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A 회전효소 억제제
국소이성질화효소 억제제, 토포아이소머레이스 억제제(topoisomerase inhibitors) 등으로도 불리는 DNA 회전효소 억제제는 DNA 회전효소의 작용을 억제하는 화합물들로, DNA 회전효소는 크게 제1형 DNA 회전효소(TopI)와 제2형 DNA 회전효소(TopII)로 나누어진다.[1][2][3] DNA 회전효소는 세포의 복제와 DNA 조직화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는 DNA 회전효소가 진핵세포에서 단일 가닥과 이중 가닥 DNA를 절단하는 과정을 매개하여 과도하게 꼬인 DNA의 초나선(supercoil) 구조를 덜 꼬이게 하거나, 두 개 이상의 거대고리가 얽혀 있는 카테네인 구조을 풀거나, 염색체를 응축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1][2][3] DNA 회전효소 억제제는 이렇게 필수적인 세포 내 반응들에 영향을 미친다. 개중에는 DNA 회전효소가 DNA 수선을 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DNA 회전효소-DNA 복합체에 작용하여 DNA 회전효소의 재접합(re-ligation) 단계를 억제하는 경우들이 있다.[3] DNA 회전효소-DNA-억제제 복합체는 세포독성 약제로서, 수선되지 않은 단일 가닥 또는 이중 가닥 DNA는 파괴되면서 세포자멸사를 유발하여 세포를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2][3] 세포자멸사를 유도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인해, DNA 회전효소 억제제는 감염성 또는 종양성 세포에 대항할 수 있는 치료제로서 관심을 끌게 되었다.
역사
1940년대 들어 앨버트 샤츠(Albert Schatz), 셀먼 왁스먼(Selman Waksman), H. 보이드 우드러프(H. Boyd Woodruff) 등의 연구자들은 새로운 항생제를 찾아내는 데에 몰두하며 항생제 분야에 커다란 진보를 이끌었다.[4][5][6][7] 20세기 중후반 항생제와 항암제를 찾아내기 위한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독특한 TopI과 TopII 억제제 약물들을 찾아내었는데, 가령 1960년대에는 캄토테신, 안트라사이클린, 에피포도필록톡신 계열 약물을 발견하였다.[8] 최초로 DNA 회전효소 억제제에 대해 알아내고, 이 약물들이 항암제와 항생제로 쓰일 가능성이 있단 것을 밝힌 뒤에야 1971년 짐 왕(Jim Wang)이 DNA 회전효소를 처음으로 발견하였다.[9][10][11] 1976년에는 겔러트(Gellert) 등이 세균 TopII의 한 종류인 DNA 자이레이스를 발견했으며, 쿠마린이나 퀴놀론 계열 약물에 도입했을 때 DNA 자이레이스가 억제된단 것을 밝혀내며 DNA 회전효소를 표적으로 하는 항생제와 항암제에 더 커다란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3][12] DNA 회전효소 억제제는 실험의 도구로 응용되어 일부 DNA 회전효소의 발견에 기여하기도 했는데, 가령 퀴놀론 계열 약물인 날리딕스산은 날리딕스산이 결합하는 세균의 TopII 단백질을 밝히는 데에 도움이 되었다.[11] DNA 회전효소 억제제 계열 약물은 여러 가지 서로 다른 기원을 가지고 있다. 가령 캄토테신,[10] 에토포사이드[13] 등은 식물에서 처음 추출되었다. 독소루비신,[14] 인돌로카바졸[15]은 세균 표본에서 분리된 약물이다. 퀴놀론[11]이나 인데노아이소퀴놀린과 같이 순수하게 인공적으로 합성된 경우도 존재하며, 일부는 우연히 합성된 경우도 있다.[16] 이러한 초기의 발견이 이루어진 뒤, DNA 회전효소 억제제 계열 약물들의 구조를 미세 조정하여 더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투여하기 쉬운 유도체들이 개발되었다.[10][11][16][17] 현재 DNA 회전효소 억제제는 항생제와 항암제로 널리 사용되며 굳건한 입지를 지키고 있는데, 안트라사이클린 계열의 TopII 억제제인 독소루비신,[14], 마찬가지로 TopII 억제제인 에토포사이드,[13] 플루오로퀴놀론 계열의 TopII 억제제인 시프로플록사신,[18] 캄토테신 유도체이며 TopI 억제제인 이리노테칸[19] 등은 모두 2019년 WHO 필수 의약품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20]
