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실유(棉實油)는 목화 씨에서 짜낸 기름이다. 주로 유지와 마가린을 만들거나 요리할 때, 또는 샐러드용 기름으로 사용한다. 목화 씨에는 기름이 15 ~ 24% 포함되어 있는데, 우선 씨의 겉껍질을 제거한 다음 기름을 뽑아낸다. 공장에서는 기름을 뽑아내는 용액에 씨앗을 담그는 용매 추출법으로 얻는다. 미국이 가장 큰 소비국이며, 인도·중국·멕시코·이집트·파키스탄·브라질 등에서도 많이 생산된다.[1]
고대 중국과 인도에서 약이나 등잔기름으로 이용했지만, 상업적으로 이용하기 시작한 것은 비교적 근대의 일이다.[1] 상업적 대량생산이 이루어지기 전에도 소규모로 생산된 면실유가 미국남부의 흑인노예들이 치킨을 튀기거나[2] 영국에서 피시앤칩스 조리용 등 식품조리에 사용되었다.[3][4]
유럽인들은 나폴레옹의 대륙봉쇄(1806~14)에 맞선 영국의 해상봉쇄의 여파로 기름의 공급 부족을 경험했다. 그런데 1820년대와 1830년대에 산업화와 근대화로 급격히 인구가 증가하여 공업용과 식용 기름의 수요는 더욱 증가했다.[5] 공급부족으로 가격이 상승하자 거의 버려지던 면화씨에서 기름을 추출하려는 상업적 시도가 있었으나 면화씨의 껍질을 대량으로 분쇄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5] 이 문제는 1857년 윌리엄 피(William Fee)가 효과적인 분쇄기를 발명함으로써 해결되었다.[6][7]
1883년 미시시피 주 나체스에 면실유 제분소가 세워지는 등[1] 면화씨를 이용한 면실유가 대량생산되자 상대적으로 비싼 고래 기름과 라드(돼지기름)를 대체하여 불(야간 조명)을 켜거나 산업용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8] 남북전쟁 뒤에는 면실유 산업이 더욱 성장하였다.[1]
19세기말, 프랑스의 화학자 폴 사바티에(Paul Sabatier)가 고온에서 유기물에 수소를 혼합하는 수소화 기법을 개발했다. 상온에서 액체 상태를 유지하는 면실유를 고형화하기 위해서는 동물성 지방과 혼합해야 했으나[9] 에드윈 케이서는 수소화 기법을 이용하여 기름을 고체화하는데 성공한후 미국에 특허를 출원하였다.[10] 미국 기업 P&G가 이 방법을 이용하여 면실유를 반고체화 시킨 식용 쇼트닝 제품을 개발한 후, 1911년부터 크리스코(Crisco)라는 브랜드로 판매를 시작했다.[11] "동물성 지방보다 건강에 좋다"고 하며 매우 공격적인 마케팅을 통하여 시장공략에 성공하자 면실유 소비량이 크게 증가하면서[12] 일반 가정에서도 튀김요리를 할 수 있을 정도로 식용유 사용이 대중화 되었다.
1944년에 목화씨 부족과 콩기름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콩기름이 식용유 시장을 점유해 나갔고[8] 1940년대 후반에 콩기름이 면실유를 대체했다.
1982년 한국에서 처음으로 참치캔 제품을 선보일때 면실유를 사용했었다.[13]
버밍엄의 앨라배마대학 연구진에 의하면 면실유에서 추출한 치료제를 실험적으로 사용해본 결과 다형성 교모세포종을 치료하는데 현저한 효과가 있었다고 한다. 목화씨에 함유된 유효한 성분으로 만든 알약인 AT-101을 이용해서 제2상 임상실험을 한 결과인데, 악성세포가 제멋대로 성장하는 것을 억제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이 성분으로 치료받은 56명의 환자 중 많은 사람들이 뇌종양의 진행이 멈추었다.[14]
미시간대학에서 동물을 대상으로 연구해본 결과 면실유에서 추출한 성분이 전립선암 치료방법의 효과를 올려주는 것으로 밝혀졌고 다른 암을 치료하는 효과도 높여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15] 또 텍사스 의료센터에서 연구해본 결과 면실유에 비타민 E가 풍부하고 자연적으로 콜레스테롤을 낮추어주는 효과가 있어서 면실유를 복용하면 심장병을 치료하는데 도움이 될 수가 있다고 한다.[14]
조제유(粗製油)는 갈색 또는 녹갈색이고, 정제유(精製油)는 연한 노란색 또는 무색이며, 냄새가 없으며 비누화값 190∼200, 아이오딘값 90∼120이다. 지방산 조성의 한 예를 들면, 리놀레산 35~55%, 올레산 15~35%, 팔미트산 23%, 그리고 소량의 미리스트산·스테아르산·아라키돈산 등을 함유한다. 면실유를 냉각하여 고지분(固脂分: 포화산글리세리드로서 ‘스테아린’이라 한다)을 제거한 기름을 윈터오일(winter oil), 고지분을 제거하지 않은 것을 서머오일(summer oil)이라 한다.[16]
처리
(ω-9)
(ω-3)
(ω-6)
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