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해석학 에서 힐베르트 공간 (Hilbert空間, 영어 : Hilbert space )은 완비 내적 공간 이다. 유클리드 공간 을 일반화한 개념이다.
정의
K
{\displaystyle K}
가
R
{\displaystyle \mathbb {R} }
또는
C
{\displaystyle \mathbb {C} }
라고 하자.
K
{\displaystyle K}
-힐베르트 공간
(
H
,
⟨ ⟨ -->
⋅ ⋅ -->
,
⋅ ⋅ -->
⟩ ⟩ -->
)
{\displaystyle ({\mathcal {H}},\langle \cdot ,\cdot \rangle )}
은 완비 거리 공간 을 이루는
K
{\displaystyle K}
-내적 공간 이다. 내적 공간으로서, 힐베르트 공간은 표준적인 위상 공간 및 거리 공간 및 벡터 공간 및 노름 공간 의 구조를 갖는다.
이와 동치로,
K
{\displaystyle K}
-힐베르트 공간을 다음과 같은 평행사변형 항등식 (平行四邊形恒等式, 영어 : parallelogram identity )을 만족시키는
K
{\displaystyle K}
-바나흐 공간
(
H
,
‖ ‖ -->
⋅ ⋅ -->
‖ ‖ -->
)
{\displaystyle ({\mathcal {H}},\|\cdot \|)}
으로 정의할 수 있다.
‖ ‖ -->
u
+
v
‖ ‖ -->
2
+
‖ ‖ -->
u
− − -->
v
‖ ‖ -->
2
=
2
(
‖ ‖ -->
u
‖ ‖ -->
2
+
‖ ‖ -->
v
‖ ‖ -->
2
)
∀ ∀ -->
u
,
v
∈ ∈ -->
H
{\displaystyle \|u+v\|^{2}+\|u-v\|^{2}=2(\|u\|^{2}+\|v\|^{2})\qquad \forall u,v\in {\mathcal {H}}}
이 경우, 내적 구조는
⟨ ⟨ -->
u
,
v
⟩ ⟩ -->
=
{
1
4
(
‖ ‖ -->
u
+
v
‖ ‖ -->
2
− − -->
‖ ‖ -->
u
− − -->
v
‖ ‖ -->
2
)
K
=
R
1
4
(
‖ ‖ -->
u
+
v
‖ ‖ -->
2
− − -->
‖ ‖ -->
u
− − -->
v
‖ ‖ -->
2
+
i
‖ ‖ -->
u
+
i
v
‖ ‖ -->
2
− − -->
i
‖ ‖ -->
u
− − -->
i
v
‖ ‖ -->
2
)
K
=
C
{\displaystyle \langle u,v\rangle ={\begin{cases}{\frac {1}{4}}\left(\|u+v\|^{2}-\|u-v\|^{2}\right)&K=\mathbb {R} \\{\frac {1}{4}}\left(\|u+v\|^{2}-\|u-v\|^{2}+i\|u+iv\|^{2}-i\|u-iv\|^{2}\right)&K=\mathbb {C} \\\end{cases}}}
가 된다.
분류
힐베르트 공간
H
{\displaystyle {\mathcal {H}}}
의 정규 직교 기저
B
⊂ ⊂ -->
H
{\displaystyle B\subset {\mathcal {H}}}
는 다음과 같은 두 성질을 만족시키는 부분집합이다.
모든
e
,
e
′
∈ ∈ -->
B
{\displaystyle e,e'\in B}
에 대하여,
⟨ ⟨ -->
e
,
e
′
⟩ ⟩ -->
=
{
0
e
≠ ≠ -->
e
′
1
e
=
e
′
{\displaystyle \langle e,e'\rangle ={\begin{cases}0&e\neq e'\\1&e=e'\end{cases}}}
다음 집합은
H
{\displaystyle {\mathcal {H}}}
속의 조밀 집합 이다.
