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군
군론 에서 순환군 (循環群, 영어 : cyclic group )은 한 원소로 생성될 수 있는 군 이다. 즉, 순환군의 모든 원소는 어떤 고정된 원소의 거듭제곱이다. (군의 연산이 곱셈이 아닌 덧셈일 경우, 모든 원소는 고정 원소의 정수배이다.)
정의
군 의 원소
g
∈ ∈ -->
G
{\displaystyle g\in G}
가 생성하는 순환군
⟨ ⟨ -->
g
⟩ ⟩ -->
{\displaystyle \langle g\rangle }
은 다음과 같다.
⟨ ⟨ -->
g
⟩ ⟩ -->
=
{
g
n
: : -->
n
∈ ∈ -->
Z
}
=
{
… … -->
,
g
− − -->
2
,
g
− − -->
1
,
1
,
g
,
g
2
,
… … -->
}
≤ ≤ -->
G
{\displaystyle \langle g\rangle =\{g^{n}\colon n\in \mathbb {Z} \}=\{\dots ,g^{-2},g^{-1},1,g,g^{2},\dots \}\leq G}
차수
군
G
{\displaystyle G}
의 차수 (次數, 영어 : order ,ord) 또는 위수 (位數)는 집합으로서의 크기
|
G
|
{\displaystyle |G|}
를 뜻한다.
군의 원소
g
∈ ∈ -->
G
{\displaystyle g\in G}
의 차수
ord
-->
g
{\displaystyle \operatorname {ord} g}
는 그 원소가 생성하는 순환군의 차수이다. 즉, 거듭제곱하여 항등원 이 되는 최소 지수와 같거나, 그러한 지수가 없다면 무한대와 같다.
ord
-->
g
=
|
⟨ ⟨ -->
g
⟩ ⟩ -->
|
=
{
∞ ∞ -->
∄
n
∈ ∈ -->
Z
+
: : -->
g
n
=
1
min
{
n
∈ ∈ -->
Z
+
: : -->
g
n
=
1
}
∃ ∃ -->
n
∈ ∈ -->
Z
+
: : -->
g
n
=
1
∈ ∈ -->
Z
+
∪ ∪ -->
{
∞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ord} g=|\langle g\rangle |={\begin{cases}\infty &\not \exists n\in \mathbb {Z} ^{+}\colon g^{n}=1\\\min\{n\in \mathbb {Z} ^{+}\colon g^{n}=1\}&\exists n\in \mathbb {Z} ^{+}\colon g^{n}=1\end{cases}}\in \mathbb {Z} ^{+}\cup \{\infty \}}
지수
군
G
{\displaystyle G}
의 지수 (指數, 영어 : exponent )
exp
-->
G
{\displaystyle \exp G}
는 모든 원소를 거듭제곱하여 항등원이 되는 최소 지수와 같거나, 그러한 지수가 없다면 무한대와 같다.
exp
-->
G
=
{
∞ ∞ -->
∄
n
∈ ∈ -->
Z
+
∀ ∀ -->
g
∈ ∈ -->
G
: : -->
g
n
=
1
lcm
g
∈ ∈ -->
G
-->
ord
-->
g
=
min
{
n
∈ ∈ -->
Z
+
: : -->
∀ ∀ -->
g
∈ ∈ -->
G
: : -->
g
n
=
1
}
∃ ∃ -->
n
∈ ∈ -->
Z
+
∀ ∀ -->
g
∈ ∈ -->
G
: : -->
g
n
=
1
∈ ∈ -->
Z
+
∪ ∪ -->
{
∞ ∞ -->
}
{\displaystyle \exp G={\begin{cases}\infty &\not \exists n\in \mathbb {Z} ^{+}\forall g\in G\colon g^{n}=1\\\operatorname {lcm} _{g\in G}\operatorname {ord} g=\min\{n\in \mathbb {Z} ^{+}\colon \forall g\in G\colon g^{n}=1\}&\exists n\in \mathbb {Z} ^{+}\forall g\in G\colon g^{n}=1\end{cases}}\in \mathbb {Z} ^{+}\cup \{\infty \}}
분류
순환군은 정수군 또는 그 몫군 과 동형 이다. 무한 순환군은 정수군, 유한 순환군은 정수군의 유한 몫군과 동형이다.
