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가 (불교)
가가(家家, 산스크리트어: kulaṃkula), 가가성자(家家聖者), 가가수다원(家家須陀洹) 또는 가가사다함(家家斯陀含)은 불교의 성자의 한 부류로, 욕계의 ① 상상품(上上品) ② 상중품(上中品) ③ 상하품(上下品) ④ 중상품(中上品) ⑤ 중중품(中中品) ⑥ 중하품(中下品) ⑦ 하상품(下上品) ⑧ 하중품(下中品) ⑨ 하하품(下下品)의 9품의 수혹 중 ① ② ③ 의 3품 또는 ① ② ③ ④의 4품을 끊은 수도위의 성자를 말한다.[1][2][3][4]
달리 말하면, 욕계 9품의 수혹 중 아직 어떤 수혹도 끊지 않은 상태의 성자인 예류과의 성자가 3품 또는 4품의 수혹을 단멸하였을 때 그 성자를 칭하는 이름이 바뀌어 예류(예류향 · 예류과) 즉 수다원(수다원향 · 수다원과)이라고 부르지 않고 가가라고 부르게 된다.[5][6]
① ② ③ 의 3품의 욕계 수혹을 단멸한 성자는 이후 열반에 이르기까지 최대 3생이 걸리기 때문에 3생가가(三生家家)라고 불리고, ① ② ③ ④의 4품을 욕계 수혹을 단멸한 성자는 이후 열반에 이르기까지 최대 2생이 걸리기 때문에 2생가가(二生家家)라고 불린다.[1][2] 하지만, 최대 3생 또는 2생일 뿐 가가가 된 성자가 이후 반드시 3생 또는 2생을 거쳐야 열반에 드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3품 또는 4품의 욕계 수혹을 단멸하여 가가가 된 후 더욱 정진하여 현생에서 일래과에 든 후 생을 마친 경우 바로 다음 생에서 열반에 들 수도 있으며, 또는 가가가 된 후 더욱 정진하여 현생에서 열반하여 다음 생을 받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는 가가가 된 후 더욱 정진하여 현생에서 불환의 성자가 되어 상류반(上流般, 상계로 전생하여 반열반, 3생을 초과함)할 수도 있다.[7][8]
일반적으로 말해, 가가는 3생가가와 2생가가를 통칭하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아래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가는 4향4과 중 일래향에 속한다. 가가는 욕계 9품의 수혹 중 3~4품을 끊은 성자이고 일래향은 욕계 9품의 수혹 중 1~5품을 끊은 성자이기 때문이다.[9][10]
3향3과 | 단멸한 번뇌 | 단멸에 소요되는 생 | 별도 명칭 |
예류향 | 견혹 | 알 수 없음, 견혹은 단박(16심)에 끊어짐 | |
예류과 | |
일래향 | 욕계 수혹 ① 상상품(上上品) | 최대 2생 | |
욕계 수혹 ② 상중품(上中品) | 최대 1생 | |
욕계 수혹 ③ 상하품(上下品) | 최대 1생 | 가가 · 3생가가 |
욕계 수혹 ④ 중상품(中上品) | 최대 1생 | 가가 · 2생가가 |
욕계 수혹 ⑤ 중중품(中中品) | 최대 1생 | |
일래과 | 욕계 수혹 ⑥ 중하품(中下品) | |
불환향 | 욕계 수혹 ⑦ 하상품(下上品) | 최대 1생 | 일간 |
욕계 수혹 ⑧ 하중품(下中品) | 일간 |
불환과 | 욕계 수혹 ⑨ 하하품(下下品) | |
합계 | 욕계 수혹 9품 | 견도 후 열반까지 최대 7생 | |
가가(家家)은 다음의 분류 또는 체계에 속한다.