TopI 억제제
작용 기전
제1형 DNA 회전효소 억제제, 즉 TopI은 DNA 복제와 전사 과정 중 만들어지는 DNA 초나선 구조의 꼬임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21][2] 정상적인 상황에서 TopI은 DNA 골격 구조를 공격하여 일시적인 TopI-DNA 중간체를 형성한다. 이 중간체는 나선의 축을 중심으로 절단된 DNA 가닥이 회전하도록 만든다. 그 뒤 TopI은 절단된 가닥을 다시 접합시켜 이중 DNA(duplex DNA)를 재생성한다.[22][2] TopI 억제제는 절단되기 쉬운 중간체가 안정화되면서 DNA의 재접합을 막고, DNA 가닥이 치명적으로 파괴되도록 유도한다.[22][23] 캄토테신에서 유도된 TopI 억제제는 TopI-DNA와 셋이서 복합체를 형성하여 기능하는데, 복합체의 평평한 구조로 인해 염기쌍 사이에 복합체가 쌓일 수 있게 된다.[24] 정상 세포는 이 안정화된 복합체의 제거를 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여러 개의 DNA 체크포인트를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정상세포의 사멸이 예방된다. 그러나 암세포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체크포인트들이 비활성화되어 있어 TopI 억제제에 의해 암세포만이 선택적으로 영향을 받게 된다.[22][23] 인데노아이소퀴놀린이나 인돌로카바졸 같은 캄토테신 유도 약제가 아닌 약물들은 TopI 그 자체에 기능하는데, 캄토테신에 대한 내성을 유발하는 잔기와 수소 결합을 형성한다.[24] 또한 인데노아이소퀴놀린과 인돌로카바졸은 캄토테신과 달리 락톤 고리를 가지고 있지 않은데, 따라서 화학적으로 보다 안정하며 생리적 환경의 pH에서 가수분해에 덜 취약하게 된다.[22]
항암제
캄토테신
캄토테신(CPT)은 중국 남부에 자생하는 나무인 희수나무(Camptotheca acuminata)에서 처음 추출되었다.[25][10][26] 1950년대 후반에 미국 농무부(USDA)가 주도했던 코르티손 전구물질 연구에서 처음 분리되었으며, 캄토테신의 항암 활성에 관해서는 국립 항암화학요법 서비스 센터(Cancer Chemotherapy National Service Center)의 존 하트웰(John Hartwell) 박사와 그의 팀에서 1960년대 초반 연구하였다.[10] 1970년대에는 캄토테신을 나트륨 염으로 변환하여 용해도를 올리고자 하는 임상시험이 진행되었으나, 임상시험의 결과는 독성으로 인해 그리 좋지 못하였다.[27][28][19] 1985년 샹(Hsaing) 등이 DNA 회전효소 완화 분석(topoisomerase relaxation assays)을 통해 캄토테신의 항암 능력은 TopI 억제 활성 때문이라는 것을 처음으로 추론해냈다.[29] 쿠시먼(Cushman) 등은 2000년, 캄토테신과 캄토테신이 아닌 TopI 억제제인 인데노아이소퀴놀론을 이용한 실험에서 DNA의 풀림이 관찰되지 않았다는 것을 근거로 이 약물들이 DNA 삽입 기전으로 작용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16] 그러나 X선결정학에 기반한 모델을 통해 TopI 억제제가 DNA 삽입을 일으키는 것을 시각화할 수 있게 되면서 이 가설은 반증되었다.[30]
각주
- ↑ 가 나 Cooper, Geoffrey M. (2019). 《The Cell: A Molecular Approach Eighth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22쪽. ISBN 9781605357072.
