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신행

수신행(隨信行, 산스크리트어: śraddhānusārin, 영어: practice according to faith) 또는 신행(信行)은 불교의 성자들 중의 한 부류를 일컫는 말로서 수법행(隨法行)의 상대가 되는 것으로, 다른 이 즉 선지식(善知識)의 말을 통해 불법(佛法: 붓다가 말씀하신 교법, 붓다의 가르침)을 듣고 믿어 이에 따라 수행하여 견도(見道)에 든 성자를 말한다. 수법행의 성자가 견도의 계위에 있는 이근(利根)의 성자임에 비해 수신행의 성자는 견도의 계위에 있는 둔근(鈍根)의 성자이다.[1][2][3][4][5][6]

여기서 선지식(善知識, 산스크리트어: kalyāṇamitra)이란 남녀노소와 귀천에 관계 없이 붓다의 가르침[佛法]을 말하여 불연(佛緣)을 맺게 하는 사람을 뜻한다. 특히 붓다의 가르침으로 인도하는 덕이 높은 스승이나 수행에 도움이 되는 지도자나 자신과 마음을 같이 하여 청정한 수행을 하는 이가 선지식에 속한다.[7][8][9]

수신행이 견도의 계위에 있는 둔근성자라는 교의는 부파불교설일체유부대승불교의 교학에 따른 것으로, 중국불교성실종에 따르면 수신행은 견도 이전의 범부의 지위인 3현위(三賢位)와 4선근위(四善根位) 중 3현위의 유정을 뜻하며 수법행은 4선근위의 유정을 뜻한다.[2][4]

수신행(隨信行)은 다음의 분류 또는 체계에 속한다.

경론별 설명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아비달마대비바사론》제54권에서는 수신행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10][11]

어떤 이를 수신행(隨信行)의 보특가라라 하는가? 본래의 품성은 믿음이 많고 사랑이 많고 생각이 많고 즐거움이 많고 따르는 것[隨順]이 많고 뛰어난 이해[勝解]가 많지만 생각하고 헤아리고 관찰하고 간택하기는 좋아하지 않는 어떤 무리가 있다고 하자. 그는 자신의 품성이 믿음 등이 많음으로 말미암아 어느 때에 부처님 혹은 부처님의 제자가 그를 위해 법요(法要)를 들려주며 가르쳐 주고 가르쳐 경계하며 무상(無常)ㆍ(苦)ㆍ(空)ㆍ무아(無我)의 뜻을 널리 천명하면 그는 듣고서 ‘나를 위하여 말씀하신 무상ㆍ고ㆍ공ㆍ무아의 뜻은 매우 장하시다. 나로 하여금 이와 같은 관행(觀行)을 닦게 하고자 하시니 나는 마땅히 뒤바뀜 없이 부지런히 힘쓰고 닦고 배워야겠다’라고 생각한다.
그는 부지런히 무상ㆍ고ㆍ공ㆍ무아 등의 (觀)을 닦고 배워서 깨끗하게 한 뒤에는 점차로 세제일법(世才一法)을 끌어 일으키며 다음에는 다시 고법지인(苦法智忍)을 이끌어 내어 이로부터 견도(見道)의 15찰나(刹那)를 모두 다 수신행(隨信行)이라 한다.
이 수신행보특가라는 예류향(預流向)이기도 하고 일래향(一來向)ㆍ불환향(不還向)이기도 하다. 만일 구박(具縛)이거나 혹은 5품의 결을 끊고 정성이생에 들어간 이면 그는 견도 15심(心) 동안에 예류향이라 하고, 6품을 끊거나 8품의 결을 끊고 정성이생에 들어간 이면 그는 견도 15심 동안에 일래향이라 하며, 욕염(欲染)을 여의었거나 무소유처의 염을 여의고 정성이생에 들어간 이면 그는 견도 15심 동안에 불환향이라고 한다.

또한 《아비달마대비바사론》제54권에서는 수신행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12][13]

【문】무엇 때문에 수신행(隨信行)이라 하는가?
【답】 그는 믿음[信]에 의거하고 믿음에 따라서[隨] 행(行)하기 때문에 수신행이라고 한다. 유루의 믿음에 의거하고 무루의 믿음에 따라 행하며, 속박이 있는 믿음에 의거하고 해탈하는 믿음에 따라 행하며, 계박이 있는 믿음에 의거하고 계박을 여읜 믿음에 따라 행하는 것이니 곧 믿음을 우선으로 삼아 성도(聖道)에 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은 종류의 보특가라는 본래부터 믿는 성향이 강하기 때문에 만일 다른 이가 “그대는 농사에 힘쓰며 살아가야 한다”라고 권하면 그는 ‘나는 농사를 지어야 하는가, 짓지 않아야 하는가? 지을 수가 있는가, 지을 수가 없는가? 그렇게 하는 것이 마땅한 일인가, 마땅하지 않은 일인가?’하고 생각하거나 자세히 살피지도 않고 다른 이의 말을 듣는 즉시 곧 그렇게 한다.
혹은 다른 이가 “그대는 장사를 해야 한다”거나 “왕을 섬겨야 한다”거나 “서(書)ㆍ산(算)ㆍ인(印) 등의 갖가지 기능을 익히고 배워서 살아가야 한다”고 하면 역시 생각하거나 자세히 살피지도 않고……(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말을 듣자마자 곧 그렇게 한다.
혹은 다른 이가 “그대는 출가해야 한다”라고 권하면 역시 ‘출가해야 하는가, 출가하지 않아야 하는가? 출가할 수 있는가, 출가할 수 없는가? 계율을 지닐 수 있는가, 계율을 지닐 수 없는가? 그렇게 하는 것이 마땅한 일인가, 마땅하지 않은 일인가?’하고 생각하거나 자세히 살피지도 않고 다른 이의 권유를 듣자마자 곧 출가한다.
출가하고 난 뒤에 만일 다른 이가 “그대는 외우고 익혀야 한다”고 권하면 그는 ‘외우고 익혀야 하는가, 외우고 익히지 않아야 하는가? 외우고 익힐 수 있는가, 외우고 익힐 수 없는가? 그렇게 하는 것이 마땅한 일인가, 마땅하지 않은 일인가? 소달람(素怛纜)을 외우고 익혀야 하는가, 비나야(毘奈耶)를 외우고 익혀야 하는가? 아비달마(阿毘達磨)를 외우고 익혀야 하는가?’하고 생각하거나 자세히 살피지도 않고 다른 이의 권유를 듣자마자 곧 그렇게 외우고 익힌다.
혹은 다른 이가 “승가의 일[僧事]을 경영하라”고 권하면 ‘나는 해야 하는가, 하지 않아야 하는가? 나는 할 수 있는가, 할 수 없는가? 그렇게 하는 것이 마땅한 일인가, 마땅하지 않은 일인가?’하고 생각하거나 자세히 살피지도 않고 듣자마자 곧 그렇게 한다.
혹은 다른 이가 “아련야(阿練若)에 머무르라”고 권하면 ‘나는 머물러야 하는가, 머무르지 않아야 하는가? 나는 머무를 수 있는가, 머무를 수 없는가? 그렇게 하는 것이 마땅한 일인가, 마땅하지 않은 일인가?’하고 생각하거나 살피지도 않고 듣자마자 곧 그렇게 머무른다.
그는 그렇게 하면서 점차로 성도가행을 닦아 차츰차츰 세제일법을 끌어 일으키고 곧장 고법지인(苦法智忍)을 이끌어 내나니 이로부터 견도의 15찰나 동안을 수신행이라고 한다.

