutrition (IUPAC Technical Report)". Pure and Applied Chemistry. 73 (4): 685–744. doi:10.1351/pac200173040685.
↑Viggiano A, Pilla R, Arnold P, Monda M, D'Agostino D, Coppola G (2015). “Anticonvulsant properties of an oral ketone ester in a pentylenetetrazole-model of seizure”. 《Brain Res》 1618: 50–4. doi:10.1016/j.brainres.2015.05.023. PMID26026798.
↑Rho JM, Anderson GD, Donevan SD, White HS (2002). “Acetoacetate, acetone, and dibenzylamine (a contaminant in l-(+)-beta-hydroxybutyrate) exhibit direct anticonvulsant actions in vivo”. 《Epilepsia》 43 (4): 358–61. doi:10.1046/j.1528-1157.2002.47901.x. PMID11952765.
↑Ma W, Berg J, Yellen G (2007). “Ketogenic diet metabolites reduce firing in central neurons by opening K(ATP) channels”. 《J Neurosci》 27 (14): 3618–25. doi:10.1523/JNEUROSCI.0132-07.2007. PMID17409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