- ↑ 가 나 다 라 마 Nelson, David L.; Cox, Michael M. (2017). 《Lehninger Principles of Biochemistry Seventh Edition》. W. H. Freeman and Company. 963–971쪽. ISBN 9781464126116.
- ↑ 가 나 다 라 마 Delgado, Justine L.; Hsieh, Chao-Ming; Chan, Nei-Li; Hiasa, Hiroshi (2018년 1월 31일). “Topoisomerases as anticancer targets”. 《Biochemical Journal》 (영어) 475 (2): 373–398. doi:10.1042/BCJ20160583. ISSN 0264-6021. PMC 6110615. PMID 29363591.
- ↑ Waksman, Selman A.; Woodruff, H. Boyd (1940). “The Soil as a Source of Microorganisms Antagonistic to Disease-Producing Bacteria*1”. 《Journal of Bacteriology》 40 (4): 581–600. doi:10.1128/jb.40.4.581-600.1940. ISSN 0021-9193. PMC 374661. PMID 16560371.
- ↑ Bush, Karen (December 2010). “The coming of age of antibiotics: discovery and therapeutic value: Origins of antibiotic drug discovery”.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영어) 1213 (1): 1–4. doi:10.1111/j.1749-6632.2010.05872.x. PMID 21175674. S2CID 205935691.
- ↑ Chevrette, Marc G.; Currie, Cameron R. (March 2019). “Emerging evolutionary paradigms in antibiotic discovery”. 《Journal of Industrial Microbiology & Biotechnology》 (영어) 46 (3–4): 257–271. doi:10.1007/s10295-018-2085-6. ISSN 1367-5435. PMID 30269177. S2CID 52889274.
- ↑ Di Marco, A.; Cassinelli, G.; Arcamone, F. (1981). “The discovery of daunorubicin”. 《Cancer Treatment Reports》 65 (Suppl 4): 3–8. ISSN 0361-5960. PMID 7049379.
- ↑ Marinello, Jessica; Delcuratolo, Maria; Capranico, Giovanni (2018년 11월 6일). “Anthracyclines as Topoisomerase II Poisons: From Early Studies to New Perspectives”.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19 (11): 3480. doi:10.3390/ijms19113480. ISSN 1422-0067. PMC 6275052. PMID 30404148.
- ↑ Buzun, Kamila; Bielawska, Anna; Bielawski, Krzysztof; Gornowicz, Agnieszka (2020년 1월 1일). “DNA topoisomerases as molecular targets for anticancer drugs”. 《Journal of Enzyme Inhibition and Medicinal Chemistry》 (영어) 35 (1): 1781–1799. doi:10.1080/14756366.2020.1821676. ISSN 1475-6366. PMC 7534307. PMID 32975138.
- ↑ 가 나 다 라 마 Wall, Monroe E. (1998). “Camptothecin and taxol: Discovery to clinic”. 《Medicinal Research Reviews》 (영어) 18 (5): 299–314. doi:10.1002/(SICI)1098-1128(199809)18:5<299::AID-MED2>3.0.CO;2-O. ISSN 1098-1128. PMID 9735871. S2CID 41392556.
- ↑ 가 나 다 라 Mitscher, Lester A. (2005년 6월 14일). “Bacterial Topoisomerase Inhibitors: Quinolone and Pyridone Antibacterial Agents”. 《ChemInform》 36 (24): 559–92. doi:10.1002/chin.200524274. ISSN 0931-7597. PMID 15700957.