3생가가와 2생가가
가가(家家)는 집에서 집으로 옮겨 간다는 뜻인데, 인(人)에서 천(天)으로 또는 천에서 인으로 옮겨 가는 것을 뜻한다.[11] 즉, 욕계의 인간도에서 욕계의 천상도(즉, 6욕천)로, 욕계의 천상도(즉, 6욕천)에서 욕계의 인간도로 옮겨 가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인간도에서 3품 또는 4품의 욕계 수혹을 단멸하여 가가라는 명칭을 획득한 후 그 생을 마치면 다음 생에는 천상도에 태어나고, 천상도(6욕천)에서 가가라는 명칭을 획득한 후 그 생을 마치면 다음 생에는 인간도에 태어난다는 것을 뜻한다.
그리고 위의 표에서 단멸에 소요되는 생은 특정한 도, 즉, 인간도 또는 천상도 중 하나에서의 생을 말한다. 말하자면, 3생가가(三生家家)는 열반에 이르기까지, 즉, 가가가 된 생과 열반에 든 생을 포함하여 모두 헤아릴 때, 인간도에서 최대 3생이 소요된다는 것 혹은 천상도에서 최대 3생이 소요된다는 것을 뜻한다. 그리고 2생가가(二生家家)는 열반에 이르기까지, 즉, 가가가 된 생과 열반에 든 생을 포함하여 모두 헤아릴 때, 인간도에서 최대 2생이 소요된다는 것 혹은 천상도에서 최대 2생이 소요된다는 것을 뜻한다.
즉, 3생가가의 경우, 인간도에서 3품의 욕계 수혹을 단멸하여 3생가가가 된 경우, 최대치로 볼 때, ① 인간도에서 가가가 된 생, ② 그 생을 마친 후 천상도에서 1생, ③ 인간도에서 1생, ④ 다시 천상도에서 1생, ⑤ 인간도에서 1생, ⑥ 다시 천상도에서 1생을 살게 된다. 그리고 이 마지막 ⑥ 천상도의 생에서 열반에 든다. 즉, 3생가가는 엄밀히 말해 열반에 들기까지, 즉, 가가가 된 생과 열반에 든 생을 포함하여 최대 6생을 살게 되고, 이 최대 6생 중 인간도에서의 생이 최대 3생이고 또한 천상도에서의 생이 최대 3생이다. 이 때문에 인간도 또는 천상도에서 생의 수에 초점을 맞추어, 실제로는 최대 6생이 걸리지만, 3생가가라고 부르는 것일 뿐이다. 그리고 천상도에서 3품의 욕계 수혹을 단멸하여 3생가가가 된 경우, 최대치로 볼 때, ① 천상도에서 가가가 된 생, ② 그 생을 마친 후 인간도에서 1생, ③ 천상도에서 1생, ④ 다시 인간도에서 1생, ⑤ 천상도에서 1생, ⑥ 다시 인간도에서 1생을 살게 된다. 그리고 이 마지막 ⑥ 인간도의 생에서 열반에 든다. 즉, 열반에 들기까지, 즉, 가가가 된 생과 열반에 든 생을 포함하여 최대 6생을 살게 되고, 이 최대 6생 중 천상도에서의 생이 최대 3생이고 또한 인간도에서의 생이 최대 3생이다.[1][2][12]