⟨ ⟨ -->
g
⟩ ⟩ -->
≅ ≅ -->
{
Z
ord
-->
g
=
∞ ∞ -->
Z
ord
-->
g
ord
-->
g
<
∞ ∞ -->
{\displaystyle \langle g\rangle \cong {\begin{cases}Z&\operatorname {ord} g=\infty \\Z_{\operatorname {ord} g}&\operatorname {ord} g<\infty \end{cases}}}
성질
약수 관계
군의 유한 차수 원소
g
∈ ∈ -->
G
{\displaystyle g\in G}
및 정수
n
∈ ∈ -->
Z
{\displaystyle n\in \mathbb {Z} }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g
n
=
1
{\displaystyle g^{n}=1}
ord
-->
g
∣ ∣ -->
n
{\displaystyle \operatorname {ord} g\mid n}
(⇐)
ord
-->
g
∣ ∣ -->
n
{\displaystyle \operatorname {ord} g\mid n}
이라면,
n
=
n
′
ord
-->
g
{\displaystyle n=n'\operatorname {ord} g}
인
n
′
∈ ∈ -->
Z
{\displaystyle n'\in \mathbb {Z} }
가 존재하므로,
g
n
=
(
g
ord
-->
g
)
n
′
=
1
n
′
=
1
{\displaystyle g^{n}=(g^{\operatorname {ord} g})^{n'}=1^{n'}=1}
이다.
(⇒)
g
n
=
1
{\displaystyle g^{n}=1}
이라면,
n
{\displaystyle n}
과
ord
-->
g
{\displaystyle \operatorname {ord} g}
의 나머지 있는 나눗셈을
n
=
q
ord
-->
g
+
r
{\displaystyle n=q\operatorname {ord} g+r}
라고 하면,
g
r
=
g
n
g
− − -->
ord
-->
g
=
1
{\displaystyle g^{r}=g^{n}g^{-\operatorname {ord} g}=1}
이므로, 차수의 정의에 따라
r
=
0
{\displaystyle r=0}
이다. 즉,
ord
-->
g
∣ ∣ -->
n
{\displaystyle \operatorname {ord} g\mid n}
이다.
지수가 유한한 군
G
{\displaystyle G}
및 정수
n
∈ ∈ -->
Z
{\displaystyle n\in \mathbb {Z} }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임의의
g
∈ ∈ -->
G
{\displaystyle g\in \mathbb {G} }
에 대하여,
g
n
=
1
{\displaystyle g^{n}=1}
exp
-->
G
∣ ∣ -->
n
{\displaystyle \exp G\mid n}
(⇐)
exp
-->
G
∣ ∣ -->
n
{\displaystyle \exp G\mid n}
이라면,
n
=
n
′
exp
-->
G
{\displaystyle n=n'\exp G}
인
n
′
∈ ∈ -->
Z
{\displaystyle n'\in \mathbb {Z} }
가 존재하므로, 임의의
g
∈ ∈ -->
G
{\displaystyle g\in G}
에 대하여,
g
n
=
(
g
exp
-->
G
)
n
′
=
1
n
′
=
1
{\displaystyle g^{n}=(g^{\exp G})^{n'}=1^{n'}=1}
이다.
(⇒) 임의의
g
∈ ∈ -->
G
{\displaystyle g\in G}
에 대하여
g
n
=
1
{\displaystyle g^{n}=1}
이라면, 임의의
g
∈ ∈ -->
G
{\displaystyle g\in G}
에 대하여
ord
-->
g
∣ ∣ -->
n
{\displaystyle \operatorname {ord} g\mid n}
이므로, 지수의 정의에 따라
exp
-->
G
∣ ∣ -->
n
{\displaystyle \exp G\mid n}
이다.