아비달마구사론

T29n1558_p0131b22║論曰。依加行異立初二種。謂依先時隨他
T29n1558_p0131b23║及法於所求義修加行故。立隨信行隨法
T29n1558_p0131b24║行名。

논하여 말하겠다. 가행의 차이에 근거하여 처음의 두 종류를 설정하였으니, 이를테면 일찍이 다른 이와 법에 따라 추구하고자 하는 바에 대해 가행을 닦은 데 근거하여 ‘수신행’과 ‘수법행’이란 명칭을 설정하게 된 것이다.55)


55) 즉 견도 이전에 다른 이의 말을 믿고서 가행을 닦은 이를 수신행이라고 하며, 스스로 증득한 법[自證法]에 따라 가행을 닦은 이를 수법행이라고 한다. 본론 권제23을 참조 바람.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아비달마구사론》제25권. 한문본 & 한글본

수신행과 수법행의 차이

아비달마대비바사론》제54권에 따르면 수신행과 수법행은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1. 수신행(隨信行)은 믿음[信]을 우선으로 삼아 성도(聖道)에 들어가고, 수법행(隨法行)은 지혜[慧]를 우선으로 삼아 성도에 들어간다.[14][15][16][17]
  2. 오직 다른 사람의 말을 믿어서 차츰 수행하여 성도에 드는 이가 있는가 하면 혹은 스스로 생각하고 살펴서 차츰 수행하여 성도에 드는 이가 있다. 다른 사람의 말을 믿어서 차츰 성도에 들어가는 이를 수신행이라 하고 스스로 생각하고 살펴서 차츰 수행하여 성도에 들어가는 이를 수법행이라 한다.[18][19]
  3. 인(因)의 힘 · 가행의 힘 · 불방일의 힘이 모두 다 광대하지 않되 성도에 들어가는 이도 있고, 혹은 세 가지의 힘이 모두 다 광대해져 성도에 드는 이가 있기도 하다. 세 가지 힘이 모두 다 광대하지 않되 성도에 드는 이를 수신행이라 하고, 세 가지 힘이 모두 다 광대해져 성도에 드는 이를 수법행이라고 한다.[20][21]
  4. 지(止) 즉 사마타(奢摩他)의 행으로 성도에 들기도 하고 혹은 관(觀) 즉 비발사나(毘鉢舍那)의 행으로 성도에 들기도 한다. 지의 행으로 말미암아 성도에 드는 이를 수신행이라 하고, 관의 행으로 말미암아 성도에 드는 이를 수법행이라 한다.[22][23]
  5. 지(止) 즉 사마타(奢摩他)를 좋아하기도 하고 혹은 관(觀) 즉 비발사나(毘鉢舍那)를 좋아하기도 한다. 사마타를 좋아하는 이를 수신행이라 하고, 비발사나를 좋아하는 이를 수법행이라 한다. 좋아하는 것과 같이 기뻐하고[憙] 바라는[欲] 것에 있어서도 그러하다.[24][25]
  6. 지(止) 즉 사마타(奢摩他)를 우선으로 삼아 성도에 들기도 하고 혹은 관(觀) 즉 비발사나(毘鉢舍那)를 우선으로 삼아 성도에 들기도 한다. 지를 우선으로 삼아 성도에 드는 이를 수신행이라 하고 관을 우선으로 삼아 성도에 드는 이를 수법행이라 한다.[26][27]
  7. 어떤 이는 지(止) 즉 사마타(奢摩他)를 더하기도 하고 어떤 이는 관(觀) 즉 비발사나(毘鉢舍那)를 더하기도 한다. 사마타를 더하는 이를 수신행이라 하고 비발사나를 더하는 이를 수법행이라 한다.[28][29]
  8. 지(止) 즉 사마타(奢摩他)로 말미암아 마음을 훈수(熏修)하고 관(觀) 즉 비발사나(毘鉢舍那)에 의지하여 해탈하게 되거나, 혹은 관으로 말미암아 마음을 훈수하고 지에 의지하여 해탈하기도 한다. 지로 말미암아 마음을 훈수하고 관에 의지하여 해탈하게 되는 이를 수신행이라 하고, 관으로 말미암아 마음을 훈수하고 지에 의지하여 해탈하게 되는 이를 수법행이라 한다.[30][31]
  9. 어떤 이는 근기가 무디기도 하고 어떤 이는 근기가 예리하기도 하다. 근기가 무딘 이를 수신행이라 하고 근기가 예리한 이를 수법행이라 한다.[32][33]
  10. 어떤 이는 설지(說智)가 있기도 하고 혹은 어떤 이는 개지(開智)가 있기도 하다. 설지가 있는 이를 수신행이라 하고 개지가 있는 이를 수법행이라 한다.[34][35]
  11. 연(緣)의 힘으로 성도에 들기도 하고 혹은 인(因)의 힘으로 성도에 들기도 한다. 연의 힘으로 성도에 드는 이를 수신행이라 하고, 인의 힘으로 성도에 드는 이를 수법행이라 한다.[36][37]
  12. 증상심(增上心)의 지(止) 즉 사마타(奢摩他)를 얻었지만 증상혜(增上慧)의 관(觀) 즉 비발사나(毘鉢舍那)는 얻지 못하기도 하며, 혹은 증상혜의 비발사나를 얻었지만 증상심의 사마타는 얻지 못하기도 하다. 전자를 수신행이라 하고 후자를 수법행이라 한다.[38][39]
  13. 부처님께서 “두 가지 인과 두 가지 연으로 정견을 낼 수 있으니, 첫째는 밖의 인과 연으로, 다른 이의 법음(法音)을 듣는 것이고, 둘째는 안의 인과 연으로, 이치대로 뜻을 짓는 것[如理作意]이다”라고 말씀하셨으니, 밖으로 다른 이의 법음을 듣는 것이 많은 이를 수신행이라 하고 안으로 이치대로 뜻을 짓는 것이 많은 이를 수법행이라 한다.[40][41]
  14. 계경에서 “사람에게 네 가지 법이 있으면 짓는 것이 많다. 첫째는 착한 사람[善士]을 가까이 사귀는 것이요, 둘째는 바른 법을 듣는 것이며, 셋째는 이치대로 뜻을 짓는 것이요, 넷째는 법수법행(法隨法行)이다”라고 말씀하셨으니, 착한 사람을 가까이 사귀고 바른 법을 듣는 것이 많은 이를 수신행이라 하고 이치대로 뜻을 짓고 법수법행이 많은 이를 수법행이라 한다.[42][43]
  15. 어떤 이는 무탐 선근에 많이 머무르기도 하고 어떤 이는 무치 선근에 많이 머무르기도 한다. 무탐 선근에 많이 머무르는 이를 수신행이라 하고 무치 선근에 많이 머무르는 이를 수법행이라 한다.[44][45]
  16. 어떤 이는 밖으로 유정을 믿기도 하고 어떤 이는 안으로 바른 법을 생각하기도 한다. 밖으로 유정을 믿는 이를 수신행이라 하고 안으로 바른 법을 생각하는 이를 수법행이라 한다.[46][47]

