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만 곡면 이론에서, 정칙 이차 미분 (正則二次微分, 영어 : holomorphic quadratic differential )은 표준 선다발 의 2차 텐서곱의 정칙 단면이다.[ 1]
정의
리만 곡면
Σ Σ -->
{\displaystyle \Sigma }
위의 정칙 이차 미분 은 그 표준 선다발 의 2차 텐서곱의 정칙 단면이다. 즉, 정칙 이차 미분의 공간은 다음과 같은 층 코호몰로지 이다.[ 2] :§4
H
0
-->
(
Σ Σ -->
,
K
Σ Σ -->
⊗ ⊗ -->
2
)
{\displaystyle \operatorname {H} ^{0}(\Sigma ,K_{\Sigma }^{\otimes 2})}
여기서
K
Σ Σ -->
{\displaystyle K_{\Sigma }}
는
Σ Σ -->
{\displaystyle \Sigma }
의 표준 선다발 이다. 즉,
Σ Σ -->
{\displaystyle \Sigma }
의 국소 좌표를
z
{\displaystyle z}
라고 하면, 정칙 이차 미분은 국소적으로
f
(
z
)
d
z
2
{\displaystyle f(z)\,\mathrm {d} z^{2}}
의 꼴이다.
표준 좌표계
리만 곡면
Σ Σ -->
{\displaystyle \Sigma }
위의 정칙 이차 미분
q
(
z
)
=
f
(
z
)
d
z
2
{\displaystyle q(z)=f(z)\;\mathrm {d} z^{2}}
가 주어졌다고 하고, 임의의 점
z
0
∈ ∈ -->
Σ Σ -->
{\displaystyle z_{0}\in \Sigma }
에 대하여
q
|
z
0
≠ ≠ -->
0
{\displaystyle q|_{z_{0}}\neq 0}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z
0
{\displaystyle z_{0}}
의 어떤 (충분히 작은) 근방
U
∋ ∋ -->
z
0
{\displaystyle U\ni z_{0}}
에 다음과 같은 국소 좌표계를 정의할 수 있다.
w
: : -->
U
→ → -->
C
{\displaystyle w\colon U\to \mathbb {C} }
w
: : -->
z
1
↦ ↦ -->
∫ ∫ -->
z
0
z
1
q
=
∫ ∫ -->
z
0
z
1
f
(
z
)
d
z
{\displaystyle w\colon z_{1}\mapsto \int _{z_{0}}^{z_{1}}{\sqrt {q}}=\int _{z_{0}}^{z_{1}}{\sqrt {f(z)}}\,\mathrm {d} z}
이를
q
{\displaystyle q}
로부터 정의되는 표준 좌표계 (瓢樽座標系, 영어 : canonical coordinate )라고 한다.
또한,
{
z
∈ ∈ -->
Σ Σ -->
: : -->
q
|
z
≠ ≠ -->
0
}
{\displaystyle \{z\in \Sigma \colon q|_{z}\neq 0\}}
에서, 리만 계량
|
f
(
z
)
|
d
z
d
z
¯ ¯ -->
=
|
f
(
z
)
|
(
d
x
2
+
d
y
2
)
{\displaystyle |f(z)|\,\mathrm {d} z\,\mathrm {d} {\bar {z}}=|f(z)|\,\left(\mathrm {d} x^{2}+\mathrm {d} y^{2}\right)}
를 정의할 수 있다 (
z
=
x
+
i
y
{\displaystyle z=x+\mathrm {i} y}
). 이 리만 계량 의 리만 곡률 은 0이다.