유한군
G
{\displaystyle G}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약수 관계가 성립한다.
ord
-->
g
∣ ∣ -->
exp
-->
G
∣ ∣ -->
|
G
|
{\displaystyle \operatorname {ord} g\mid \exp G\mid |G|}
군의 유한 차수 원소
g
∈ ∈ -->
G
{\displaystyle g\in G}
및 정규 부분군
N
◃ ◃ -->
G
{\displaystyle N\triangleleft G}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약수 관계가 성립한다.
ord
-->
(
g
N
)
∣ ∣ -->
ord
-->
g
{\displaystyle \operatorname {ord} (gN)\mid \operatorname {ord} g}
(
g
N
)
ord
-->
g
=
g
ord
-->
g
N
=
N
{\displaystyle (gN)^{\operatorname {ord} g}=g^{\operatorname {ord} g}N=N}
항등식
군의 유한 차수 원소
g
∈ ∈ -->
G
{\displaystyle g\in G}
및 정수
n
∈ ∈ -->
Z
{\displaystyle n\in \mathbb {Z} }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항등식이 성립한다.
ord
-->
g
n
=
ord
-->
g
gcd
{
ord
-->
g
,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ord} g^{n}={\frac {\operatorname {ord} g}{\gcd\{\operatorname {ord} g,n\}}}}
다음 두 가지를 보이는 것으로 족하다.
ord
-->
g
n
∣ ∣ -->
ord
-->
g
gcd
{
ord
-->
g
,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ord} g^{n}\mid {\frac {\operatorname {ord} g}{\gcd\{\operatorname {ord} g,n\}}}}
증명:
(
g
n
)
ord
-->
g
gcd
{
ord
-->
g
,
n
}
=
(
g
ord
-->
g
)
n
gcd
{
ord
-->
g
,
n
}
=
1
n
gcd
{
ord
-->
g
,
n
}
=
1
{\displaystyle (g^{n})^{\frac {\operatorname {ord} g}{\gcd\{\operatorname {ord} g,n\}}}=(g^{\operatorname {ord} g})^{\frac {n}{\gcd\{\operatorname {ord} g,n\}}}=1^{\frac {n}{\gcd\{\operatorname {ord} g,n\}}}=1}
ord
-->
g
gcd
{
ord
-->
g
,
n
}
∣ ∣ -->
ord
-->
g
n
{\displaystyle {\frac {\operatorname {ord} g}{\gcd\{\operatorname {ord} g,n\}}}\mid \operatorname {ord} g^{n}}
증명:
1
=
(
g
n
)
ord
-->
g
n
=
g
n
ord
-->
g
n
{\displaystyle 1=(g^{n})^{\operatorname {ord} g^{n}}=g^{n\operatorname {ord} g^{n}}}
이므로,
ord
-->
g
∣ ∣ -->
n
ord
-->
g
n
{\displaystyle \operatorname {ord} g\mid n\operatorname {ord} g^{n}}
이므로,
ord
-->
g
gcd
{
ord
-->
g
,
n
}
∣ ∣ -->
n
gcd
{
ord
-->
g
,
n
}
ord
-->
g
n
{\displaystyle {\frac {\operatorname {ord} g}{\gcd\{\operatorname {ord} g,n\}}}\mid {\frac {n}{\gcd\{\operatorname {ord} g,n\}}}\operatorname {ord} g^{n}}
이므로,
ord
-->
g
gcd
{
ord
-->
g
,
n
}
∣ ∣ -->
ord
-->
g
n
{\displaystyle {\frac {\operatorname {ord} g}{\gcd\{\operatorname {ord} g,n\}}}\mid \operatorname {ord} g^{n}}
군의 원소
g
,
h
∈ ∈ -->
G
{\displaystyle g,h\in G}
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g
h
=
h
g
{\displaystyle gh=hg}
gcd
{
ord
-->
g
,
ord
-->
h
}
=
1
{\displaystyle \gcd\{\operatorname {ord} g,\operatorname {ord} h\}=1}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항등식이 성립한다.
ord
-->
(
g
h
)
=
ord
-->
g
ord
-->
h
{\displaystyle \operatorname {ord} (gh)=\operatorname {ord} g\operatorname {ord} h}
반대로, 군의 원소
x
∈ ∈ -->
G
{\displaystyle x\in G}
의 차수를 다음과 같은 꼴로 나타낼 수 있다고 하자.
ord
-->
x
=
m
n
(
gcd
{
m
,
n
}
=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ord} x=mn\qquad (\gcd\{m,n\}=1)}
그렇다면,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g
,
h
∈ ∈ -->
G
{\displaystyle g,h\in G}
가 존재한다.
x
=
g
h
=
h
g
{\displaystyle x=gh=hg}
ord
-->
g
=
m
{\displaystyle \operatorname {ord} g=m}
ord
-->
h
=
n
{\displaystyle \operatorname {ord} h=n}
유한 아벨 군
G
{\displaystyle G}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g
∈ ∈ -->
G
{\displaystyle g\in G}
가 존재한다.