같이 보기

각주

  1. "佛法(불법)", 운허. 《불교사전》. 2022년 8월 17일에 확인:
    佛法(불법)
    부처님이 말씀하신 교법.
  2. "隨信行(수신행)", 운허. 《불교사전》. 2022년 8월 17일에 확인:
    隨信行(수신행)
    ↔ 수법행(隨法行). 다른 지식(知識)의 말을 믿고, 이에 따라 수행하는 이. (1) 구사종에서는 견도위(見道位)에 있는 둔근(鈍根)을 말함. (2) 성실종에서는 5정심(停心)ㆍ별상념처(別相念處)ㆍ총상념처(總相念處)의 3현위(賢位)라 함.
  3. "수신행[隨信行]",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2022년 8월 17일에 확인:
    수신행[隨信行]
    남에게 부처의 가르침을 듣고 믿어, 그것에 따라 수행하는 자.
    동의어: 신행(信行)
  4. "隨信行",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22년 8월 17일에 확인:
    隨信行
    梵語 śraddhānusārin。十八有學之一,二十七賢聖之一。為「隨法行」之對稱。指聲聞乘「見道」之鈍根聖者。又作信行。從他人處聽聞佛之教法而生信仰,由信仰而修行,稱為隨信行。反之,非依他人而自隨正法修行,則稱隨法行。據俱舍論卷二十三載,利根者在見道之位,稱為隨法行;鈍根者在見道之位,稱為隨信行。於成實宗,隨信行為三賢之位,隨法行為四善根之位,皆係見道以前之人。〔雜阿含經卷三十三、成實論卷一分別賢聖品、順正理論卷六十五、大乘義章卷十七本、大乘法苑義林章卷五本〕p7959
  5. "隨信行", DDB.《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Edited by A. Charles Muller. 2022년 8월 17일에 확인:
    隨信行
    Basic Meaning: practice according to faith
    Senses:
    The religious life which is based on the faith in the teaching of others; it is that of those of dull faculties 鈍根. One of the eighteen levels in the application of applied practices 十八有學. One of the seven Abhidharmic divisions of sages 七證. Usually understood as a level of faith experienced by those who have either just entered, or have not yet entered the Path of Seeing 見道位. Distinguished from practice according to the Dharma 隨法行, which is done by practitioners of sharp faculties 利根 (Skt. śraddhânusāra; Pāli saddhā-ansārin; Tib. dad pas rjes su 'brang ba). In Mahāyāna, they are also known as 隨信行菩薩, 〔瑜伽論 T 1579.30.335c16〕 Cf. 信行. [Charles Muller; source(s): Ui, Nakamura, Soothill, Hirakawa, YBh-Ind]
  6. "隨信行", 불문망. 《불학사전》. 2022년 8월 17일에 확인:
    隨信行
    辭典解釋 :
    解釋[1]:
    The religious life which is evolved from faith in the teaching of others; it is that of the 鈍根 unintellectual type.
    出處: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3]:
    參看「信行」。
    出處:漢譯阿含經辭典,莊春江編(1.4版)
    解釋[4]:
    行,即進趣之義。謂鈍根之人,憑他生解,依信而行,進趣於道,故名隨信行。
    出處: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5]:
    隨信行者,謂此人根鈍,憑他所說起信修行,進趣於道也。
    出處: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6]:
    顯揚三卷十頁云:一、隨信行。謂如有一,性是軟根;純熟相續;自昔已來,恆信解行。由此因緣,今於諸諦,隨信解行,趣向諦觀。
    二解 大毗婆沙論五十四卷五頁云:問:何故名隨信行?答:由彼依信隨信行故,名隨信行。謂依有漏信,隨無漏信行。依有縛信,隨解脫信行。依有繫信,隨離繫信行。由信為先,得入聖道。如是種類補瑜伽羅,從本以來,性多信故;若聞他勸,汝應務農以自存活;彼不思察我為應作,為不應作;我為能作,為不能作;為有宜便,為無宜便;聞已便作。或聞他勸汝應商賈,或應事王,或應習學書算印等種種技藝以自存活;亦不思察,廣說乃至聞已便作。或聞他勸汝應出家;亦不思察為應出家,不應出家,為能出家,不能出家,為能持戒,不能持戒,為有宜便,為無宜便;聞他勸已,即使出家。既出家已;若聞他勸汝應誦習;彼不思察為應誦習,不應誦習,為能誦習,不能誦習,為有宜便,為無宜便,為素怛纜,為毗奈耶,為阿毗達磨;聞他勸已,即便誦習。或聞他勸營理僧事;亦不思察我為應作,為不應作,我為能作,為不能作,為有宜便,為無宜便,聞已便作。或聞他勸住阿練若,亦不思察,我為應住,為不應住,我為能住,為不能住,為有宜便,為無宜便,聞已便住。彼漸次修聖道加行,展轉引起世第一法,無間引生苦法智忍。從此見道十五剎那,名隨信行。
    出處: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7]:
    śraddhânusārin, śraddhânusāra
    出處:佛教漢梵大辭典, 平川彰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Akira Hirakawa
    頁數:4037
    相近字:
    隨信行及信勝解時解脫道 [w] , 隨信行及隨法行 [w] , 隨信行者 [w] , 隨信行與隨法行差別 [w] , 隨信行補特伽羅 [w] , 隨信法行 [w] , 隨信心 [w] , 隨俗說 [w] , 隨俗訓釋 [w] , 隨俗假言說 [w]
  7. "善知識(선지식)", 운허. 《불교사전》. 2022년 8월 17일에 확인:
    善知識(선지식)
    【범】 kalyāṇamitra ↔악지식(惡知識). 또는 지식(知識)ㆍ선우(善友)ㆍ친우(親友)ㆍ선친우(善親友)ㆍ승우(勝友)라고도 함. (1) 부처님이 말씀한 교법(敎法)을 말하여 다른 이로 하여금 고통 세계를 벗어나 이상경(理想境)에 이르게 하는 사람. (2) 남녀노소, 귀천을 가리지 않고, 모두 불연(佛緣)을 맺게 하는 사람. ⇒지식(知識)
