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 4217은 제정된 통화의 이름을 정의하기 위한 3문자의 부호(통화 코드라고도 알려짐)를 기술하는 국제 표준화 기구(ISO)가 정의한 국제 기준이다.
역사
1973년, ISO 기술 위원회 68은 무역, 상업, 은행 등의 응용에 사용할 수 있는 통화와 자금을 나타내는 코드를 개발하기로 결정했다. 제17차 회의(1978년 2월)에서, 관련 UN/ECE 전문가 그룹은 국제 표준 ISO 4217의 세 글자의 알파벳 코드인 "통화 및 자금 표시 코드"가 국제 무역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는 데 동의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새로운 통화가 생성되고 오래된 통화가 중단된다. 이러한 변화는 보통 새로운 국가의 형성, 공유 통화 또는 통화 연합에 관한 국가 간의 조약, 과도한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기존 통화의 리디노미네이션에서 비롯된다. 결과적으로, 코드 목록을 수시로 업데이트해야 한다. ISO 4217 유지관리 기관은 코드 목록을 유지관리할 책임이 있다.[1]
코드 종류
태국의 환율 목록. 한국 통화 코드는 KRW임.
국가 통화
국가 통화의 경우, 알파 코드의 처음 두 글자는 ISO 3166-1 alpha-2국가 코드의 두 글자이고, 세 번째 문자는 일반적으로 통화의 주요 단위의 이니셜이다.[2] 그래서 일본의 통화 코드는 JPY이다. "JP"는 일본(Japan)을 그리고 "Y"는 엔(yen)을 의미한다. 이것은 각각 상당히 다른 가치를 가진 달러, 프랑, 페소, 파운드라는 명칭이 수십 개 국가에서 사용되면서 발생하는 문제를 제거한다. 대부분의 경우 ISO 코드는 통화의 전체 영어 이름의 약어와 유사하지만, 알제리 디나르, 아루바 플로린, 케이맨 달러, 런민비, 스털링, 스위스 프랑과 같은 통화에는 공식 통화 이름의 약어와 유사하지 않은 코드가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그렇지는 않다.
ISO 4217은 또한 각 화폐에 세 자리 숫자 코드를 할당한다. 이 숫자 코드는 일반적으로 ISO 3166-1에 의해 해당 국가에 할당된 숫자 코드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USD(미국 달러)에는 숫자 코드 840이 있으며, 이 코드는 "US"(미국)의 ISO 3166-1 코드이기도 하다.
역사
1973년에 ISO 기술 위원회 68은 무역, 상업, 은행업에 적용하기 위한 통화, 기금을 대표할 코드를 개발하기로 결정하였다. 1978년 2월에 UN/ECE 전문가 그룹은 국제 표준 ISO 4217의 세 개의 알파벳 코드가 국제 무역에 적당하다는 데에 뜻을 모았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새로운 통화 코드가 만들어졌으며 오래된 통화 코드는 중단되었다. 정부가 새로 들어선다든지, 국가간 통화 조약의 표준화 과정, 과도한 인플레이션에 따른 통화 재평가 등에 따라 이러한 일이 잦았다. 그 결과, 코드의 목록은 수시로 갱신되었다. ISO 4217 MA는 이 코드 목록을 관리할 책임을 진다.
ISO 4217 통화 코드 목록
유효한 코드
다음은 2023년 1월 1일 (2023-01-01) 기준[update] 공식 ISO 4217 통화 명칭의 코드 목록이다. 표준에서 이 값들은 "알파벳 코드", "숫자 코드", "마이너 단위" 그리고 "독립체"로 불린다.
↑Staff writer (2015). “ISO 4217 - Currency Codes”. 《www.iso.org》. International Organisation for Standardisation. 2022년 6월 27일에 확인함. The alphabetic code is based on another ISO standard, ISO 3166, which lists the codes for country names. The first two letters of the ISO 4217 three-letter code are the same as the code for the country name, and, where possible, the third letter corresponds to the first letter of the currency name.
↑According to Article 4 of the 1994 Paris Protocol [1]. The Protocol allows the Palestinian Authority to adopt additional currencies. In 요르단 강 서안 지구 the 요르단 디나르 is widely accepted and in 가자 지구 the 이집트 파운드 is often used.
↑ 가나The 마다가스카르 아리아리 and the Mauritanian ouguiya are technically divided into five subunits (the iraimbilanja and khoum respectively) the coins display "1/5" on their face and are referred to as a "fifth" (Khoum/cinquieme); These are not used in practice, but when written out, a single significant digit is used. E.g. 1.2 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