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 준대수

미분기하학에서 리 준대수(Lie準代數, 영어: Lie algebroid)는 (유한 차원) 실수 리 대수의 일반화이다.[1][2][3][4] 리 대수와 리 준대수 사이의 관계는 리 군리 준군 사이의 관계와 같다.

정의

리 준대수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이는 다음 호환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모든 유한 차원 실수 리 대수한원소 공간 위의 리 준대수이다.

매끄러운 주다발에는 아티야 리 준대수라는 표준적인 리 준대수가 대응된다.

벡터장

매끄러운 다양체 위에서,

(항등 함수)
(리 미분)

를 부여하면, 이는 리 준대수를 이룬다.

보다 일반적으로, 의 적분 가능 부분 다발 (즉, 인 부분 벡터 다발 )은 이 리 준대수의 부분 리 준대수를 이룬다.

아벨 리 준대수

임의의 매끄러운 다양체 위의 임의의 매끄러운 벡터 다발 에 대하여

을 부여한다면, 이는 (자명하게) 리 준대수를 이룬다. 이는 아벨 리 대수의 일반화이다.

푸아송 다양체

푸아송 다양체 가 주어졌다고 하자. 정의에 따라, 항상

인 (2,0)차 반대칭 텐서 를 정의할 수 있다. 이제,

로 놓으면, 이는 리 준대수를 이룬다.

이를 푸아송 리 준대수(영어: Poisson Lie algebroid)라고 한다.

역사

리 준대수의 개념은 1967년에 장 프라딘(프랑스어: Jean Pradines)이 도입하였다.[5]

참고 문헌

  1. Weinstein, Alan (1996). “Groupoids: unifying internal and external symmetry” (PDF). 《Notice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43: 744–752. arXiv:math/9602220. 
  2. Mackenzie, Kirill (1987). 《Lie groupoids and Lie algebroids in differential geometry》 (영어). Cambridge University Press. doi:10.1017/CBO9780511661839. 
  3. Mackenzie, Kirill (2005). 《General theory of Lie groupoids and Lie algebroids》 (영어).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Marle, Charles-Michel (2002). “Differential calculus on a Lie algebroid and Poisson manifolds” (영어). arXiv:0804.2451. 
  5. Pradines, Jean (1967). “Théorie de Lie pour les groupoïdes différentiables. Calcul différentiel dans la catégorie des groupoïdes infinitésimaux”. 《Comptes Rendus de l’Académie des sciences. Série A》 (프랑스어) 264: 245–248. MR 216409. Zbl 0154.21704. 

외부 링크

Strategi Solo vs Squad di Free Fire: Cara Menang Muda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