  8. "선지식[善知識]",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2022년 8월 17일에 확인:
    선지식[善知識]
    산스크리트어 kalyāṇa-mitra 좋은 벗. 부처의 가르침으로 인도하는 덕이 높은 스승. 수행에 도움이 되는 지도자. 자신과 마음을 같이 하여 청정한 수행을 하는 자.
  9. "善知識",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22년 8월 17일에 확인:
    善知識
    梵語 kalyāṇamitra,巴利語 kalyāṇa-mitta。音譯作迦羅蜜、迦里也曩蜜怛羅。指正直而有德行,能教導正道之人。又作知識、善友、親友、勝友、善親友。反之,教導邪道之人,稱為惡知識。據大品般若經卷二十七常啼品載,能說空、無相、無作、無生、無滅之法及一切種智,而使人歡喜信樂者,稱為善知識。華嚴經入法界品記述善財童子於求道過程中,共參訪五十五位善知識(一般作五十三位善知識),即上至佛、菩薩,下至人、天,不論以何種姿態出現,凡能引導眾生捨惡修善、入於佛道者,均可稱為善知識。又釋氏要覽卷上引瑜伽師地論,舉出善知識具有調伏、寂靜、惑除、德增、有勇、經富、覺真、善說、悲深、離退等十種功德。另據四分律卷四十一載,善親友須具備難與能與、難作能作、難忍能忍、密事相告、遞相覆藏、遭苦不捨、貧賤不輕等七個條件,即所謂「善友七事」。
    經論中臚舉善知識之各種類別,據智顗之摩訶止觀卷四下載,善知識有如下三種:(1)外護,指從外護育,使能安穩修道。(2)同行,指行動與共,相互策勵。(3)教授,指善巧說法。據圓暉之俱舍論頌疏卷二十九載,與法者為上親友,與財、法者為中親友,僅與財者為下親友,以上稱為三友。華嚴經探玄記卷十八亦舉出人、法、人法合辨等三種善知識。
    舊華嚴經卷三十六離世間品則說十種善知識,即:能令安住菩提心善知識、能令修習善根善知識、能令究竟諸波羅蜜善知識、能令分別解說一切法善知識、能令安住成熟一切眾生善知識、能令具足辯才隨問能答善知識、能令不著一切生死善知識、能令於一切劫行菩薩行心無厭倦善知識、能令安住普賢行善知識、能令深入一切佛智善知識。〔雜阿含經卷二十七、卷三十六、卷四十五、中阿含卷十即為比丘說經、長阿含卷五闍尼沙經、增一阿含經卷十一善知識品、尸迦羅越六方禮經、南本大般涅槃經卷二十三、法華經卷七妙莊嚴王本事品、大智度論卷七十一、卷九十六〕(參閱「知識」4370)p6157
  10. 오백 아라한 조, 현장 한역(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沙論) 제54권. 대정신수대장경. T27, No. 1545, CBETA. 2022년 8월 18일에 확인:
    T27n1545_p0278a21║云何隨信行
    T27n1545_p0278a22║補特伽羅。謂有一類。本來稟性多信多愛多
    T27n1545_p0278a23║恩多樂多隨順多勝解。不好思量觀察簡
    T27n1545_p0278a24║擇。由彼稟性多信等故。有時遇佛或佛弟
    T27n1545_p0278a25║子為說法要教授教誡。廣為開闡無常苦
    T27n1545_p0278a26║空無我等義。彼作是念。所為我說無常
    T27n1545_p0278a27║苦空無我等義甚為善哉。欲令我修如是
    T27n1545_p0278a28║觀行。我應無倒精勤修學彼勤修學無常苦
    T27n1545_p0278a29║空無我等觀。既淳熟已漸次引起世第一法。
    T27n1545_p0278b01║次復引生苦法智忍。從此見道十五剎那一
    T27n1545_p0278b02║切皆名隨信行者。此隨信行補特伽羅。或是
    T27n1545_p0278b03║預流向。或是一來向。或是不還向。謂若具縛
    T27n1545_p0278b04║或乃至斷五品結已入正性離生。彼於見
    T27n1545_p0278b05║道十五心頃名預流向。若斷六品或乃至
    T27n1545_p0278b06║斷八品結已入正性離生。彼於見道十五
    T27n1545_p0278b07║心頃名一來向。若離欲染或乃至離無所
    T27n1545_p0278b08║有處染已入正性離生。彼於見道十五心
    T27n1545_p0278b09║頃名不還向。
  11. 오백 아라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김석군 개역(K.952, 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54권. 2022년 8월 18일에 확인:
    어떤 이를 수신행(隨信行)의 보특가라라 하는가? 본래의 품성은 믿음이 많고 사랑이 많고 생각이 많고 즐거움이 많고 따르는 것[隨順]이 많고 뛰어난 이해[勝解]가 많지만 생각하고 헤아리고 관찰하고 간택하기는 좋아하지 않는 어떤 무리가 있다고 하자. 그는 자신의 품성이 믿음 등이 많음으로 말미암아 어느 때에 부처님 혹은 부처님의 제자가 그를 위해 법요(法要)를 들려주며 가르쳐 주고 가르쳐 경계하며 무상(無常)ㆍ고(苦)ㆍ공(空)ㆍ무아(無我)의 뜻을 널리 천명하면 그는 듣고서 ‘나를 위하여 말씀하신 무상ㆍ고ㆍ공ㆍ무아의 뜻은 매우 장하시다. 나로 하여금 이와 같은 관행(觀行)을 닦게 하고자 하시니 나는 마땅히 뒤바뀜 없이 부지런히 힘쓰고 닦고 배워야겠다’라고 생각한다.
    그는 부지런히 무상ㆍ고ㆍ공ㆍ무아 등의 관(觀)을 닦고 배워서 깨끗하게 한 뒤에는 점차로 세제일법(世才一法)을 끌어 일으키며 다음에는 다시56) 고법지인(苦法智忍)을 이끌어 내어 이로부터 견도(見道)의 15찰나(刹那)를 모두 다 수신행(隨信行)이라 한다.
    이 수신행보특가라는 예류향(預流向)이기도 하고 일래향(一來向)ㆍ불환향(不還向)이기도 하다. 만일 구박(具縛)이거나 혹은 5품의 결을 끊고 정성이생에 들어간 이면 그는 견도 15심(心) 동안에 예류향이라 하고, 6품을 끊거나 8품의 결을 끊고 정성이생에 들어간 이면 그는 견도 15심 동안에 일래향이라 하며, 욕염(欲染)을 여의었거나 무소유처의 염을 여의고 정성이생에 들어간 이면 그는 견도 15심 동안에 불환향이라고 한다.
    56) 세제일법(世第一法)을 지나서 정성이생(正性離生)으로 들어가 곧 고법지인(苦法智忍)이 이미 생한 뒤에 도류지인(道類智忍)에 이르기까지의 견도(見道) 15심(心) 동안을 여기서 수신행이라 한다. 수법행의 경우도 역시 같다.
  12. 오백 아라한 조, 현장 한역(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沙論) 제54권. 대정신수대장경. T27, No. 1545, CBETA. 2022년 8월 18일에 확인:
    T27n1545_p0279a20║問
