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카리스탄

토카리스탄으로 알려진 박트리아의 지도.
당나라의 지도. 중국 지배 영토의 서쪽 끝에 있는 박트리아 지역의 토하리스탄을 보여준다.

토카리스탄(페르시아어: تُخارستان[a])은 고대 그리스 자료에서 박트리아로 알려졌던 지역에 부여된 고전기 시대의 이름이다.

6세기에 토카리스탄은 돌궐의 지배를 받았고, 7세기와 8세기에는 당나라안서도호부가 이 지역을 관할하였다.[1] 오늘날 토카리스탄은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아프가니스탄으로 분열되어 있다.

민족

토카리스탄 지역의 대사 초상화 몇 점은 원래 526~539년에 그려진 양나라의 직공도에 남아 있다. 그 당시 그들은 서기 6세기 초에 대사들을 후량의 궁정으로 이끌었던 에프탈의 지배하에 있었다.

타림 분지의 "토하라인"

"토하라인"이라는 이름은 20세기 초 작가들이 타림 분지쿠차아그니 지역에 거주하는 인도-유럽계 사람들에게 잘못 적용한 것이다. 이 학자들은 인도유럽인들이 토카리스탄(박트리아)에서 유래했다고 잘못 믿었고, 따라서 그들에게 "토하라인"이라는 용어를 적용했다. 이 명칭은 타림 분지의 인도유럽인들이 아마도 스스로를 아그니인, 쿠차인, 크로라인으로 불렀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일반적으로 사용된다.[8][9]

중국 문헌

서기 781년에 세워진 대진경교유행중국비에서, 비석의 저자인 동방 교회 수도승 아담은 시리아어로 그의 할아버지가 토카리스탄 발흐 출신의 선교사였다고 언급했다.[10][11][12]

지리학

8세기 토카리스탄과 주변 지역

지리적으로, 토카리스탄은 남쪽으로 힌두쿠시산맥과 북쪽으로 파미르-알레이 산맥 사이의 옥수스 상류에 해당한다.[1] 이 지역은 서쪽으로는 바다흐샨산맥까지, 남쪽으로는 바미얀까지 도달한다.[1] 아랍 자료들은 카불을 토카리스탄의 남쪽 국경의 일부로, 샤가니얀을 북쪽 국경의 일부로 생각했다.[1] 좁은 의미에서, 토카리스탄은 옥수스강 남쪽 지역만을 지칭할 수도 있다.[1] 이 지역은 서기 2세기부터 9세기까지 동이란 박트리아어를 사용했다.[1]

토카리스탄의 가장 중요한 도시는 사산조 페르시아과 인도 간 무역의 중심지였던 발흐였다.[1]

토카리스탄 지역은 서기 633년–651년에 무슬림이 페르시아를 정복하기 전까지 3세기 동안 사산의 지배 밖에 있었다.[1] 그 시기 동안, 토카리스탄은 키다라족, 알촌 훈족, 에프탈훈족이나 투르크계 왕조의 지배를 받았다.[1] 아랍 정복 당시 토카리스탄은 토카라 야브구국을 통해 서돌궐의 지배를 받고 있었다.[1]

중세 초기 토카리스탄의 예술

중세 초기 토카리스탄의 예술은 간다라의 불교 미술에서 영향을 받은 수많은 공예품이 존재한다.[13]

서기 5~6세기

수많은 작가들은 딜베르진 테페 또는 발라릭 테페의 인물들이 에프탈의 특징이라고 주장했다.[14] 이러한 맥락에서 대체로 비슷한 옷을 입은 것으로 보이는 중국 투르키스탄의 키질 동굴 인물과 유사점이 그려졌다. 발라릭 테페의 그림은 돌궐이 도착하기 전인 서기 6세기 전반의 에프탈 궁정 생활의 특징이다.[15][16]

서기 7세기

그림에는 칼라이 카피르니간, 카피르 칼라, 아지나 테페의 예를 포함한 "토카리스탄 미술 학파"가 있는데,[19][20] 불교와 불교 미술이 르네상스를 누린 것은 아마도 서돌궐인들(토카라 야브구국)의 후원과 종교적 관용 때문일 것이다.[21]

서기 10~11세기

이슬람 미술은 서기 10세기부터 12세기까지 사만 제국가즈나 왕조와 함께 발전했다.