- ↑ Gellert, M.; Mizuuchi, K.; O'Dea, M. H.; Nash, H. A. (1976년 11월 1일). “DNA gyrase: an enzyme that introduces superhelical turns into DNA.”.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영어) 73 (11): 3872–3876. Bibcode:1976PNAS...73.3872G. doi:10.1073/pnas.73.11.3872. ISSN 0027-8424. PMC 431247. PMID 186775.
- ↑ 가 나 Sinkule, J. A. (March 1984). “Etoposide: a semisynthetic epipodophyllotoxin. Chemistry, pharmacology, pharmacokinetics, adverse effects and use as an antineoplastic agent”. 《Pharmacotherapy》 4 (2): 61–73. doi:10.1002/j.1875-9114.1984.tb03318.x. ISSN 0277-0008. PMID 6326063. S2CID 31424235.
- ↑ 가 나 Benjanuwattra, Juthipong; Siri-Angkul, Natthaphat; Chattipakorn, Siriporn C.; Chattipakorn, Nipon (January 2020). “Doxorubicin and its proarrhythmic effects: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evidence from experimental and clinical studies”. 《Pharmacological Research》 (영어) 151: 104542. doi:10.1016/j.phrs.2019.104542. PMID 31730804. S2CID 208060979.
- ↑ Kojiri, Katsuhisa; Kondo, Hisao; Yoshinari, Tomoko; Arakawa, Hiroharu; Nakajima, Shigeru; Satoh, Fumio; Kawamura, Kenji; Okura, Akira; Suda, Hiroyuki; Okanishi, Masanori (1991). “A new antitumor substance, BE-13793C, produced by a streptomycete. Taxonomy, fermentation, isolation, structure determination and biological activity.”. 《The Journal of Antibiotics》 (영어) 44 (7): 723–728. doi:10.7164/antibiotics.44.723. ISSN 0021-8820. PMID 1652582.
- ↑ 가 나 다 Cushman, Mark; Jayaraman, Muthusamy; Vroman, Jeffrey A.; Fukunaga, Anna K.; Fox, Brian M.; Kohlhagen, Glenda; Strumberg, Dirk; Pommier, Yves (October 2000). “Synthesis of New Indeno[1,2- c ]isoquinolines: Cytotoxic Non-Camptothecin Topoisomerase I Inhibitors”.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영어) 43 (20): 3688–3698. doi:10.1021/jm000029d. ISSN 0022-2623. PMID 11020283.
- ↑ McGowan, John V; Chung, Robin; Maulik, Angshuman; Piotrowska, Izabela; Walker, J Malcolm; Yellon, Derek M (February 2017). “Anthracycline Chemotherapy and Cardiotoxicity”. 《Cardiovascular Drugs and Therapy》 (영어) 31 (1): 63–75. doi:10.1007/s10557-016-6711-0. ISSN 0920-3206. PMC 5346598. PMID 28185035.
- ↑ Research, Center for Drug Evaluation and (2019년 4월 15일). “FDA reinforces safety information about serious low blood sugar levels and mental health side effects with fluoroquinolone antibiotics; requires label changes”. 《FDA》 (영어).
- ↑ 가 나 Li, Fengzhi; Jiang, Tao; Li, Qingyong; Ling, Xiang (2017년 12월 1일). “Camptothecin (CPT) and its derivatives are known to target topoisomerase I (Top1) as their mechanism of action: did we miss something in CPT analogue molecular targets for treating human disease such as cancer?”. 《American Journal of Cancer Research》 7 (12): 2350–2394. ISSN 2156-6976. PMC 5752681. PMID 29312794.
- ↑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1st List, 2019.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9. Licence: CC BY-NC-SA 3.0 IGO.
- ↑ Sinha, Birandra K. (1995년 1월 1일). “Topoisomerase Inhibitors”. 《Drugs》 (영어) 49 (1): 11–19. doi:10.2165/00003495-199549010-00002. ISSN 1179-1950. PMID 7705211. S2CID 46985043.