    T27n1545_p0279a21║何故名隨信行。答由彼依信隨信行故名
    T27n1545_p0279a22║隨信行。謂依有漏信隨無漏信行。依有縛
    T27n1545_p0279a23║信隨解脫信行。依有繫信隨離繫信行。
    T27n1545_p0279a24║由信為先得入聖道。如是種類補特伽羅
    T27n1545_p0279a25║從本以來性多信故。若聞他勸汝應務農
    T27n1545_p0279a26║以自存活彼不思察。我為應作為不應作。
    T27n1545_p0279a27║我為能作為不能作。為有宜便為無宜
    T27n1545_p0279a28║便。聞已便作。或聞他勸汝應商賈。或應
    T27n1545_p0279a29║事王。或應習學書算印等種種伎藝以自
    T27n1545_p0279b01║存活。亦不思察。廣說乃至。聞已便作。或聞
    T27n1545_p0279b02║他勸汝應出家亦不思察。為應出家不
    T27n1545_p0279b03║應出家為能出家。不能出家。為能持戒
    T27n1545_p0279b04║不能持戒為有宜便為無宜便聞他勸
    T27n1545_p0279b05║已即便出家。既出家已。若聞他勸汝應誦
    T27n1545_p0279b06║習彼不思察。為應誦習不應誦習。為能
    T27n1545_p0279b07║誦習不能誦習。為有宜便為無宜便。為
    T27n1545_p0279b08║素怛纜。為毘柰耶。為阿毘達磨。聞他勸已
    T27n1545_p0279b09║即便誦習。或聞他勸營理僧事亦不思察。
    T27n1545_p0279b10║我為應作為不應作。我為能作為不能作。
    T27n1545_p0279b11║為有宜便為無宜便。聞已便作。或聞他勸
    T27n1545_p0279b12║住阿練若亦不思察。我為應住為不應
    T27n1545_p0279b13║住。我為能住為不能住。為有宜便為
    T27n1545_p0279b14║無宜便。聞已便住。彼漸次修聖道加行展
    T27n1545_p0279b15║轉引起世第一法無間引生苦法智忍。從
    T27n1545_p0279b16║此見道十五剎那名隨信行。
  13. 오백 아라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김석군 개역(K.952, 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54권. 2022년 8월 18일에 확인:
    【문】무엇 때문에 수신행(隨信行)이라 하는가?
    【답】 그는 믿음[信]에 의거하고 믿음에 따라서[隨] 행(行)하기 때문에 수신행이라고 한다. 유루의 믿음에 의거하고 무루의 믿음에 따라 행하며, 속박이 있는 믿음에 의거하고 해탈하는 믿음에 따라 행하며, 계박이 있는 믿음에 의거하고 계박을 여읜 믿음에 따라 행하는 것이니 곧 믿음을 우선으로 삼아 성도(聖道)에 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은 종류의 보특가라는 본래부터 믿는 성향이 강하기 때문에 만일 다른 이가 “그대는 농사에 힘쓰며 살아가야 한다”라고 권하면 그는 ‘나는 농사를 지어야 하는가, 짓지 않아야 하는가? 지을 수가 있는가, 지을 수가 없는가? 그렇게 하는 것이 마땅한 일인가, 마땅하지 않은 일인가?’하고 생각하거나 자세히 살피지도 않고 다른 이의 말을 듣는 즉시 곧 그렇게 한다.
    혹은 다른 이가 “그대는 장사를 해야 한다”거나 “왕을 섬겨야 한다”거나 “서(書)ㆍ산(算)ㆍ인(印) 등의 갖가지 기능을 익히고 배워서 살아가야 한다”고 하면 역시 생각하거나 자세히 살피지도 않고……(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말을 듣자마자 곧 그렇게 한다.
    혹은 다른 이가 “그대는 출가해야 한다”라고 권하면 역시 ‘출가해야 하는가, 출가하지 않아야 하는가? 출가할 수 있는가, 출가할 수 없는가? 계율을 지닐 수 있는가, 계율을 지닐 수 없는가? 그렇게 하는 것이 마땅한 일인가, 마땅하지 않은 일인가?’하고 생각하거나 자세히 살피지도 않고 다른 이의 권유를 듣자마자 곧 출가한다.
    출가하고 난 뒤에 만일 다른 이가 “그대는 외우고 익혀야 한다”고 권하면 그는 ‘외우고 익혀야 하는가, 외우고 익히지 않아야 하는가? 외우고 익힐 수 있는가, 외우고 익힐 수 없는가? 그렇게 하는 것이 마땅한 일인가, 마땅하지 않은 일인가? 소달람(素怛纜)을 외우고 익혀야 하는가, 비나야(毘奈耶)를 외우고 익혀야 하는가? 아비달마(阿毘達磨)를 외우고 익혀야 하는가?’하고 생각하거나 자세히 살피지도 않고 다른 이의 권유를 듣자마자 곧 그렇게 외우고 익힌다.
    혹은 다른 이가 “승가의 일[僧事]을 경영하라”고 권하면 ‘나는 해야 하는가, 하지 않아야 하는가? 나는 할 수 있는가, 할 수 없는가? 그렇게 하는 것이 마땅한 일인가, 마땅하지 않은 일인가?’하고 생각하거나 자세히 살피지도 않고 듣자마자 곧 그렇게 한다.
    혹은 다른 이가 “아련야(阿練若)에 머무르라”고 권하면 ‘나는 머물러야 하는가, 머무르지 않아야 하는가? 나는 머무를 수 있는가, 머무를 수 없는가? 그렇게 하는 것이 마땅한 일인가, 마땅하지 않은 일인가?’하고 생각하거나 살피지도 않고 듣자마자 곧 그렇게 머무른다.
    그는 그렇게 하면서 점차로 성도의 가행을 닦아 차츰차츰 세제일법을 끌어 일으키고 곧장 고법지인(苦法智忍)을 이끌어 내나니 이로부터 견도의 15찰나 동안을 수신행이라고 한다.
  14. 오백 아라한 조, 현장 한역(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沙論) 제54권. 대정신수대장경. T27, No. 1545, CBETA. 2022년 8월 19일에 확인:
    T27n1545_p0279a20║問
    T27n1545_p0279a21║何故名隨信行。答由彼依信隨信行故名
    T27n1545_p0279a22║隨信行。謂依有漏信隨無漏信行。依有縛
    T27n1545_p0279a23║信隨解脫信行。依有繫信隨離繫信行。
    T27n1545_p0279a24║由信為先得入聖道。
  15. 오백 아라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김석군 개역(K.952, 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54권. 2022년 8월 19일에 확인:
    【문】무엇 때문에 수신행(隨信行)이라 하는가?
    【답】 그는 믿음[信]에 의거하고 믿음에 따라서[隨] 행(行)하기 때문에 수신행이라고 한다. 유루의 믿음에 의거하고 무루의 믿음에 따라 행하며, 속박이 있는 믿음에 의거하고 해탈하는 믿음에 따라 행하며, 계박이 있는 믿음에 의거하고 계박을 여읜 믿음에 따라 행하는 것이니 곧 믿음을 우선으로 삼아 성도(聖道)에 들어가게 된다.