마찬가지로, 2생가가의 경우, 인간도에서 4품의 욕계 수혹을 단멸하여 2생가가가 된 경우, 최대치로 볼 때, ① 인간도에서 가가가 된 생, ② 그 생을 마친 후 천상도에서 1생, ③ 인간도에서 1생, ④ 다시 천상도에서 1생을 살게 된다. 그리고 이 마지막 ④ 천상도의 생에서 열반에 든다. 즉, 2생가가는 엄밀히 말해 열반에 들기까지, 즉, 가가가 된 생과 열반에 든 생을 포함하여 최대 4생을 살게 되고, 이 최대 4생 중 인간도에서의 생이 최대 2생이고 또한 천상도에서의 생이 최대 2생이다. 이 때문에 인간도 또는 천상도에서 생의 수에 초점을 맞추어, 실제로는 최대 4생이 걸리지만, 2생가가라고 부르는 것일 뿐이다. 그리고 천상도에서 4품의 욕계 수혹을 단멸하여 2생가가가 된 경우, 최대치로 볼 때, ① 천상도에서 가가가 된 생, ② 그 생을 마친 후 인간도에서 1생, ③ 천상도에서 1생, ④ 다시 인간도에서 1생을 살게 된다. 그리고 이 마지막 ④ 인간도의 생에서 열반에 든다. 즉, 열반에 들기까지, 즉, 가가가 된 생과 열반에 든 생을 포함하여 최대 4생을 살게 되고, 이 최대 4생 중 천상도에서의 생이 최대 2생이고 또한 인간도에서의 생이 최대 2생이다.[1][2][12]
인가가와 천가가
가가가 인간도와 천상도 중 어느 도에서 열반에 드는가에 따라 인가가(人家家) 또는 천가가(天家家)라고 한다. 즉, 가가가 된 후 인간도에서 열반에 드는 이라면 인가가라고 하고 천상도에서 열반에 드는 이라면 천가가라고 한다.[13][14][15][16][17]
3생가가의 경우, 인간도에서 3생가가가 된 경우, 최대치로 계산할 때, ① 가가가 된 인간도의 생, ② 그 후의 천상도의 생, ③ 다시 인간도의 생, ④ 천상도의 생, ⑤ 다시 인간도의 생, ⑥ 천상도의 생의 최대 6생을 살게 되고, 즉, 인간도의 3생과 천상도의 3생을 교대로 살게 되고, 이 6생 중 마지막의 ⑥ 천상도의 생에서 열반에 든다. 이 경우의 3생가가는 천가가에 속하고 따라서 3생천가가(三生天家家)라고 불린다. 마찬가지로, 천상도에서 3생가가가 된 경우, ① 가가가 된 천상도의 생, ② 그 후의 인간도의 생, ③ 다시 천상도의 생, ④ 인간도의 생, ⑤ 다시 천상도의 생, ⑥ 인간도의 생의 최대 6생을 살게 되고, 즉, 천상도의 3생과 인간도의 3생을 교대로 살게 되고, 이 6생 중 마지막의 ⑥ 인간도의 생에서 열반에 든다. 이 경우의 3생가가는 인가가에 속하고 따라서 3생인가가(三生人家家)라고 불린다.[1][2][12]
마찬가지로, 2생가가의 경우, 인간도에서 2생가가가 된 된 경우, 최대치로 계산할 때, ① 가가가 된 인간도의 생, ② 그 후의 천상도의 생, ③ 다시 인간도의 생, ④ 천상도의 생의 최대 4생을 살게 되고, 즉, 인간도의 2생과 천상도의 2생을 교대로 살게 되고, 이 4생 중 마지막의 ④ 천상도의 생에서 열반에 든다. 이 경우의 2생가가는 천가가에 속하고 따라서 2생천가가(二生天家家)라고 불린다. 마찬가지로, 천상도에서 2생가가가 된 경우, ① 가가가 된 천상도의 생, ② 그 후의 인간도의 생, ③ 다시 천상도의 생, ④ 인간도의 생의 최대 4생을 살게 되고, 즉, 천상도의 2생과 인간도의 2생을 교대로 살게 되고, 이 4생 중 마지막의 ④ 인간도의 생에서 열반에 든다. 이 경우의 2생가가는 인가가에 속하고 따라서 2생인가가(二生人家家)라고 불린다.[1][2][12]