수직엽과 수평엽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리만 곡면
Σ Σ -->
{\displaystyle \Sigma }
Σ Σ -->
{\displaystyle \Sigma }
의 한 점
z
0
∈ ∈ -->
Σ Σ -->
{\displaystyle z_{0}\in \Sigma }
Σ Σ -->
∖ ∖ -->
{
z
0
}
{\displaystyle \Sigma \setminus \{z_{0}\}}
위의 정칙 이차 미분
q
{\displaystyle q}
. 또한,
q
{\displaystyle q}
가
z
0
{\displaystyle z_{0}}
근처에서
k
{\displaystyle k}
차 극 을 갖는다고 하자. 즉,
q
{\displaystyle q}
는
z
0
{\displaystyle z_{0}}
근처에서 다음과 같은 꼴을 갖는다.
q
(
z
)
∼ ∼ -->
O
(
1
)
(
z
− − -->
z
0
)
k
d
z
2
{\displaystyle q(z)\sim {\frac {O(1)}{(z-z_{0})^{k}}}\mathrm {d} z^{2}}
그렇다면, 만약 어떤 연속 미분 가능 곡선
γ γ -->
: : -->
(
a
,
b
)
→ → -->
Σ Σ -->
{\displaystyle \gamma \colon (a,b)\to \Sigma }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두 조건을 생각하자.
㉠
∀ ∀ -->
t
∈ ∈ -->
(
a
,
b
)
: : -->
q
|
γ γ -->
(
t
)
(
γ γ -->
˙ ˙ -->
(
t
)
,
γ γ -->
˙ ˙ -->
(
t
)
)
∈ ∈ -->
R
+
⊊ ⊊ -->
C
{\displaystyle \forall t\in (a,b)\colon q|_{\gamma (t)}\left({\dot {\gamma }}(t),{\dot {\gamma }}(t)\right)\in \mathbb {R} ^{+}\subsetneq \mathbb {C} }
㉡
∀ ∀ -->
t
∈ ∈ -->
(
a
,
b
)
: : -->
q
|
γ γ -->
(
t
)
(
γ γ -->
˙ ˙ -->
(
t
)
,
γ γ -->
˙ ˙ -->
(
t
)
)
∈ ∈ -->
R
− − -->
⊊ ⊊ -->
C
{\displaystyle \forall t\in (a,b)\colon q|_{\gamma (t)}\left({\dot {\gamma }}(t),{\dot {\gamma }}(t)\right)\in \mathbb {R} ^{-}\subsetneq \mathbb {C} }
이 두 조건은 매개 변수의 재정의
γ γ -->
↦ ↦ -->
γ γ -->
∘ ∘ -->
f
{\displaystyle \gamma \mapsto \gamma \circ f}
에 대하여 (만약
∀ ∀ -->
t
: : -->
f
′
(
t
)
≠ ≠ -->
0
{\displaystyle \forall t\colon f'(t)\neq 0}
라면) 불변이다. 즉, 이들은 단순히
Σ Σ -->
{\displaystyle \Sigma }
의 부분 집합으로 취급할 수 있다. ㉠을 만족시키는 이러한 부분 집합들 가운데, 포함 관계에 대하여 극대 원소 인 것을
q
{\displaystyle q}
의 수평엽 (水平葉, 영어 : horizontal leaf )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을 만족시키는 이러한 부분 집합들 가운데, 포함 관계에 대하여 극대 원소 인 것을
q
{\displaystyle q}
의 수직엽 (垂直葉, 영어 : vertical leaf )이라고 한다.
성질
리만 곡면
Σ Σ -->
{\displaystyle \Sigma }
위의 정칙 이차 미분의 벡터 공간은 그 타이히뮐러 공간 의 공변접공간 과 표준적으로 동형이다.
리만 곡면
Σ Σ -->
{\displaystyle \Sigma }
위의 정칙 이차 미분
q
{\displaystyle q}
의 수직엽들의 족은 리만 곡면
{
z
∈ ∈ -->
Σ Σ -->
: : -->
q
|
z
≠ ≠ -->
0
}
{\displaystyle \{z\in \Sigma \colon q|_{z}\neq 0\}}
의 (실수) 여차원 1의 엽층 을 이루며,
q
{\displaystyle q}
의 수평엽들의 족 역시 마찬가지다.