  16. 오백 아라한 조, 현장 한역(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沙論) 제54권. 대정신수대장경. T27, No. 1545, CBETA. 2022년 8월 19일에 확인:
    T27n1545_p0279b16║問何故名隨法
    T27n1545_p0279b17║行。答由彼依法隨法行故名隨法行。謂依
    T27n1545_p0279b18║有漏法隨無漏法行。依有縛法隨解脫法。
    T27n1545_p0279b19║行。依有繫法隨離繫法行。由慧為先得
    T27n1545_p0279b20║入聖道。
  17. 오백 아라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김석군 개역(K.952, 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54권. 2022년 8월 19일에 확인:
    【문】무엇 때문에 수법행(隨法行)이라 하는가?
    【답】 그는 법(法)에 의거하고 법에 따라서[隨] 행(行)하기 때문에 수법행이라 한다. 유루법에 의거하고 무루법에 따라 행하며, 속박이 있는 법에 의거하고 해탈하는 법에 따라 행하며, 계박이 있는 법에 의거하고 계박을 여읜 법에 따라 행하는 것이니 곧 지혜[慧]를 우선으로 삼아 성도에 들어가게 된다.
  18. 오백 아라한 조, 현장 한역(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沙論) 제54권. 대정신수대장경. T27, No. 1545, CBETA. 2022년 8월 19일에 확인:
    T27n1545_p0279b27║問隨信行者。如有爾所信亦有爾所慧。隨
    T27n1545_p0279b28║法行者。如有爾所慧亦有爾所信。何故一
    T27n1545_p0279b29║名隨信行。一名隨法行耶。答或但信他展
    T27n1545_p0279c01║轉修行而入聖道。或自思察展轉修行而入
    T27n1545_p0279c02║聖道。若但信他展轉修行入聖道者名隨
    T27n1545_p0279c03║信行。若自思察展轉修行入聖道者名隨
    T27n1545_p0279c04║法行。
  19. 오백 아라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김석군 개역(K.952, 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54권. 2022년 8월 19일에 확인:
    【문】수신행자에게 그 만큼의 믿음이 있는 것처럼 역시 그 만큼의 지혜가 있으며 수법행자에게도 그 만큼의 지혜가 있는 것처럼 역시 그 만큼의 믿음이 있는데 무엇 때문에 하나는 수신행이라 하고 하나는 수법행이라고 하는가?
    【답】 오직 다른 사람의 말을 믿어서 차츰 수행하여 성도에 드는 이가 있는가 하면 혹은 스스로 생각하고 살펴서 차츰 수행하여 성도에 드는 이가 있다. 다른 사람의 말을 믿어서 차츰 성도에 들어가는 이를 수신행이라 하고 스스로 생각하고 살펴서 차츰 수행하여 성도에 들어가는 이를 수법행이라 한다.
  20. 오백 아라한 조, 현장 한역(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沙論) 제54권. 대정신수대장경. T27, No. 1545, CBETA. 2022년 8월 19일에 확인:
    T27n1545_p0279c04║復次或由因力加行力不放逸力皆不
    T27n1545_p0279c05║廣大而入聖道。或由三力皆悉廣大而入
    T27n1545_p0279c06║聖道。若由三力皆不廣大入聖道者名隨
    T27n1545_p0279c07║信行。若由三力皆悉廣大入聖道者名隨
    T27n1545_p0279c08║法行。
  21. 오백 아라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김석군 개역(K.952, 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54권. 2022년 8월 19일에 확인:
    또 혹은 인(因)의 힘ㆍ가행의 힘ㆍ방일하지 않는 힘이 모두 다 광대하지 않되 성도에 들어가는 이도 있고, 혹은 세 가지의 힘이 모두 다 광대해져 성도에 드는 이가 있기도 하다. 세 가지 힘이 모두 다 광대하지 않되 성도에 드는 이를 수신행이라 하고, 세 가지 힘이 모두 다 광대해져 성도에 드는 이를 수법행이라고 한다.
  22. 오백 아라한 조, 현장 한역(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沙論) 제54권. 대정신수대장경. T27, No. 1545, CBETA. 2022년 8월 19일에 확인:
    T27n1545_p0279c08║復次或由止行而入聖道。或由觀行
    T27n1545_p0279c09║而入聖道。若由止行入聖道者名隨信行。
    T27n1545_p0279c10║若由觀行入聖道者名隨法行。
  23. 오백 아라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김석군 개역(K.952, 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54권. 2022년 8월 19일에 확인:
    또 지(止)60)의 행으로 성도에 들기도 하고 혹은 관(觀)의 행으로 성도에 들기도 한다. 지의 행으로 말미암아 성도에 드는 이를 수신행이라 하고, 관의 행으로 말미암아 성도에 드는 이를 수법행이라 한다.
    60) 지(止)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사마타(奢摩他)로서 멈춘다ㆍ그치고 쉰다[止息]는 뜻이 있다. 번뇌를 끊어 없애는 방법을 들으면 곧장 그 번뇌 망념으로 그치고 쉬는 행을 지의 행이라 한다. 관(觀)은 다음에서 설명하는 비발사나(毘鉢舍那)로서 끝까지 관한다ㆍ꿰뚫는다는 뜻이 있다. 똑같이 번뇌를 그쳐 쉬는 것을 들으면 먼저 번뇌를 천착(穿鑿)하고 관찰하면서 그것으로 무찔러 모조리 없애 버리는 것을 관의 행이라 한다.
  24. 오백 아라한 조, 현장 한역(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沙論) 제54권. 대정신수대장경. T27, No. 1545, CBETA. 2022년 8월 19일에 확인:
    T27n1545_p0279c10║復次或樂
