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학에서 지리적 중심은 지구 표면 영역(해수면 또는 지오이드 표면에 방사형으로 투영됨)의 2차원 모양의 무게 중심을 가리킨다. 덜 일반적인 표현으로 중력 중심이라고도 한다. 비형식적으로, 중심의 결정은 균일한 평면에서 잘라낸 일정한 모양이 균형을 이루는 점을 찾는 것으로 설명된다.[1] 이 방법은 때때로 "중력 방법"이라고도 불린다.[2]
세련된 접근 방식의 한 예로 2015년 피터 A. 로저슨에 의해 제시된 방법을 들 수 있다. 임의의 기준점을 잡고 방위정거도법을 적용한 후 관심 대상 영역(의 투영에 의한 상)의 무게 중심을 구한 후, 그 무게 중심에 해당하는 점을 기준으로 방위정거도법을 적용하는 과정을 반복하기를 더 이상 중심점이 움직이지 않을 때까지(혹은 변동이 원하는 범위 이내가 될 때까지) 하는 방법이다.[3][4] 초록에는 "새로운 방법은 해당 지역의 모든 지점에서 중심까지의 제곱 대원 거리의 합을 최소화한다"라고 되어 있다.
2019년에 뉴질랜드의 GNS Science 역시 뉴질랜드 확장 대륙붕의 중심 위치를 결정하는 데 반복적 접근 방식(및 다양한 도법)을 사용했다.[5]
그러나 다양한 국가 및 지역의 중심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른 방법도 제안되거나 사용되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미국 지질 조사국(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의 문서에 언급된 바와 같이, "지리적 중심에 대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정의는 없으며 이를 결정하는 완전히 만족스러운 방법도 없다."[1]
일반적으로 섬이나 상당한 크기의 수역을 포함할지 여부에 대해 논쟁의 여지가 있으며, 지구의 곡률을 가장 잘 처리하는 방법 및 이와 밀접하게 관련된 문제인 어떤 지도 투영법을 사용할지의 문제 또한 논쟁의 여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