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숙공주(順淑公主, 1478년 ~ 1488년 8월 20일(음력 7월 14일))는 조선의 공주로 성종의 장녀이자 적장녀이다. 어머니는 정현왕후이다. 신숙공주(愼淑公主)라고도 한다.[1]
1478년(성종 9년), 성종(成宗)과 당시 내명부 종2품 숙의(淑儀)였던 정현왕후(貞顯王后)의 장녀로 태어났다. 《성종실록》의 사망 당시의 나이가 11세였다는 기록을 따른다면 1478년생이지만, 정현왕후 지문에는 기해년(1479년)에 태어났다고 쓰여 있다.[2]
또한 정현왕후의 선릉지문의 내용에 의하면 정현왕후는 중종 외에 세명의 공주를 낳았는데, 세 공주는 순숙공주를 비롯해 각각 을사년(1485년)과 경술년(1490년)에 태어났으며 모두 요절하였다.[3][4]
1479년(성종 10년), 당시 왕비였던 폐비 윤씨가 폐출되고, 1480년(성종 11년) 어머니 숙의 윤씨가 중전이 되면서 공주의 신분이 되었다.
1488년(성종 19년) 7월 14일, 11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5] 성종은 앞으로 공주가 미성년의 나이로 사망할 경우, 장례를 순숙공주의 예에 의거하여 치르라고 전교하였다.
공주는 주상의 딸인데, 나이가 열 한 살이다.
전교하기를,
"공주는 나이 어린 미성인(未成人)이므로 상장(喪葬)의 모든 일을 일체 반드시 횡간(橫看)에만 따른 것이 아니고 참작해 할 것이며, 빈소(殯所)를 없애고 바로 장사하도록 하라."
하였다.
"새로 낳은 공주가 비록 허무하기는 하나 어제 죽었으니, 내일의 조하(朝賀)는 정지하도록 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