같이 보기
각주
- ↑ 가 나 다 라 마 바 "家家聖者(가가성자)", 운허. 《불교사전》. 2022년 8월 26일에 확인:
家家聖者(가가성자)
【범】 kulaṃkula 인간과 천상의 집[家]에서 집[家]에 이르는 성자(聖者)란 뜻. 인간에서 천상, 천상에서 인간으로 바뀌기 때문에 가가성자(家家聖者)라 함. 4향(向)4과(果)의 하나인 일래향(一來向)의 성자. 욕계의 3품(品) 또는 4품의 수혹(修惑)을 끊고 명을 마치면, 욕계 인(人)ㆍ천(天)의 사이를 세 번이나 두 번 왕래하는 이. 그 중에서 3품의 혹(惑)을 끊은 이를 3생가가(生家家), 4품의 혹을 끊은 이를 2생가가(生家家)라 함. 원래 욕계 9품의 수혹은 윤칠생(潤七生)이라 일컬으며, 그 세력이 능히 욕계에 일곱 번의 생을 받게 하니, 곧 상상품의 2생을, 혹은 상중ㆍ상하ㆍ중상의 각각 1생을, 혹은 중중ㆍ중하를 합하여 1생을, 혹은 하상ㆍ하중ㆍ하하를 합하여 1생을 받는다. 그러므로 지금 그 상상ㆍ상중ㆍ상하 3품의 혹을 끊으면 다음 6품의 혹은 단지 세 번만 욕계에 생을 받고, 상상ㆍ상중ㆍ상하ㆍ중상 4품의 혹을 끊으면 다음 5품의 혹은 두 번만 생을 받을 뿐이다. 이리하여 3생가가ㆍ2생가가란 이름이 있다. 이 3생가가ㆍ2생가가에는 천가가(天家家)ㆍ인가가(人家家)의 구별이 있으며, 또는 등생가가(等生家家)ㆍ부등생가가(不等生家家)로도 구별함. 천가가는 인(人) 또는 천(天) 중에서 득도(得道)하여 천중에서 열반에 드는 이를, 인가가는 천 또는 인중에서 득도하여 인 중에서 열반에 드는 이를 말함. 등생(等生)이란 것은 천3 인3ㆍ인3 천3ㆍ천2 인2ㆍ인2 천2를 말하고, 부등생(不等生)이란 천3 인2ㆍ인3 천2ㆍ천2 인1ㆍ인2 천1을 말함. 등생 중에서 천3 인3이라 함은, 천 중에서 득도한 이로 제1에 인의 1생, 제2에 천의 1생, 제3에 인의 1생, 제4에 천의 1생, 제5에 인의 1생, 제6에 천의 1생을 받아 이생에서 열반에 드는 이를 가리킴이니, 이것이 3생천가가. 인3 천3이라 함은, 인 중에서 득도한 이로 제1에 천, 제2에 인, 제3에 천, 제4에 인, 제5에 천, 제6에 인의 생을 받아 이생에서 열반에 드는 이를 가리킴이니, 이것이 3생인가가. 부등생 중 천3 인2라 함은 인 중에서 득도한 이로, 제1에 천, 제2에 인, 제3에 천, 제4에 인, 제5에 천의 생을 받아 이생에서 열반에 드는 이를 가리킴이니, 이것이 3생천가가. 인3 천2라 함은 천 중에서 득도한 이로 제1에 인, 제2에 천, 제3에 인, 제4에 천, 제5에 인의 생을 받아 이생에서 열반에 드는 이를 가리킴이니, 이것이 3생인가가. 천2 인2ㆍ인2 천2ㆍ천2 인1ㆍ인2 천1 등은 앞의 것에 따라 알 수 있을 것이므로 이만 줄임.