슈트레벨 미분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종수
g
{\displaystyle g}
의 연결 콤팩트 리만 곡면
Σ Σ -->
{\displaystyle \Sigma }
(
g
≥ ≥ -->
0
{\displaystyle g\geq 0}
).
Σ Σ -->
{\displaystyle \Sigma }
속의 유한 집합
{
z
1
,
… … -->
,
z
n
}
⊆ ⊆ -->
Σ Σ -->
{\displaystyle \{z_{1},\dotsc ,z_{n}\}\subseteq \Sigma }
. 또한,
min
{
0
,
2
− − -->
2
g
}
<
n
{\displaystyle \min\{0,2-2g\}<n}
이다. (즉,
g
=
0
{\displaystyle g=0}
일 때는
n
≥ ≥ -->
3
{\displaystyle n\geq 3}
이며,
g
≥ ≥ -->
1
{\displaystyle g\geq 1}
일 때는
n
≥ ≥ -->
1
{\displaystyle n\geq 1}
이다.)
각
z
i
{\displaystyle z_{i}}
에 대하여, 양의 실수
t
i
∈ ∈ -->
R
+
{\displaystyle t_{i}\in \mathbb {R} ^{+}}
.
그렇다면,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유일한 정칙 이차 미분
q
∈ ∈ -->
Γ Γ -->
(
Σ Σ -->
∖ ∖ -->
{
z
1
,
… … -->
,
z
n
}
,
Sym
2
-->
K
Σ Σ -->
)
{\displaystyle q\in \Gamma (\Sigma \setminus \{z_{1},\dotsc ,z_{n}\},\operatorname {Sym} ^{2}K_{\Sigma })}
이 존재하며, 이를
q
{\displaystyle q}
의 슈트레벨 미분 (Strebel微分, 영어 : Strebel differential )이라고 한다.[ 2] :Theorem 4.2
q
{\displaystyle q}
는 각
z
i
{\displaystyle z_{i}}
근처에서, 국소적으로 다음과 같이 2차 극 을 갖는다.
q
(
z
)
=
O
(
1
)
(
z
− − -->
z
i
)
2
(
d
z
)
2
{\displaystyle q(z)={\frac {O(1)}{(z-z_{i})^{2}}}(\mathrm {d} z)^{2}}
q
{\displaystyle q}
의 수평엽들 가운데, 콤팩트 공간 이 아닌 것들의 합집합 은 르베그 측도 0인 닫힌집합 이다.
q
{\displaystyle q}
의 수평엽들 가운데, 콤팩트 공간 인 것
γ γ -->
⊆ ⊆ -->
M
{\displaystyle \gamma \subseteq M}
은 항상 어떤
z
i
∈ ∈ -->
{
z
1
,
… … -->
,
z
n
}
{\displaystyle z_{i}\in \{z_{1},\dotsc ,z_{n}\}}
을 한 번 휘감는 폐곡선 이며, 또한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여기서, 제곱근의 분지 는 이 적분이 양수가 되게 택한다.)
t
i
=
∮ ∮ -->
γ γ -->
q
{\displaystyle t_{i}=\oint _{\gamma }{\sqrt {q}}}
예
상수 정칙 이차 미분
d
z
2
{\displaystyle \mathrm {d} z^{2}}
의 수평엽(푸른 선)과 수직엽(붉은 선)
비콤팩트 리만 곡면 인 복소평면
C
{\displaystyle \mathbb {C} }
위의 상수 정칙 이차 적분
q
=
d
z
2
{\displaystyle q=\mathrm {d} z^{2}}
을 생각하자. 이는 영점을 갖지 않는다.
이 경우, 수평엽의 조건은
γ γ -->
˙ ˙ -->
2
∈ ∈ -->
R
+
⊊ ⊊ -->
C
{\displaystyle {\dot {\gamma }}^{2}\in \mathbb {R} ^{+}\subsetneq \mathbb {C} }
인 것이다. 즉,
γ γ -->
˙ ˙ -->
∈ ∈ -->
R
∖ ∖ -->
{
0
}
{\displaystyle {\dot {\gamma }}\in \mathbb {R} \setminus \{0\}}
이어야 한다. 이에 따라, 수평엽들은 다음과 같은 수평선들이다.
