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수기하학에서 뒤발 특이점(영어: du Val singularity) 또는 클라인 특이점(영어: Kleinian singularity)은 복소 대수 곡면의 특이점의 한 종류다. 이들은 최소분해(영어: minimal resolution)가 존재하며, 이는 ADE형의 딘킨 도표로 분류된다.
역사
영국의 패트릭 뒤발(영어: Patrick du Val)[1]과 독일의 펠릭스 클라인의 이름을 땄다. 뒤발은 1934년에 이 특이점들을 연구하였다.[2][3][4]
분류
뒤발 특이점은 다음과 같은 꼴이다. 여기서 는 복소 변수이며, 이들은 속에 복소 2차원 아핀 대수다양체를 이룬다. 이 대수 곡면들은 에 특이점을 가진다.
An:
Dn: (n≥4)
E6:
E7:
E8:
이들은 를 의 유한 부분군의 작용으로 몫공간을 취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는 )의 부분군들은 이진다면체군(영어: binary polyhedral group)이라고 불리며, 이들에 대한 ADE 분류가 존재한다. (이를 매케이 대응성(영어: McKay correspondence)이라고 한다.[5]) 이에 따라, 뒤발 특이점 또한 ADE로 분류된다. 여기서 "이진"이란 SU(2)=Spin(3)는 SO(3)의 이중피복군이므로, 이진다면체군은 SO(3)의 부분군(다면체군)의 이중피복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이들은 (SO(3)의 부분공간으로서)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표수가 0인 대수적으로 닫힌 체에 대하여, 뒤발 특이점을 갖는 아핀 대수다양체
를 생각하자. 이는 원점 에서 특이점을 갖는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특이점에서 부풀리기를 취할 수 있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여러 번 부풀리기를 취해야만 한다. 부풀리기를 하여 얻은 유리 곡선들은 항상 자기 교차수 −2를 가지며, 이들은 물론 서로 교차수를 갖게 된다. 이 교차수들은 항상 0 또는 1이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은 유한 그래프를 정의할 수 있다.
끈 이론에서는 축소화하는 3차원 복소 다양체에 따라 4차원 물리가 결정된다. 이 3차원 복소 다양체는 오비폴드 꼴의 특이점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국소적으로 뒤발 특이점이다. 뒤발 특이점의 딘킨 도표는 4차원 물리의 화살집 도형과 같다. 이는 D-막이 특이점에 감겨 있기 때문이다. D-막의 배열은 뒤발 특이점의 부풀리기의 꼴과 같다.[6] 이는 프레디 카차소(스페인어: Freddy Alexander Cachazo)와 셸던 카츠(영어: Sheldon Katz), 캄란 바파가 2001년에 발견하였다.[7]
각주
↑O’Connor, John J.; Robertson, Edmund F. (2010년 2월). “Patrick Du Val”. 《MacTutor History of Mathematics Archive》 (영어).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
↑du Val, Patrick (1934년 10월). “On isolated singularities of surfaces which do not affect the conditions of adjunction (Part I)”. 《Mathematical Proceedings of the Cambridge Philosophical Society》 30 (4): 453–459,. doi:10.1017/S030500410001269X. ISSN0305-0041. Zbl0010.17602.
↑du Val, Patrick (1934년 10월). “On isolated singularities of surfaces which do not affect the conditions of adjunction (Part II)”. 《Mathematical Proceedings of the Cambridge Philosophical Society》 30 (4): 460–465. doi:10.1017/S0305004100012706. ISSN0305-0041. Zbl0010.17603.
↑du Val, Patrick (1934년 10월). “On isolated singularities of surfaces which do not affect the conditions of adjunction (Part III)”. 《Mathematical Proceedings of the Cambridge Philosophical Society》 30 (4): 483–491. doi:10.1017/S030500410001272X. ISSN0305-0041. Zbl0010.17701.
↑McKay, John (1980). 〈Graphs, singularities, and finite groups〉. 《Proceedings of 1979 Santa Cruz group theory conference》. AMS Symposia in Pure Mathematics (영어) 37. 183–186쪽. ISBN0-8218-1440-0. MR0604577. Zbl0451.05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