- ↑ 가 나 다 라 마 바 "家家聖者",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22년 8월 26일에 확인:
家家聖者
家家,為梵語 kulaṃkula 之意譯。係小乘聖者之名。為二十七賢聖之一,十八有學之一。即指聲聞四果中之一來向,已斷欲界三、四品修惑,而於命終時,三或二次受生於欲界人天間之聖者。此類聖者由甲家轉生至乙家,或三生或二生,證極果,入涅槃,故稱家家。其受生次數可別為二:(1)三生家家,謂斷欲界三品修惑,既滅四生,猶餘六品者。(2)二生家家,斷欲界四品修惑,既滅五生,仍餘五品者。若依受生之種類,則可分為:(1)天家家,謂於天趣受三或二生而證圓寂者。(2)人家家,於人趣受三或二生而證圓寂者。此外,又有不厭受生之平等家家與厭受生之不等家家等分別。〔俱舍論卷二十四、阿毘曇心論卷二、阿毘達磨順正理論卷六十四〕(參閱「四向四果」2188)p5149
- ↑ "家家須陀洹→",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22년 8월 26일에 확인:
家家須陀洹→
梵語 Kulaṃkula-srota-āpanna。又名家家聖者。指聲聞第二果之一來向。(參閱「家家聖者」5149)
- ↑ "家家", DDB.《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Edited by A. Charles Muller. 2022년 8월 26일에 확인:
家家
Basic Meaning: one who goes from clan to clan
Senses:
The name of a kind of sage in early Indian Nikāya Buddhism. One of the twenty-seven wise ones 二十七賢聖, and one of the eighteen learners 十八有學 (Pāli kulankula; Skt. kulaṃ-kula; Tib. rigs nas rigs su skye ba). A type of stream-enterer 入流, so called because he or she goes 'from clan to clan,' in the sense that their remaining rebirths (7 max.) take place in good families (cf. Madhyamāgama 127 at T 26.1.616a13). This practitioner is aiming toward the level of once-returner 一來向 in the four stages of the śrāvaka path 聲聞四果. He or she has eliminated the third and fourth class of the afflictions of the desire realm countered in the path of cultivation, and upon dying, will be reborn two or three times as a sagely human or celestial in the desire realm. See also 四向四果. Also called 家家聖者 and 家家斯陀含. [Note: Oda/DFB, Nakamura, and Fo Guang Dictionary explain this more fully in terms of distinguishing four further types of this practitioner.] 〔瑜伽論 T 1579.30.387a19〕 [Anālayo]
[fr] celui qui va de famille en famille [Paul Swanson]
- ↑ 세친 조, 현장 한역(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제24권.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2022년 8월 26일에 확인:
T29n1558_p0123c25║論曰。即預流者進斷修惑。若三緣具轉名家
T29n1558_p0123c26║家。一由斷惑。斷欲修斷三四品故。二由成
T29n1558_p0123c27║根。得能治彼無漏根故。三由受生。更受欲
T29n1558_p0123c28║有三二生故。
-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제24권. 2022년 8월 26일에 확인:
논하여 말하겠다. 예류의 성자가 증진하여 수혹을 끊을 때, 만약 다음의 세 가지 인연을 갖출 경우 그 명칭은 가가(家家)로 바뀐다.
