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의 이명박 전 서울시장은 재임 시절 이룬 버스체계 개편과 청계천 복원 사업 등으로 중도층의 호감을 얻고 있었다. 그러나 당내에서는 오히려 2년간 대표를 지내며 확고한 당내 기반을 구축하고 있던 박근혜 전 대표가 세를 과시하고 있었다. 이에 당에서는 둘의 화합을 중재하려 했으나, 양쪽 다 만족하는 경선 룰은 생각보다 쉽게 정할 수 없었다. 이명박 후보 측은 당의 결정에 따른다는 입장이었는데, 이 경우 자신에게 유리하게 국민 참여폭을 늘릴 수 있기 때문이었다. 반면 박근혜 후보 측은 ‘원칙’을 내세우며 룰 변경을 거부했다.
3월 18일 결정된 경선룰에 따르면 선거인단이 4만 명에서 20만명으로 (일반선거인단은 1만 2천 명에서 6만 명으로) 늘었고, 전당대회는 6월에서 8월로 연기되었다. 오픈프라이머리를 요구하던 손학규 전 경기지사는 이같은 경선룰에 반발해 얼마 안가 탈당했으며, 이후 대통합민주신당 경선에 참여하였다.
6월 13일 후보 등록이 완료되었다. 이명박 전 서울시장, 박근혜 전 대표, 원희룡 전 최고위원, 홍준표 의원, 고진화 의원 등이 후보로 등록하였다. 그 중 고진화 후보는 7월 20일 사퇴한다.
여권에선 고건 전 총리가 대선 불출마를 선언하며 마땅히 지지율 높은 대선 후보도 없었고, 범여권 정당의 지지율도 떨어지며 한땐 한나라당 지지율이 50%를 상회할 정도였기 때문에 한나라당 경선은 곧 본선으로 여겨졌고, 달아오른 경선 과정에서 이명박 후보 측에는 BBK 문제, 박근혜 후보 측에는 정수장학회 문제 등이 붉어져나왔다.[1] 사실 이때 훗날 대통령 탄핵 사태까지 이어지는 최순실 일가 문제도 거론되었으나, 이땐 다른 문제들이 더 부각되며 묻힌 바 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좀 더 유리한 고지를 점하고 있다고 평가받던 이명박 후보측의 문제가 더 부각되어, 친인척 관여 부동산 투기 의혹, 부인의 15차례 위장전입 의혹, BBK 관련 주가조자 의혹, X파일 존재론, 산악회 선거법 위반 논란, 도곡동 땅 문제 등이 붉어지며 이명박 후보의 지지율을 조금씩 끌어내렸다. 이 상황에서 타 후보들은 1985년 이명박 후보의 처남과 형 이상은 씨가 도곡동 일대의 땅을 잔뜩 매입한 후 지하철 개통으로 차익을 엄청 남기고 1995년 포스코에 되판 사건을 문제 삼았다.
전당대회를 6일 전인 8월 14일 검찰은 형 이상은 씨의 몫 일부가 이명박 후보의 차명계좌라는 중간수사발표가 하면서 이명박 사퇴론이 거세졌다. 그러나 다음날 대검찰청 정동기 차장이 곧바로 “도곡동 땅은 이명박 후보 소유라는 증거가 없다.”라는 말을 던지며 가까스로 수습한다.[2]
한나라당 경선관리위원회는 7월 22일에 제주에서 시작된 후보자 합동연설회가 과열 조짐을 보임에 따라, 7월 24일로 예정된 광주·전남 합동연설회를 비롯한 전체 합동연설회 일정을 잠정 중단하였다[12]. 그러나 7월 26일로 예정된 부산 합동연설회부터는 재개하기로 결정하고, 광주·전남 합동연설회는 8월 5일로 연기한다고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