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부경찰"(일본어: 西部警察, 세이부케이사츠)는 1979년 10월 부터 1984년 10월 까지 일본의 TV 아사히에서 방송되었던, TV 아사히(당시 전국 아사히 방송)과 이시하라 프로모션 제작의 텔레비전 드라마이다. 총 3시리즈와 스페셜 드라마가 방송되었다.
도쿄 조사이(城西, 시부야구, 미나토구, 신주쿠구, 메구로구 일대) 지구를 관할하는 경시청 서부(세이부) 경찰서의 수사과장인 다이몬 케이스케 부장형사(와타리 테츠야 분)와 그의 부하들은 '다이몬군단'이라 불리며, 범죄자들에게 두려움의 대상으로, 때로는 도전의 대상으로 널리 이름을 떨쳤다. 이를 뒤에서 받쳐주는 수사부장 코구레 겐조 경시(이시하라 유지로). 그와 세이부 경찰서 멤버들은, 강한 의지와 끈끈한 연을 무기로 흉악 범죄에 맞서는데...
일본테레비에서 1976년부터 방송했던 『다이도카이(大都会)』 시리즈로 성공을 거둔 이시하라 프로모션이, 이 작품의 세번째 시리즈(大都会 PARTIII)의 설정 및 캐스팅을 그대로 이어 방송사를 아사히TV로 옮겨 제작한 작품이다. 서부경찰은, 화려한 액션신과 카 스탠드, 거액을 들인 폭파 신 등의 인기 요소로, 5년간 방송되어온 80년대일본 형사물을 대표하는 장기 시리즈물 중 하나이다.
"서부경찰"이라는 명칭은, '서부극과 같은 이미지의 형사 드라마'의 컨셉에서 유래했으며, 당시 방송시간대의 테레비 아사히의 방송광고 등에는 '콘크리트 웨스턴'(콘크리트는 현대적인 도시의 비유)이라는 말이 붙었다.
총격전이나 카 체이스, 폭파 신 등이 매주 전개되었던 이 작품은, 제작비의 충당 방식이 여느 방송과는 다른 방식이었다.
종래의 민간 방송은, 거의 모든 방송이 스폰서와 방송국 사이에 광고대리점이 낀 형태로, 광고대리점이 방송의 내용에 주문을 넣거나, 스폰서료의 10~20%를 수수료로 징수하는 형태를 띠고 있다.[1] "다이토카이" 시리즈보다 큰 스케일의 드라마를 만들고자 생각했던 이시하라 프로모션은, 스폰서료 징수를 위해 테레비 아사히와 직접 계약하는,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방법을 썼다. 이 경우, 광고대리점에게 반드시 수수료가 빠져나가는 리스크가 없어져, 그 부분을 제작비에 충당할 수 있었다. 방송국이 니혼테레비에서 테레비 아사히로 옮겨진 이유는, 이 방식을 테레비 아사히가 이시하라 프로모션에 제시했기 때문이다.
단, 이시하라 프로모션 자체만으로는 폭넓게 스폰서를 받는 것이 어려웠기 때문에, 이시하라 프로모션은 도큐 에이전시에 스폰서 총괄을 위탁했다. 결과로서 당시 덴츠 또는 하쿠호도가 소유했던 방송 시간대를 세이부 경찰이 방송되었던 당시에는 도큐 에이전시가 소유할 수 있었다. 이 방식을 뒤에서 지원했던 사람이 이시하라 유지로의 형인 이시하라 신타로였으며[2], 방송의 대히트와 더불어, 이시하라 프로모션은 30억원의 자산을 형성할 수 있었다고 한다.[3]
서부경찰 시리즈의 특징 중 하나로 파트2,3의 일본 전국을 횡단하는 대규모 로케를 들 수 있다. 이는, 고구레 과장 역의 이시하라 유지로가, 괴리성 대동맥류에 의한 장기 투병 생활에서 복귀한 것을 기념하여, 투병 중에 자신에 성원을 보낸 전국 팬에 대한 감사의 표방을 위해, 또한 건강한 모습을 조금이라도 전국의 팬에게 보여주겠다는 의미로 벌어진 전국 로케였으며, 티비 시리즈로는 이례적인 대규모 지방 촬영이었다.
1979년부터 1984년까지의 5년간의 방송에 따른 수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