    T27n1545_p0279c11║奢摩他。或樂毘鉢舍那樂奢摩他者名隨
    T27n1545_p0279c12║信行。樂毘鉢舍那名隨法行。如樂憙欲亦
    T27n1545_p0279c13║爾。
  25. 오백 아라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김석군 개역(K.952, 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54권. 2022년 8월 19일에 확인:
    또 사마타(奢摩他)를 좋아하기도 하고 혹은 비발사나(毘鉢舍那)를 좋아하기도 한다. 사마타를 좋아하는 이를 수신행이라 하고, 비발사나를 좋아하는 이를 수법행이라 한다. 좋아하는 것과 같이 기뻐하고[憙] 바라는[欲] 것에 있어서도 그러하다.
  26. 오백 아라한 조, 현장 한역(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沙論) 제54권. 대정신수대장경. T27, No. 1545, CBETA. 2022년 8월 19일에 확인:
    T27n1545_p0279c14║復次或由止為先而入聖道。或由觀為先
    T27n1545_p0279c15║而入聖道。若由止為先入聖道者名隨信
    T27n1545_p0279c16║行。若由觀為先入聖道者名隨法行。
  27. 오백 아라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김석군 개역(K.952, 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54권. 2022년 8월 19일에 확인:
    또 지(止)를 우선으로 삼아 성도에 들기도 하고 혹은 관(觀)을 우선으로 삼아 성도에 들기도 한다. 지를 우선으로 삼아 성도에 드는 이를 수신행이라 하고 관을 우선으로 삼아 성도에 드는 이를 수법행이라 한다.
  28. 오백 아라한 조, 현장 한역(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沙論) 제54권. 대정신수대장경. T27, No. 1545, CBETA. 2022년 8월 19일에 확인:
    T27n1545_p0279c16║復次
    T27n1545_p0279c17║或有奢摩他增或有毘鉢舍那增奢摩他增
    T27n1545_p0279c18║者名隨信行。毘鉢舍那增者名隨法行。
  29. 오백 아라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김석군 개역(K.952, 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54권. 2022년 8월 19일에 확인:
    또 어떤 이는 사마타를 더하기도 하고 어떤 이는 비발사나를 더하기도 한다. 사마타를 더하는 이를 수신행이라 하고 비발사나를 더하는 이를 수법행이라 한다.
  30. 오백 아라한 조, 현장 한역(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沙論) 제54권. 대정신수대장경. T27, No. 1545, CBETA. 2022년 8월 19일에 확인:
    T27n1545_p0279c18║復次
    T27n1545_p0279c19║或由止熏心依觀得解脫。或由觀熏心依
    T27n1545_p0279c20║止得解脫。若由止熏心依觀得解脫者
    T27n1545_p0279c21║名隨信行若由觀熏心依止得解脫者名
    T27n1545_p0279c22║隨法行。
  31. 오백 아라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김석군 개역(K.952, 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54권. 2022년 8월 19일에 확인:
    또 지(止)로 말미암아 마음을 훈수(熏修)하고 관(觀)에 의지하여 해탈하게 되거나, 혹은 관으로 말미암아 마음을 훈수하고 지에 의지하여 해탈하기도 한다. 지로 말미암아 마음을 훈수하고 관에 의지하여 해탈하게 되는 이를 수신행이라 하고, 관으로 말미암아 마음을 훈수하고 지에 의지하여 해탈하게 되는 이를 수법행이라 한다
  32. 오백 아라한 조, 현장 한역(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沙論) 제54권. 대정신수대장경. T27, No. 1545, CBETA. 2022년 8월 19일에 확인:
    T27n1545_p0279c22║復次或有鈍根或有利根。若鈍根
    T27n1545_p0279c23║者名隨信行。若利根者名隨法行
  33. 오백 아라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김석군 개역(K.952, 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54권. 2022년 8월 19일에 확인:
    또 어떤 이는 근기가 무디기도 하고 어떤 이는 근기가 예리하기도 하다. 근기가 무딘 이를 수신행이라 하고 근기가 예리한 이를 수법행이라 한다.
  34. 오백 아라한 조, 현장 한역(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沙論) 제54권. 대정신수대장경. T27, No. 1545, CBETA. 2022년 8월 19일에 확인:
    T27n1545_p0279c23║復次或
    T27n1545_p0279c24║有說智或有開智。有說智者名隨信行。
    T27n1545_p0279c25║有開智者名隨法行。
  35. 오백 아라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김석군 개역(K.952, 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54권. 2022년 8월 19일에 확인:
    또 설지(說智)가 있기도 하고 혹은 개지(開智)가 있기도 하다. 설지가 있는 이를 수신행이라 하고 개지가 있는 이를 수법행이라 한다.
  36. 오백 아라한 조, 현장 한역(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沙論) 제54권. 대정신수대장경. T27, No. 1545, CBETA. 2022년 8월 19일에 확인:
    T27n1545_p0279c25║復次或由緣力而入
    T27n1545_p0279c26║聖道或由因力而入聖道若由緣力入聖
    T27n1545_p0279c27║道者名隨信行。若由因力入聖道者名隨
    T27n1545_p0279c28║法行。
