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크리스틴
|
|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
(3aR,3a1R,4R,5S,5aR,10bR)-Methyl 4-acetoxy-3a-ethyl-9-((5S,7S,9S)-5-ethyl-5-hydroxy-9-(methoxycarbonyl)-2,4,5,6,7,8,9,10-octahydro-1H-3,7-methano[1]azacycloundecino[5,4-b]indol-9-yl)-6-formyl-5-hydroxy-8-methoxy-3a,3a1,4,5,5a,6,11,12-octahydro-1H-indolizino[8,1-cd]carbazole-5-carboxylate
|
식별 정보
|
CAS 등록번호
|
57-22-7
|
ATC 코드
|
L01CA02
|
PubChem
|
5978
|
드러그뱅크
|
DB00541
|
ChemSpider
|
5758
|
화학적 성질
|
화학식
|
C46H56N4O10
|
분자량
|
824.958 g/mol
|
SMILES
|
eMolecules & PubChem
|
약동학 정보
|
생체적합성
|
n/a (위장관계에서 잘 흡수되지 않음)[1]
|
단백질 결합
|
~44%[2]
|
동등생물의약품
|
?
|
약물 대사
|
간, 대부분 CYP3A4와 CYP3A5가 관여[1]
|
생물학적 반감기
|
19 ~ 155시간 (평균 85시간)[1]
|
배출
|
대변 (70–80%), 소변 (10–20%)[1]
|
처방 주의사항
|
임부투여안전성
|
D(오스트레일리아)D(미국)
|
법적 상태
|
|
투여 방법
|
정맥 주사
|
빈크리스틴(vincristine, leurocristine, 상표명: Oncovin 등)은 수많은 암의 치료에 사용되는 화학요법 약물이다.[3] 여기에는 급성 림프모구 백혈병, 급성 골수성 백혈병, 호지킨 림프종, 신경아 세포종, 소세포폐암 등이 포함된다.[3] 정맥 주사로 투여한다.[3]
수많은 사람들은 빈크리스틴 치료에 의한 일부 부작용을 경험한다.[3] 일반적으로 감각의 변화, 탈모, 변비, 걷기 불편함, 두통을 일으킬 수 있다.[3] 심각한 부작용으로는 신경성 동통, 허파 손상, 백혈구 감소(감염 위험을 증가)를 포함할 수 있다.[3] 임신 중에 투여할 경우 태아에 위험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3] 세포가 적절히 분열되지 못하게 막음으로써 동작한다.[3]
빈크리스틴은 1961년 처음 분리되었다.[4] 의료제도에 필수적인 가장 효과적이고 안전한 의약품 목록인 WHO 필수 의약품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5] 개발도상국의 도매가는 1회 복용량 기준 1.80 ~ US$42.60 사이이다.[6] 일일초(Catharanthus roseus)에서 채취할 수 있는 빈카 알칼로이드이다.[4]
의학적 사용
빈크리스틴은 정맥 주사를 통해 투여하며 다양한 항암화학요법에서 사용된다.[1] 주된 용도는 비호지킨 림프종(영어판)에서 쓰이는 화학요법인 CHOP R-CVP, 호지킨 림프종에서 쓰이는 MOPP, COPP, BEACOPP 요법의 일부로서 투여하는 것이다. 그 외에도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ALL)에서 쓰이는 화학요법인 스탠포드 V이나, 콩팥모세포종의 치료에도 이용된다.[1] 덱사메타손, L-아스파라지네이스와 함께 ALL의 관해를 유도하거나, 유아 백혈병 치료에서 프레드니손과 병용하기도 한다.[1] 빈크리스틴은 면역억제제로도 간혹 사용되는데, 가령 혈전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TTP)이나 만성 특발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ITP) 치료에 쓰일 수 있다.[1]
부작용
빈크리스틴의 주된 부작용으로는 화학요법 유도 말초신경병증, 저나트륨혈증, 변비, 탈모가 있다.
