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서론에서 완비 불 대수(完備Boole代數, 영어: complete Boolean algebra)는 완비 격자인 불 대수이다.
정의
순서론적 정의
완비 불 대수는 완비 격자인 불 대수이다. 두 완비 불 대수 사이의 완비 불 대수 준동형은 완비 격자 준동형이자 불 대수 준동형인 함수이다.
마찬가지로, 임의의 기수 에 대하여, -완비 불 대수는 크기 미만의 모든 부분 집합이 상한과 하한을 갖는 불 대수이며, -완비 불 대수 준동형은 크기 미만의 상한과 하한을 보존하는 불 대수 준동형이다. -완비 불 대수는 불 대수와 같은 개념이며, -완비 불 대수는 시그마 대수라고 한다.
위상수학적 정의
불 대수와 불 대수 준동형의 범주는 스톤 공간과 연속 함수의 범주의 반대 범주이다. 이 경우, 불 대수 에 대응하는 스톤 공간 이 주어졌을 때, 만약 다음 조건이 성립한다면 를 완비 불 대수라고 한다.
- 임의의 열린집합 의 폐포는 열린집합이다.
성질
함의 관계
다음과 같은 함의 관계가 성립한다.
기초적 성질
임의의 완비 불 대수 의 원소 및 부분 집합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무한 분배 법칙)
- (무한 분배 법칙)
- (무한 드 모르간 법칙)
- (무한 드 모르간 법칙)
크기
기수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1][2][3]
- 인 완비 불 대수 가 존재한다.
- 인 시그마 대수(-완비 불 대수) 가 존재한다.
- 만약 가 무한 기수라면, 이다. 만약 가 유한 기수라면, 인 기수 이 존재한다.
시코르스키 확장 정리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 불 대수 의 부분 불 대수
- 완비 불 대수
- 불 대수 준동형
시코르스키 확장 정리(영어: Sikorski extension theorem)에 따르면, 가 성립하는 불 대수 준동형 가 존재한다.
매장 가능성
부분 순서 집합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부분 순서 집합을 분리 부분 순서 집합(分離部分順序集合, 영어: separative poset)이라고 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라면, 임의의 에 대하여, 는 하계를 갖지 않는다.[4]:204, Definition 14.8
- 가 되는 완비 불 대수 와 부분 집합 가 존재한다.[4]:205, Lemma 14.9, Theorem 14.10 (은 순서 동형이다.)
범주론적 성질
완비 불 대수와 완비 불 대수 준동형의 범주 는 구체적 범주이며, 완비 격자와 완비 격자 준동형의 범주 의 충만한 부분 범주이다.
망각 함자
는 왼쪽 수반 함자를 갖지 않는다. 즉, 자유 완비 불 대수는 일반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5][6][7][8] 그러나 임의의 기수 에 대하여, -완비 불 대수 및 -완비 불 대수 준동형의 범주 의 경우 자유 대상이 존재한다.
특히, 는 쌍대 완비 범주가 아니다.
예
모든 유한 불 대수는 완비 불 대수이다.
멱집합
완비 불 대수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인 집합 가 존재한다.
- 임의의 원소 에 대하여, 인 가 존재한다.
특히, 후자가 성립한다면
이다. 여기서 는 부분 순서 집합 의 극소 원소들의 집합이며, 는 의 최소 원소이다. 의 원소는 보통 원자(영어: atom)라고 한다.
위상 수학
위상 공간 의 정칙 열린집합들의 족은 완비 불 대수를 이룬다.
역사
시코르스키 확장 정리는 로만 시코르스키(폴란드어: Roman Sikorski, 1925~1983)가 증명하였다.[9]
같이 보기
각주
- ↑ Pierce, R. S. (1958). “A note on complete Boolean algebras”. 《Proceeding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9: 892–896. doi:10.1090/S0002-9939-1958-0102487-6.
- ↑ Comfort, W. W.; Hager, Anthony W. (1972). “Cardinality of 𝔨-complete Boolean algebras”. 《Pacific Journal of Mathematics》 (영어) 40 (3): 541–545. MR 0307997. Zbl 0232.06008.
- ↑ Monk, J. Donald; Sparks, Paul R. (1971). “Counting Boolean algebras”. 《Notice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18: 551–551.
- ↑ 가 나 >Jech, Thomas (2003). 《Set theory》. Springer Monographs in Mathematics (영어) 3판. Springer-Verlag. doi:10.1007/3-540-44761-X. ISBN 978-3-540-44085-7. ISSN 1439-7382. Zbl 1007.03002. IA settheory0000jech_f7i4.
- ↑ Gaifman, H. (1964). “Infinite Boolean polynomials I”. 《Fundamenta Mathematicae》 (영어) 54 (3): 229–250. ISSN 0016-2736. MR 0168503.
- ↑ Hales, Alfred Washington (1964). “On the non-existence of free complete Boolean algebras”. 《Fundamenta Mathematicae》 (영어) 54 (1): 45–66. ISSN 0016-2736. MR 0163863.
- ↑ Hales, Alfred Washington (1962). 《On the nonexistence of free complete Boolean algebras》 (영어). 박사 학위 논문 (지도 교수 Robert P. Dilworth).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 ↑ Solovay, Robert M. (1966년 3월). “New proof of a theorem of Gaifman and Hales”. 《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72: 282–284. doi:10.1090/S0002-9904-1966-11493-3. ISSN 0273-0979. MR 0186598. Zbl 0158.24903.
- ↑ Sikorski, Roman (1960). 《Boolean algebras》. Ergebnisse der Mathematik und ihrer Grenzgebiete (영어) 25. Springer-Verlag. doi:10.1007/978-3-642-85820-8. ISBN 978-3-642-85822-2. MR 126393. Zbl 0087.02503.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