- ↑ 가 나 다 라 Pommier, Yves (2009년 7월 8일). “DNA Topoisomerase I Inhibitors: Chemistry, Biology, and Interfacial Inhibition”. 《Chemical Reviews》 109 (7): 2894–2902. doi:10.1021/cr900097c. ISSN 0009-2665. PMC 2707511. PMID 19476377.
- ↑ 가 나 Pommier, Yves; Leo, Elisabetta; Zhang, Hongliang; Marchand, Christophe (2010년 5월 28일). “DNA Topoisomerases and Their Poisoning by Anticancer and Antibacterial Drugs”. 《Chemistry & Biology》 (영어) 17 (5): 421–433. doi:10.1016/j.chembiol.2010.04.012. ISSN 1074-5521. PMC 7316379. PMID 20534341.
- ↑ 가 나 Pommier, Yves (October 2006). “Topoisomerase I inhibitors: camptothecins and beyond”. 《Nature Reviews Cancer》 (영어) 6 (10): 789–802. doi:10.1038/nrc1977. ISSN 1474-1768. PMID 16990856. S2CID 25135019.
- ↑ Perdue, Robert E.; Smith, Robert L.; Wall, Monroe E.; Hartwell, Jonathan L.; Abbott, Betty J.; Perdue, Robert E.; Smith, Robert L.; Wall, Monroe E.; Hartwell, Jonathan L.; Abbott, Betty J. (1970). “Camptotheca acuminata Decaisne (Nyssaceae) Source of Camptothecin, an Antileukemic Alkaloid”. Technical Bulletin (영어). doi:10.22004/AG.ECON.171841.
- ↑ D'yakonov, Vladimir A.; Dzhemileva, Lilya U.; Dzhemilev, Usein M. (2017), “Advances in the Chemistry of Natural and Semisynthetic Topoisomerase I/II Inhibitors”, 《Studies in Natural Products Chemistry》 (영어) (Elsevier) 54, 21–86쪽, doi:10.1016/b978-0-444-63929-5.00002-4, ISBN 978-0-444-63929-5, 2020년 12월 20일에 확인함
- ↑ Liu, Ying-Qian; Li, Wen-Qun; Morris‐Natschke, Susan L.; Qian, Keduo; Yang, Liu; Zhu, Gao-Xiang; Wu, Xiao-Bing; Chen, An-Liang; Zhang, Shao-Yong; Nan, Xiang; Lee, Kuo-Hsiung (2015). “Perspectives on Biologically Active Camptothecin Derivatives”. 《Medicinal Research Reviews》 (영어) 35 (4): 753–789. doi:10.1002/med.21342. ISSN 1098-1128. PMC 4465867. PMID 25808858.
- ↑ Cunha, Kênya Silva; Reguly, Maria Luíza; Graf, Ulrich; Rodrigues de Andrade, Heloisa Helena (2002년 3월 1일). “Comparison of camptothecin derivatives presently in clinical trials: genotoxic potency and mitotic recombination”. 《Mutagenesis》 (영어) 17 (2): 141–147. doi:10.1093/mutage/17.2.141. ISSN 0267-8357. PMID 11880543.
- ↑ Hsiang, Y. H.; Hertzberg, R.; Hecht, S.; Liu, L. F. (1985년 11월 25일). “Camptothecin induces protein-linked DNA breaks via mammalian DNA topoisomerase I”.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60 (27): 14873–14878. doi:10.1016/S0021-9258(17)38654-4. ISSN 0021-9258. PMID 2997227.
- ↑ Staker, Bart L.; Feese, Michael D.; Cushman, Mark; Pommier, Yves; Zembower, David; Stewart, Lance; Burgin, Alex B. (April 2005). “Structures of Three Classes of Anticancer Agents Bound to the Human Topoisomerase I−DNA Covalent Complex”.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영어) 48 (7): 2336–2345. doi:10.1021/jm049146p. ISSN 0022-2623. PMID 1580182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