첫째는 번뇌를 끊음[斷惑]에 의해서이니, 욕계 수혹 중의 3품(상하품)과 4품(중상품)을 끊었기 때문이다. 둘째는 근(根)을 성취함[成根]에 의해서이니, 능히 그 같은 수혹을 대치하는 무루근을 획득하였기 때문이다. 셋째는 생을 받음[受生]에 의해서이니, 다시 욕계의 유정으로서 세 번과 두 번의 생을 받기 때문이다.1)
1) 욕계 9품의 수혹 중 앞의 6품을 끊은 자는 1생만을 남기고 있기 때문에 일래과라고 하는데, 이는 현재 생에 끊어지는 것이 아니라 어느 때는 앞의 3품만이 끊어지고, 또 어느 때에는 4품만이 끊어진다. 따라서 전자는 3생만을, 후자는 2생만을 남기고 있어, 극칠반생의 예류과와 1생의 일래과의 중간단계로서 3생 또는 2생의 가가(kulaṃkula)를 설정하게 된 것이다. 여기서 ‘가가’란 인ㆍ천의 집에서 집으로 옮겨 간다는 뜻이다.(후술)
- ↑ 세친 조, 현장 한역(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제24권.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2022년 8월 26일에 확인:
T29n1558_p0123c28║頌中但說初後緣者。預流果
T29n1558_p0123c29║後說進斷惑。成能治彼諸無漏根。義准已
T29n1558_p0124a01║成。故不具說。然復應說三二生者。以有
T29n1558_p0124a02║增進於所受生。或少或無或過此故。
-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제24권. 2022년 8월 26일에 확인:
그런데 본송 중에서 단지 첫째와 마지막 인연만을 설한 것은, 예류과 이후 증진하여 수혹을 끊었다고 설하였으므로 능히 그것을 대치하는 온갖 무루근을 성취하였다고 하는 사실은 이 같은 뜻에 준하여 이미 이루어진 셈이다. 그래서 [세 가지 인연을] 모두 갖추어 설하지 않은 것이다. 그렇더라도 ‘세 번, 두 번 태어난다’는 사실은 마땅히 다시 설하여야 하였으니, 증진함이 있으므로 앞으로 받을 생이 혹 어떤 경우에는 적으며, 혹 어떤 경우에는 없으며, 혹 어떤 경우에는 이를 초과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2)
2) 즉 본송에서 두 번째 인연(무루근의 성취)을 설하지 않은 것은 수혹을 끊었다는 사실로써 이미 알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면, 세 번째 인연(세 번, 두 번의 생을 받는 것) 역시 그것으로 알 수 있기 때문에 설하지 않았어야 한다. 그럼에도 굳이 그것을 설하게 된 것은, 이후 반드시 세 번이나 두 번의 생만을 받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즉 3ㆍ4품의 수혹을 끊고 나서 더욱 증진한 결과 일래과에 이를 수도 있고(적게 받음), 바로 반열반하여 생을 받지 않을 수도 있으며, 불환의 성자가 되어 상류반(上流般, 상계로 전생하여 반열반, 세 번을 초과함)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반드시 명시해야 하는 것이다.
- ↑ 세친 조, 현장 한역(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제24권.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2022년 8월 26일에 확인:
T29n1558_p0124a08║即預流者。進斷欲界一
T29n1558_p0124a09║品修惑乃至五品。應知轉名一來果向。
-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제24권. 2022년 8월 26일에 확인:
즉 예류의 성자가 증진하여 욕계의 1품의 수혹 내지 5품의 수혹을 끊을 경우, 명칭이 바뀌어 일래과의 ‘향(向)’이 되는 것임을 마땅히 알아야 한다.
- ↑ "가가[家家]",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2022년 8월 26일에 확인:
가가[家家]
집에서 집에 이른다는 뜻으로, 인간계에서 천상의 경지에 이르고 천상의 경지에서 인간계에 이르는 것을 의미함. 욕계의 수혹(修惑)을 조금 끊은 일래향(一來向)의 성자. 이 성자는 그 번뇌를 완전히 끊지 못했기 때문에 한번 천상의 경지에 이르렀다가 다시 인간계에 이른다고 함.