빈크리스틴 유도 신경병증은 빈크리스틴의 주된 용량 제한 부작용이다.[7] 화학요법 유도 말초신경병증은 심각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빈크리스틴 용량을 줄이거나 아예 투여를 피하게 되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 말초신경병증의 증상으로는 점진적이며 지속적인 저림, 통증, 추위에 대한 과민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때 이 증상들은 진행성으로, 손발에서 시작하여 팔다리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다.[8] 이러한 말초신경병증의 첫 증상 중 하나로는 발처짐이 있다. 발처짐이나 샤르코-마리-투스병(CMT)의 가족력이 있는 환자는 빈크리스틴 투여를 피해야 한다.[9]
작용 기전
빈크리스틴은 부분적으로 튜불린 단백질에 결합하여, 튜불린 이량체가 중합하여 미세소관을 이루는 과정을 멈추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이렇게 되면 세포분열 중기에서 세포의 염색체가 나누어지지 못하게 된다.[10] 세포는 이로 인해 세포자멸사가 유도된다.[11]
빈크리스틴 분자는 백혈구의 생산과 성숙을 억제한다.[12] 그러나 빈크리스틴은 암세포의 분열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빠르게 분열하는 종류의 세포는 모두 빈크리스틴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 따라서 약을 투여할 때 아주 선별적으로 투여할 필요가 있다.[13]
각주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Brayfield, A, 편집. (2013년 12월 13일). “Vincristine”. 《Martindale: The Complete Drug Reference》. Pharmaceutical Press. 2020년 4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15일에 확인함.
- ↑ “Oncovin, Vincasar PFS (vincristine) dosing, indications, interactions, adverse effects, and more”. 《Medscape Reference》. WebMD. 16 April 2014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6 April 2014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Vincristine Sulfate”.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15년 1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Jan 2, 2015에 확인함.
- ↑ 가 나 Ravina, Enrique (2011). 《The evolution of drug discovery : from traditional medicines to modern drugs》 1. Aufl.판. Weinheim: Wiley-VCH. 157–159쪽. ISBN 9783527326693. 2017년 8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WHO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19th List)” (PDF). 《World Health Organization》. April 2015. 13 December 2016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8 December 2016에 확인함.
- ↑ “Vincristine”. 《International Drug Price Indicator Guide》. 2018년 8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 van de Velde ME, Kaspers GL, Abbink FC, Wilhelm AJ, Ket JC, van den Berg MH (June 2017). “Vincristine-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in children with cancer: A systematic review”. 《Critical Reviews in Oncology/Hematology》 114: 114–130. doi:10.1016/j.critrevonc.2017.04.004. PMID 28477739.
- ↑ del Pino BM (2010년 2월 23일). “Chemotherapy-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NCI Cancer Bulletin》 7 (4): 6. 2011년 12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Graf WD, Chance PF, Lensch MW, Eng LJ, Lipe HP, Bird TD (April 1996). “Severe vincristine neuropathy in Charcot-Marie-Tooth disease type 1A”. 《Cancer》 77 (7): 1356–1362. doi:10.1002/(SICI)1097-0142(19960401)77:7<1356::AID-CNCR20>3.0.CO;2-#. PMID 8608515. S2CID 196362723.
- ↑ 《Anticancer Drugs Targeting Tubulin and Microtubules》 (영어). Elsevier. 2015년 1월 1일. ISBN 9780444626493.
- ↑ Jordan MA (January 2002). “Mechanism of action of antitumor drugs that interact with microtubules and tubulin”. 《Current Medicinal Chemistry. Anti-Cancer Agents》 2 (1): 1–17. doi:10.2174/1568011023354290. PMID 12678749.
- ↑ Silverman JA, Deitcher SR (March 2013). “Marqibo (vincristine sulfate liposome injection) improves the pharmacokinetics and pharmacodynamics of vincristine”. 《Cancer Chemotherapy and Pharmacology》 71 (3): 555–64. doi:10.1007/s00280-012-2042-4. PMC 3579462. PMID 23212117.
- ↑ Morris PG, Fornier MN (November 2008). “Microtubule active agents: beyond the taxane frontier”. 《Clinical Cancer Research》 14 (22): 7167–72. doi:10.1158/1078-0432.ccr-08-0169. PMID 19010832.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