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S Ⅰ: 거래 근절 필요평가기관: CITES[2]
눈표범(학명: Panthera uncia)은 몽골, 중국, 아프가니스탄에서 바이칼호 및 티베트 동부에 이르는 중앙아시아 일대에 분포하고 있다.
티베트고원의 추운 지역에 살며 산양, 아이벡스, 바랄, 마코르, 토끼, 마멋, 쥐 등을 잡아먹는다. 털가죽을 얻으려고 남획한 결과 지금은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했다.
몸무게는 평균 50 kg, 몸길이는 62.4~95.4 cm, 어깨 높이 1m 가량으로 일반 표범보다 훨씬 더 작다. 크고 모피로 뒤덮인 발은 설피(雪皮) 역할을 한다. 옆구리에 장미꽃 모양의 무늬가 있으며 머리에도 반점들이 있다. 털이 조밀하게 나 있고, 회색을 띠며 갈색 점이 있다. 회색의 몸색깔은 눈이 덮인 곳에서 눈에 잘 띄지 않게 한다. 꼬리가 크고 몸길이만큼 길고(약 1m) 긴 꼬리를 이용해 벼랑 끝에서 균형을 유지한다. 털빛은 위쪽이 회색, 아랫부분은 하얀색이다.[3]
식육목 고양이과 표범속(Panthera)에 속하며 가장 가까운 종은 표범속의 호랑이(Panthera tigris)이다. 이전에는 눈표범속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유전자분석으로 표범속으로 분류된다.
다음은 고양이과의 계통 분류이다.[4]
† 마카이로두스아과
보르네오구름표범
구름표범
눈표범
호랑이
재규어
표범
사자
마블고양이
보르네오황금고양이
아시아황금고양이
서벌
카라칼
아프리카황금고양이
오셀롯
마게이
콜로콜로
안데스산고양이
호랑고양이
코드코드
조프루아고양이
붉은스라소니
캐나다스라소니
스라소니
이베리아스라소니
치타
퓨마
재규어런디
마눌
붉은점박이삵
납작머리삵
고기잡이삵
삵
정글고양이
검은발고양이
모래고양이
들고양이(집고양이 포함)
이들의 분포지역은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의 산악지역에 걸쳐 분포(1,230,000 제곱킬로미터)하고 있으며 대략 12개의 나라에 걸쳐 서식하고 있다. 그 나라는 몽골, 아프가니스탄, 중국, 부탄, 네팔, 인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파키스탄, 러시아 그리고 우즈베키스탄에 걸쳐 분포하고 있다.
티베트와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톈산산맥, 간쑤성, 칭하이성, 쓰촨성의 일부에 걸쳐 분포하고 있다. 윈난성에서도 살았으나 멸종되었다. 인도에서는 시킴, 히마찰프라데시, 잠무 카슈미르, 우타란찰에 걸쳐 살고 있는데 이곳은 네팔, 부탄과 함께 히말라야 산맥이 놓여 있는 지역이다.
아프가니스탄 동부의 힌두쿠시산맥에 서식하고 있다고 하며 키르키스스탄과 타지키스탄에 걸쳐 있는 파미르고원에도 서식하고 있다. 시르다리야에서도 서식하고 있다. 쿤룬산맥, 카라코람산맥, 카슈미르에도 서식하고 있다. 러시아에서는 남부 시베리아(바이칼호 근처)에 서식하고 있으며 그 산맥이 탄누울라(Tannu-Ola)산맥, 러시아 알타이, 사얀산맥이다. 몽골에서는 주로 서부지역(주로 알타이산맥)에 서식하나 중앙에 있는 한가이산맥과 고비 알타이에서도 서식하고 있다.
육식성이어서 바랄 등의 야생양, 마코르염소, 아이벡스 등의 야생염소, 사슴, 멧돼지, 노루, 토끼, 쥐, 산양 등의 먹이를 잡아먹는다.
눈표범을 불법으로 가죽을 포획하지 않고, 눈표범에 추적기를 단다. 한마리도 잡지 말아야 하는 종이기 때문에 쉽게 1000만 마리 이상으로 되는 것이 쉽지 않다. 동물원에서 기르고 보내는 것도 있다.
서울대공원 여우사(현재 퓨마.재규어사) 에서 환갑을 맞은 2마리의 눈표범이 번식에 성공했었으나, 딸이 먼저 폐사하고, 표범사가 리모델링 공사에 들어가 토종동물 번식센터에서 비공개 사육된 상태에서 아비는 2015년 7월 16일, 어미도 2016년 2월 16일에 죽었다. 참고로 이들이 있던 표범사는 기존의 맹수사 일부 개조된 구역인데, 본래 그 눈표범들은 맹수사가 아니라 상술했듯 여우사에 있었다. 그리고 2023년 기준 수컷이 대동물관에 박제로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