- ↑ 가 나 다 라 "等生家家",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22년 8월 26일에 확인:
等生家家
為「不等生家家」之對稱。指往返於人、天二界受生,其受生於二界之回數均等之聖者。反之,受生於二界之回數不均等之聖者,則稱為不等生家家。家家,原為由一家至另一家之意;小乘聲聞中,如「一來向」之聖者,已斷除欲界三、四品之修惑,而於命終後仍須二、三度往返受生於人界、天界,始能般涅槃,即由人界之甲家或乙家生至天界之甲家或乙家,故有「家家聖者」之稱,略稱家家。
家家聖者又有多種類別,於天界、人界各受生三次者,稱為三生家家;各受生兩次者,稱為二生家家。其中又有「人家家」與「天家家」之別。以三生家家而言,所謂天家家,即最初於人界得道之人,命終後須往生天界,然後再經歷人界、天界各二生,最後於天界而得涅槃果;反之,「人家家」則係最初於天界得道,共經歷人界、天界各三生,最後得果於人界之情形。(見圖表)
上記聖者皆為受生於人天二界之回數均等者,故皆屬等生家家。準此,上舉之三生人家家與三生天家家皆可稱為「三生等生家家」,前者亦稱「三生等生人家家」,後者亦稱「三生等生天家家」。另如在天中得道之聖者,一度受生於人間,再生至天上,最後還生人間而般涅槃。此類聖者各在天上、人間二度受生,故稱為「二生等生人家家」。故知等生家家之所以稱為天家家或人家家,皆視其最後證得涅槃果所在之界處而決定。至於不等生家家,則不僅依證果之界處,亦視其受生回數較多之界處而定其名稱,如生於天中得道之聖者,一度下生人間,其後於再度生天時即般涅槃,則共為天上二度受生、人間一度受生,故稱「二生不等生天家家」;反之,在人間二度受生,在天上一度受生,則稱「二生不等生人家家」。三生不等生之天家家或人家家亦皆準此而別。上述說法係自印度以來,如眾賢論師、難陀論師所主張,而亦為我國窺基、普光、法寶等諸師所認可之定說。近世亦有依據印度戒賢論師之說而提出不同之解釋者。〔大毘婆沙論卷五十三、雜心論卷五、阿毘達磨雜集論卷十三、瑜伽師地論卷二十六、俱舍論賢聖品、俱舍論寶疏卷二十四、大乘法苑義林章卷五本〕p6504
- ↑ 세친 조, 현장 한역(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제24권.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2022년 8월 26일에 확인:
T29n1558_p0124a05║應知總有二種家家。一天家家。謂欲天趣
T29n1558_p0124a06║生三二家而證圓寂。或一天處或二或三。
T29n1558_p0124a07║二人家家。謂於人趣生三二家而證圓寂。
T29n1558_p0124a08║或一洲處或二或三。
-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제24권. 2022년 8월 26일에 확인:
마땅히 알아야 할 것이니, 모두 두 가지 종류의 가가가 있다. 첫째는 천가가(天家家)이니, 이를테면 욕계 천취에 세 번 태어나거나[三家] 두 번 태어나[二家] 원적(圓寂)을 증득하는 자로서, 혹 어떤 경우에는 한 곳의 하늘에서, 혹은 두 곳의 하늘에서, 혹은 세 곳의 하늘에서 태어나기도 한다. 둘째는 인가가(人家家)이니, 이를테면 인취에 세 번 태어나거나 두 번 태어나 원적을 증득하는 자로서, 혹 어떤 경우에는 한 주(洲)에서, 혹은 두 주에서, 혹은 세 주에서 태어나기도 한다.
- ↑ "人家家→",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22년 8월 26일에 확인:
人家家→
於人趣受三或二生而證第二果之聖者。(參閱「家家聖者」5149)
- ↑ "天家家",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22년 8월 26일에 확인:
天家家
梵語 deva-kulaṃkula,小乘聖者之名,二十七賢聖之一,十八有學之一。謂於天趣受三或二生而證圓寂者。(參閱「家家聖者」5149、「等生家家」6504)p1762
- ↑ "平等家家",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22년 8월 26일에 확인:
平等家家
聲聞乘分在天上證得四果及在人間證得四果兩種。在天上證得者稱「天家家」,在人間證得者稱「人家家」。所謂「天平等家家」是以天中得道,稱為「天中得果」;「人平等家家」是以人中得道,稱為「人中得果」。得道是進入見道,得果是聲聞覺悟的灰身滅智。(參閱「等生家家」6504)p243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