R
+
i
t
(
t
∈ ∈ -->
R
)
{\displaystyle \mathbb {R} +\mathrm {i} t\qquad (t\in \mathbb {R} )}
마찬가지로, 수직엽의 조건은
γ γ -->
˙ ˙ -->
2
∈ ∈ -->
R
− − -->
⊊ ⊊ -->
C
{\displaystyle {\dot {\gamma }}^{2}\in \mathbb {R} ^{-}\subsetneq \mathbb {C} }
인 것이다. 즉,
γ γ -->
˙ ˙ -->
∈ ∈ -->
i
R
∖ ∖ -->
{
0
}
{\displaystyle {\dot {\gamma }}\in \mathrm {i} \mathbb {R} \setminus \{0\}}
이어야 한다. 이에 따라, 수직엽들은 다음과 같은 수직선들이다.
i
R
+
t
(
t
∈ ∈ -->
R
)
{\displaystyle \mathrm {i} \mathbb {R} +t\qquad (t\in \mathbb {R} )}
이들은 물론 각각 복소평면 의 엽층 을 이룬다.
보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리만 곡면
Σ Σ -->
{\displaystyle \Sigma }
및 임의의
z
∈ ∈ -->
Σ Σ -->
{\displaystyle z\in \Sigma }
및 임의의 정칙 이차 적분
q
{\displaystyle q}
에 대하여, 만약
q
|
z
≠ ≠ -->
0
{\displaystyle q|_{z}\neq 0}
이라면,
z
{\displaystyle z}
의 충분히 작은 근방
U
∋ ∋ -->
z
{\displaystyle U\ni z}
에서
q
↾ ↾ -->
U
{\displaystyle q\upharpoonright U}
는 (표준 좌표계에서) 상수 정칙 이차 미분이 되며, 표준 좌표계에서 수평엽과 수직엽은 위와 같이 (복소구조 로 정의되는 등각 계량 에 대하여) 서로 직교한다.[ 2] :Proposition 4.1
2차 극 근처의 정칙 이차 미분
d
z
2
/
z
2
{\displaystyle \mathrm {d} z^{2}/z^{2}}
의 수평엽(푸른 반직선)과 수직엽(붉은 원)
복소평면 위의 정칙 이차 미분
q
=
d
z
2
z
2
{\displaystyle q={\frac {\mathrm {d} z^{2}}{z^{2}}}}
를 생각하자. 그렇다면, 수평엽의 조건은
γ γ -->
˙ ˙ -->
(
z
)
∈ ∈ -->
z
R
{\displaystyle {\dot {\gamma }}(z)\in z\mathbb {R} }
이므로, 수평엽은 원점에서 시작하는 반직선
t
↦ ↦ -->
t
exp
-->
(
i
θ θ -->
)
(
θ θ -->
∈ ∈ -->
R
)
{\displaystyle t\mapsto t\exp(\mathrm {i} \theta )\qquad (\theta \in \mathbb {R} )}
이다. 마찬가지로, 수직엽의 조건은
γ γ -->
˙ ˙ -->
(
z
)
∈ ∈ -->
i
z
R
{\displaystyle {\dot {\gamma }}(z)\in \mathrm {i} z\mathbb {R} }
이므로, 수직엽은 원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
t
↦ ↦ -->
r
exp
-->
(
i
t
)
(
r
∈ ∈ -->
R
+
)
{\displaystyle t\mapsto r\exp(\mathrm {i} t)\qquad (r\in \mathbb {R} ^{+})}
의 꼴이다.
역사
슈트레벨 미분은 스위스의 수학자 쿠르트 슈트레벨(독일어 : Kurt Strebel , 1921~2013)이 도입하였다.
각주
Tynan, P. (2009). “Explicit examples of Strebel differentials” (영어). arXiv :0910.47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