Span
-->
B
=
{
a
1
e
1
+
⋯ ⋯ -->
+
a
n
e
n
|
n
∈ ∈ -->
N
,
e
1
,
… … -->
,
e
n
∈ ∈ -->
B
,
a
1
,
… … -->
,
a
n
∈ ∈ -->
K
}
⊂ ⊂ -->
H
{\displaystyle \operatorname {Span} B=\left\{a_{1}e_{1}+\cdots +a_{n}e_{n}|n\in \mathbb {N} ,\;e_{1},\dots ,e_{n}\in B,\;a_{1},\dots ,a_{n}\in K\right\}\subset {\mathcal {H}}}
초른 보조정리 에 의하여, 모든 힐베르트 공간은 정규 직교 기저를 갖는다. 주어진 힐베르트 공간
H
{\displaystyle {\mathcal {H}}}
의 모든 정규 직교 기저의 크기 는 항상 같은 기수 임을 보일 수 있으며, 이 기수를 힐베르트 공간의 차원
dim
-->
H
{\displaystyle \dim {\mathcal {H}}}
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힐베르트 공간의 정규 직교 기저는 벡터 공간 의 기저를 이루지 않으며, 힐베르트 공간의 차원은 벡터 공간으로서의 차원보다 작거나 같다. 이는 벡터 공간의 경우
Span
-->
B
=
H
{\displaystyle \operatorname {Span} B={\mathcal {H}}}
를 필요로 하지만, 힐베르트 공간의 경우
Span
-->
B
{\displaystyle \operatorname {Span} B}
가 오직 조밀 집합 임이 족하기 때문이다.
두
K
{\displaystyle K}
-힐베르트 공간
H
{\displaystyle {\mathcal {H}}}
,
H
′
{\displaystyle {\mathcal {H}}'}
사이에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1] :1.4.19–1.4.21
dim
-->
H
=
dim
-->
H
′
{\displaystyle \dim {\mathcal {H}}=\dim {\mathcal {H}}'}
H
{\displaystyle {\mathcal {H}}}
와
H
′
{\displaystyle {\mathcal {H}}'}
사이에 유니터리 변환
U
: : -->
H
→ → -->
H
′
{\displaystyle U\colon {\mathcal {H}}\to {\mathcal {H}}'}
이 존재한다. 즉, 두 힐베르트 공간은 서로 동형 이다.
따라서, 힐베르트 공간들은 차원에 따라 완전히 분류된다. 또한,
K
{\displaystyle K}
-힐베르트 공간
H
{\displaystyle {\mathcal {H}}}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1] :1.4.23
H
{\displaystyle {\mathcal {H}}}
는 분해 가능 공간 이다.
dim
-->
H
≤ ≤ -->
ℵ ℵ -->
0
{\displaystyle \dim {\mathcal {H}}\leq \aleph _{0}}
이다.
즉, 분해 가능 힐베르트 공간의 차원은 음이 아닌 정수이거나 아니면 가산 무한
ℵ ℵ -->
0
{\displaystyle \aleph _{0}}
이다.
성질
리스 표현 정리 에 따라서, 힐베르트 공간
H
{\displaystyle {\mathcal {H}}}
는 스스로의 연속 쌍대 공간
H
∗ ∗ -->
{\displaystyle {\mathcal {H}}^{*}}
와 동형이며, 만약
K
=
R
{\displaystyle K=\mathbb {R} }
일 경우 이는 표준적(영어 : canonical ) 동형이다.
예
K
{\displaystyle K}
가
R
{\displaystyle \mathbb {R} }
또는
C
{\displaystyle \mathbb {C} }
라고 하고,
(
X
,
F
,
μ μ -->
)
{\displaystyle (X,{\mathcal {F}},\mu )}
가 측도 공간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그렇다면 L2 공간
L
2
(
X
,
K
)
{\displaystyle L^{2}(X,K)}
는
K
{\displaystyle K}
-힐베르트 공간을 이룬다.[ 1] :1.4.9
만약
X
{\displaystyle X}
가 셈측도 가 부여된 집합이라면
dim
-->
L
2
(
X
,
K
)
=
|
X
|
{\displaystyle \dim L^{2}(X,K)=|X|}
이며, 함수
f
x
: : -->
X
→ → -->
K
(
x
∈ ∈ -->
X
)
{\displaystyle f_{x}\colon X\to K\qquad (x\in X)}
f
x
(
y
)
=
{
1
x
=
y
0
x
≠ ≠ -->
y
{\displaystyle f_{x}(y)={\begin{cases}1&x=y\\0&x\neq y\end{cases}}}
는
L
2
(
X
,
K
)
{\displaystyle L^{2}(X,K)}
의 정규 직교 기저를 이룬다.