  37. 오백 아라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김석군 개역(K.952, 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54권. 2022년 8월 19일에 확인:
    또 연(緣)의 힘으로 성도에 들기도 하고 혹은 인(因)의 힘으로 성도에 들기도 한다. 연의 힘으로 성도에 드는 이를 수신행이라 하고, 인의 힘으로 성도에 드는 이를 수법행이라 한다.
  38. 오백 아라한 조, 현장 한역(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沙論) 제54권. 대정신수대장경. T27, No. 1545, CBETA. 2022년 8월 19일에 확인:
    T27n1545_p0279c28║復次或得增上心奢摩他非增上慧毘
    T27n1545_p0279c29║鉢舍那。或得增上慧毘鉢舍那非增上心奢
    T27n1545_p0280a01║摩他。前名隨信行。後名隨法行。
  39. 오백 아라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김석군 개역(K.952, 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54권. 2022년 8월 19일에 확인:
    또 증상심(增上心)의 사마타를 얻었지만 증상혜(增上慧)의 비발사나는 얻지 못하기도 하며, 혹은 증상혜의 비발사나를 얻었지만 증상심의 사마타는 얻지 못하기도 하다. 전자를 수신행이라 하고 후자를 수법행이라 한다.
  40. 오백 아라한 조, 현장 한역(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沙論) 제54권. 대정신수대장경. T27, No. 1545, CBETA. 2022년 8월 19일에 확인:
    T27n1545_p0280a01║復次如世
    T27n1545_p0280a02║尊說二因二緣能生正見。一外聞他法音。
    T27n1545_p0280a03║二內如理作意。若外聞他法音多者名隨信
    T27n1545_p0280a04║行。若內如理作意多者名隨法行。
  41. 오백 아라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김석군 개역(K.952, 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54권. 2022년 8월 19일에 확인:
    또 세존께서 “두 가지 인과 두 가지 연으로 바른 견해를 내는 것이니, 첫째는 밖으로는 다른 이의 법음(法音)을 듣고, 둘째는 안으로는 이치대로 뜻을 짓는 것[如理作意]이다”라고 말씀하셨으니, 밖으로 다른 이의 법음을 듣는 것이 많은 이를 수신행이라 하고 안으로 이치대로 뜻을 짓는 것이 많은 이를 수법행이라 한다.
  42. 오백 아라한 조, 현장 한역(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沙論) 제54권. 대정신수대장경. T27, No. 1545, CBETA. 2022년 8월 19일에 확인:
    T27n1545_p0280a04║復次如契
    T27n1545_p0280a05║經說。人有四法多有所作。一親近善士。二
    T27n1545_p0280a06║聽聞正法。三如理作意。四法隨法行。若親
    T27n1545_p0280a07║近善士聽聞正法多者名隨信行。若如理
    T27n1545_p0280a08║作意法隨法行多者名隨法行。
  43. 오백 아라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김석군 개역(K.952, 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54권. 2022년 8월 19일에 확인:
    또 계경에서 “사람에게 네 가지 법이 있으면 짓는 것이 많다. 첫째는 착한 사람[善士]을 가까이 사귀는 것이요, 둘째는 바른 법을 듣는 것이며, 셋째는 이치대로 뜻을 짓는 것이요, 넷째는 법수법행(法隨法行)이다”라고 말씀하셨으니, 착한 사람을 가까이 사귀고 바른 법을 듣는 것이 많은 이를 수신행이라 하고 이치대로 뜻을 짓고 법수법행이 많은 이를 수법행이라 한다.
  44. 오백 아라한 조, 현장 한역(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沙論) 제54권. 대정신수대장경. T27, No. 1545, CBETA. 2022년 8월 19일에 확인:
    T27n1545_p0280a08║復次或有多
    T27n1545_p0280a09║住無貪善根。或有多住無癡善根。多住無
    T27n1545_p0280a10║貪善根者名隨信行。多住無癡善根者名
    T27n1545_p0280a11║隨法行。
  45. 오백 아라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김석군 개역(K.952, 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54권. 2022년 8월 19일에 확인:
    또 어떤 이는 탐욕이 없는 선근에 많이 머무르기도 하고 어떤 이는 어리석음이 없는 선근에 많이 머무르기도 한다. 탐욕이 없는 선근에 많이 머무르는 이를 수신행이라 하고 어리석음이 없는 선근에 많이 머무르는 이를 수법행이라 한다.
  46. 오백 아라한 조, 현장 한역(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沙論) 제54권. 대정신수대장경. T27, No. 1545, CBETA. 2022년 8월 19일에 확인:
    T27n1545_p0280a11║復次或有外信有情。或有內思正
    T27n1545_p0280a12║法。外信有情者名隨信行。內思正法者名
    T27n1545_p0280a13║隨法行。
  47. 오백 아라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김석군 개역(K.952, 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54권. 2022년 8월 19일에 확인:
    또 어떤 이는 밖으로 유정을 믿기도 하고 어떤 이는 안으로 바른 법을 생각하기도 한다. 밖으로 유정을 믿는 이를 수신행이라 하고 안으로 바른 법을 생각하는 이를 수법행이라 한다.

Strategi Solo vs Squad di Free Fire: Cara Menang Muda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