각주

내용주

  1. 페르시아어로 "장소"를 의미하는 "토카라"와 접미사 -스탄으로 구성됨

참조주

  1. Akasoy, Anna; Burnett, Charles; Yoeli-Tlalim, Ronit (2016년 12월 14일). 《Islam and Tibet – Interactions along the Musk Routes》 (영어). Routledge. 51쪽. ISBN 978-1-351-92605-8. 
  2. Compareti, Matteo. “Some Examples of Central Asian Decorative Elements in Ajanta and Bagh Indian Paintings”: 41–42. 
  3. “Silver bowl, British Museum”. 《The British Museum》 (영어). 
  4. “Silver bowl, British Museum”. 《The British Museum》 (영어). 
  5. Brancaccio, Pia (2010). 《The Buddhist Caves at Aurangabad: Transformations in Art and Religion》. BRILL. 80–82, 305–307 with footnotes쪽. ISBN 978-9004185258. 
  6. 《DK Eyewitness Travel Guide India》. Dorling Kindersley Limited. 2017. 126쪽. ISBN 9780241326244. 
  7. Compareti, Matteo. “Some Examples of Central Asian Decorative Elements in Ajanta and Bagh Indian Paintings”: 40–42. 
  8. Namba Walter, Mariko (October 1998). “Tokharian Buddhism in Kucha: Buddhism of Indo-European Centum Speakers in Chinese Turkestan before the 10th Century C.E.” (PDF). 《Sino-Platonic Papers》 85: 2. 
  9. Diringer, David (1948).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347–348쪽. 
  10. Havret, Henri (1848–1901) Auteur du texte (1895–1902). 《La stèle chrétienne de Si-ngan-fou. 3 / par le P. Henri Havret,... ; avec la collab. du P. Louis Cheikho,... [pour la IIIe partie]》 (영어). 61쪽. 
  11. Kurian, George Thomas; III, James D. Smith (2010).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 Literature》. Scarecrow Press. 251쪽. ISBN 978-0-8108-7283-7. 
  12. Godwin, R. Todd (2018). 《Persian Christians at the Chinese Court: The Xi'an Stele and the Early Medieval Church of the East》. Bloomsbury Publishing. 10쪽. ISBN 978-1-78673-316-0. 
  13. LITVINSKY, BORIS; SOLOV'EV, VIKTOR (1990). “The Architecture and Art of Kafyr Kala (Early Medieval Tokharistan)” (PDF). 《Bulletin of the Asia Institute》 4: 61–75. ISSN 0890-4464. JSTOR 24048351. 
  14. Kurbanov, Aydogdy (2014). “THE HEPHTHALITES: ICONOGRAPHICAL MATERIALS” (PDF). 《Tyragetia》: 317–334. 
  15. "Several murals at Dilberjin date from the 5th to the 7th century.
  16. Frumkin, Grégoire (1970). 《Archaeology in Soviet Central Asia》 (영어). Brill Archive. 116–118쪽. 
  17. Dani, Ahmad Hasan; Litvinsky, B. A. (1996).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 The crossroads of civilizations, A.D. 250 to 750》 (영어). UNESCO. 151쪽. ISBN 978-92-3-103211-0. 
  18. “Les fouilles de la mission archéologique soviéto-afghane sur le site gréco-kushan de Dilberdjin en Bactriane” (PDF). 《Comptes rendus des séances de l'Académie des Inscriptions et Belles-Lettres》: 407–427. 1977.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19. Dani, Ahmad Hasan; Litvinsky, B. A. (January 1996).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 The crossroads of civilizations, A.D. 250 to 750》 (영어). UNESCO. 150쪽. ISBN 978-92-3-103211-0. 
  20. 《UNESCO Collection of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 : Online chapter》. 
  21. Baumer, Christoph (2018년 4월 18일). 《History of Central Asia, The: 4-volume set》 (영어). Bloomsbury Publishing. 203–204쪽. ISBN 978-1-83860-868-2. 
  22. Baumer, Christoph (2018년 4월 18일). 《History of Central Asia, The: 4-volume set》 (영어). Bloomsbury Publishing. 203–204쪽. ISBN 978-1-83860-868-2. 
  23. Litvinskij, B. A. (1981). “Kalai-Kafirnigan Problems in the Religion and Art of Early Mediaeval Tokharistan” (PDF). 《East and West》 31 (1/4): 35–66. ISSN 0012-8376. JSTOR 29756581. 

Strategi Solo vs Squad di Free Fire: Cara Menang Muda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