만약
F
{\displaystyle {\mathcal {F}}}
가 분해가능 시그마 대수 (
d
(
A
,
B
)
=
μ μ -->
(
A
∖ ∖ -->
B
∪ ∪ -->
B
∖ ∖ -->
A
)
{\displaystyle d(A,B)=\mu (A\setminus B\cup B\setminus A)}
로 정의한 거리 공간 이 분해 가능 공간 인 경우)이며, 또한
X
{\displaystyle X}
가 시그마 유한 공간(가산개의 유한 측도 부분집합들의 합집합)이라면,
L
2
(
X
,
K
)
{\displaystyle L^{2}(X,K)}
는 분해 가능 공간 이다.[ 1] :1.3.9
응용
힐베르트 공간은 해석학 의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특히 편미분 방정식 이론에서 널리 쓰인다. 힐베르트 공간 중 하나인 소볼레프 공간 이 편미분 방정식 을 다룰 때 주로 등장한다.
푸리에 해석 이 힐베르트 공간에서 이뤄진다.
양자역학 에서, 양자계의 상태 공간 은 분해 가능 사영 힐베르트 공간으로 나타내어진다.
역사
1907년에 리스 프리제시 와 에른스트 지그스문트 피셔 가 독립적으로 힐베르트 공간 중 하나인 L 2 가 완비 거리 공간 임을 증명하였다.[ 2] 1907년에 힐베르트 공간론에서 핵심적 정리 중 하나인 리스 표현 정리 가 증명되었다.[ 3]
1908년에 다비트 힐베르트 와 에르하르트 슈미트 가 발표한 적분방정식에 대한 논문에서 제곱 적분 가능한 두 함수의 내적
(
f
,
g
)
:=
∫ ∫ -->
a
b
f
(
x
)
g
(
x
)
d
x
{\displaystyle (f,g):=\int _{a}^{b}f(x)g(x)dx}
이 등장한다. 이 공간은 힐베르트 공간인
L
2
{\displaystyle L^{2}}
공간이 된다.[ 4]
다비트 힐베르트 가 1912년에 힐베르트 공간
ℓ ℓ -->
2
(
N
)
{\displaystyle \ell ^{2}(\mathbb {N} )}
을 정의하였다.[ 5] 이는 유클리드 공간이 아닌 최초의 힐베르트 공간으로 여겨진다. 이후 1929년에 존 폰 노이만 [ 6] 이 힐베르트 공간을 추상적으로 정의하였다.
각주
↑ 가 나 다 라 Tao, Terrence . 《Epsilon of Room, I: Real Analysis: pages from year three of a mathematical blog》 (PDF) . Graduate Studies in Mathematics (영어) 117 .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ISBN 978-0-8218-5278-1 .
↑ Bourbaki, Nicolas (1987), Topological vector spaces, Elements of mathematics, Berlin: Springer-Verlag, ISBN 978-3-540-13627-9
↑ In Dunford & Schwartz (1958, §IV.16), the result that every linear functional on L2[0,1] is represented by integration is jointly attributed to Fréchet (1907) and Riesz (1907). The general result, that the dual of a Hilbert space is identified with the Hilbert space itself, can be found in Riesz (1934).
↑ Schmidt, Erhard (1908), "Über die Auflösung linearer Gleichungen mit unendlich vielen Unbekannten", Rend. Circ. Mat. Palermo, 25: 63–77, doi:10.1007/BF03029116
↑ Hilbert, David (1912). 《Grundzüge einer allgemeinen Theorie der linearen Integralgleichungen》. Fortschr. d. math. Wissensch. in Monographien hrsgb. von O. Blumenthal (독일어) 3 . B. G. Teubner. JFM 43.0423.01 .
↑ von Neumann, J. (1929). “Allgemeine Eigenwerttheorie Hermitescher Funktionaloperatoren” . 《Mathematische Annalen》 (독일어) 102 : 49–131. doi :10.1007/BF01782338 . ISSN 0025-5831 . JFM 55.0824.02 .
참고 문헌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