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론에서 모리타 동치([森田]同値, 영어: Morita equivalence)는 두 환 위의 가군 범주가 서로 동치가 되는 현상이다.
정의
모리타 동치
환 위의 오른쪽 가군 가 주어졌을 때, 이에 대응하는 모리타 문맥 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 ,
- ,
가 사영 가군이자, 유한 생성 가군이자, 범주 의 생성 대상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에 대응되는 모리타 문맥 에 대하여,
- 는 범주의 동치를 이룬다.
- 는 가법 범주의 가법 동치를 이룬다.
반대로, 모든 가군 가법 범주의 가법 동치는 모리타 문맥에 의하여 유도되며, 이 모리타 문맥은 사영 가군이자, 유한 생성 가군이자, 범주 의 생성 대상인 가군에 의하여 유도된다. 즉, 가법 범주의 가법 동치
가 주어졌을 때,
로 놓으면, 는 사영 가군이자, 유한 생성 가군이자, 범주 의 생성 대상이며, 위 범주의 동치는 에 의하여 생성되는 모리타 문맥에 의하여 생성된다. 특히, 다음과 같은 자연 동형이 존재한다.
또한, 임의의 두 환 에 대하여 다음 두 모임이 서로 표준적으로 일대일 대응한다.
- 가법 동치 의 (자연 동형에 대한) 동형류
-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쌍가군 들의 동형류
이와 같이, 두 환 , 위의 가군 범주가 서로 가법 동치라면, 두 환이 서로 모리타 동치(영어: Morita-equivalent)라고 하며,
로 표기한다.
모리타 쌍대성
쌍가군 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함자를 정의할 수 있다.
이는 항상 서로 수반 함자를 이룬다.
수반 함자의 성분인 자연스러운 사상
이 동형 사상일 경우, -오른쪽 가군 를 -반사 가군(영어: -reflexive module)이라고 하자. 마찬가지로 -왼쪽 가군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반사 가군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 반사 가군의 범주를 및 로 표기하자. 이 경우, 와 는 위 함자에 대하여 서로 가법 동치이다.
아벨 범주 의 충만한 부분 가법 범주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세르 부분 범주라고 한다.
- 짧은 완전열 에 대하여, 라면 이다.
쌍가군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다.
- 는 의 세르 부분 범주이며, 는 의 세르 부분 범주이며, 이며, 이다.
- , , , 의 모든 몫가군은 -반사 가군이다.
- 는 단사 가군이자 의 쌍대 생성 대상이며, 마찬가지로 는 단사 가군이자 의 쌍대 생성 대상이며, 또한 는 충실하게 균형 잡힌 쌍가군을 이룬다.
이 경우, 가 모리타 쌍대성(영어: Morita duality)을 정의한다고 한다.
또한, 위 조건이 성립한다면, 모든 유한 생성 가군 및 유한 쌍대 생성 가군은 -반사 가군이다. 또한, 위 조건을 만족시키는 및 에 대하여, -반사 가군인지 여부는 -반사 가군인지 여부와 일치한다. 즉, 위 조건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반사 가군 조건은 에 의존하지 않는다.
모리타 쌍대성 아래, (반사 가군인) 유한 생성 가군의 쌍대 가군은 유한 쌍대 생성 가군이며, 그 역도 성립한다. 모리타 쌍대성 아래, (반사 가군인) 단순 가군의 쌍대 가군은 단순 가군이며, (반사 가군인) 반단순 가군의 쌍대 가군은 반단순 가군이다.
예
모든 환 및 양의 정수 에 대하여, 는 와 모리타 동치이다. 이를 정의하는 모리타 문맥은 -자유 가군 에 의하여 생성된다. 즉,
- . 이는 행벡터(= 행렬) 쌍가군으로 생각할 수 있다.
- . 이는 열벡터(= 행렬) 쌍가군으로 생각할 수 있다.
- 는 행벡터와 열벡터의 스칼라곱이다.
- 는 열벡터와 행벡터의 외적이다.
아르틴-웨더번 정리에 따라서, 모든 반단순환 는 유한 개의 나눗셈환 위의 행렬환 들의 직접곱과 동형이며, 따라서 유한 개의 나눗셈환들의 직접곱과 모리타 동치이다.
역사
모리타 동치와 모리타 쌍대성은 모리타 기이치(1915~1995)가 1958년에 도입하였다.[1]
각주
- Lam, Tsit-Yuen (1999). 《Lectures on modules and rings》.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189. Springer. doi:10.1007/978-1-4612-0525-8. ISBN 978-0-387-98428-5. MR 1653294.
- Schwede, Stefan (2004). 〈Morita theory in Abelian, derived and stable model categories〉. Baker, Andrew; Richter, Birgit. 《Structured ring spectra》. London Mathematical Society Lecture Notes (영어) 315. Cambridge University Press. 33–86쪽. arXiv:math/0310146. Bibcode:2003math.....10146S. ISBN 978-0-52160305-8.
- Müller, Bruno J. (1984). 〈Morita duality — a survey〉. Göbel, R.; Metelli, C.; Orsatti, A.; Salce, L. 《Abelian groups and modules. Proceedings of the Udine Conference, Udine, April 9–14, 1984》. International Centre for Mechanical Sciences Courses and Lectures (영어) 287. Springer-Verlag. 395–414쪽. doi:10.1007/978-3-7091-2814-5_30. ISBN 978-3-211-81847-3. ISSN 0254-1971.
- Phạm Ngọc Ánh (1985). 〈Morita duality, linear compactness and AB5: a survey〉. Facchini, Alberto; Menini, Claudia. 《Abelian groups and modules. Proceedings of the Padova Conference, Padova, Italy, June 23–July 1, 1994》. Mathematics and Its Applications (영어) 343. Springer-Verlag. 17-28쪽. doi:10.1007/978-94-011-0443-2_2. ISBN 978-94-010-4198-0.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