임의의
h
∈ ∈ -->
G
{\displaystyle h\in G}
에 대하여,
ord
-->
h
∣ ∣ -->
ord
-->
g
{\displaystyle \operatorname {ord} h\mid \operatorname {ord} g}
즉, 다음이 성립한다.
max
g
∈ ∈ -->
G
ord
-->
g
=
exp
-->
G
{\displaystyle \max _{g\in G}\operatorname {ord} g=\exp G}
순환군
모든 순환군은 유한 생성 아벨 군 이다.
군
G
{\displaystyle G}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
G
|
{\displaystyle |G|}
는 소수 이다.
G
{\displaystyle G}
는 순환 단순군 이다.
G
{\displaystyle G}
는 아벨 단순군이다.
소수 크기의 군 ⇒ 순환 단순군:
|
G
|
{\displaystyle |G|}
가 소수라면, 라그랑주 정리 에 따라, 그 부분군은
{
1
G
}
,
G
{\displaystyle \{1_{G}\},G}
밖에 없으므로,
G
{\displaystyle G}
는 단순군이다.
1
G
≠ ≠ -->
g
∈ ∈ -->
G
{\displaystyle 1_{G}\neq g\in G}
를 취하자. 그렇다면,
|
⟨ ⟨ -->
g
⟩ ⟩ -->
|
=
p
{\displaystyle |\langle g\rangle |=p}
이므로,
⟨ ⟨ -->
g
⟩ ⟩ -->
=
G
{\displaystyle \langle g\rangle =G}
이다. 즉,
G
{\displaystyle G}
는 순환군이다.
순환 단순군 ⇒ 아벨 단순군: 모든 순환군은 아벨 군이므로 성립한다.
아벨 단순군 ⇒ 소수 크기의 군:
|
G
|
{\displaystyle |G|}
가 소수가 아니라고 가정하자.
G
{\displaystyle G}
가 순환군인 경우, 자명하지 않은 (정규) 부분군이 존재하므로,
G
{\displaystyle G}
는 단순군이 아니며, 이는 모순이다.
G
{\displaystyle G}
가 순환군이 아닌 경우, 임의의
1
G
≠ ≠ -->
g
∈ ∈ -->
G
{\displaystyle 1_{G}\neq g\in G}
를 취하자. 그렇다면,
⟨ ⟨ -->
g
⟩ ⟩ -->
◃ ◃ -->
G
{\displaystyle \langle g\rangle \triangleleft G}
이며,
⟨ ⟨ -->
g
⟩ ⟩ -->
≠ ≠ -->
1
,
G
{\displaystyle \langle g\rangle \neq 1,G}
이므로,
G
{\displaystyle G}
는 단순군이 아니며, 이 역시 모순이다.
순환군의 부분군 역시 순환군이다. 구체적으로,
⟨ ⟨ -->
g
⟩ ⟩ -->
{\displaystyle \langle g\rangle }
의 부분군은 다음과 같은 꼴로 나타낼 수 있다.
⟨ ⟨ -->
g
n
⟩ ⟩ -->
{
n
∈ ∈ -->
Z
ord
-->
g
=
∞ ∞ -->
n
∣ ∣ -->
ord
-->
g
ord
-->
g
<
∞ ∞ -->
{\displaystyle \langle g^{n}\rangle \qquad {\begin{cases}n\in \mathbb {Z} &\operatorname {ord} g=\infty \\n\mid \operatorname {ord} g&\operatorname {ord} g<\infty \end{cases}}}
순환군의 몫군 역시 순환군이다.
유한군
G
{\displaystyle G}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G
{\displaystyle G}
는 순환군이다.
임의의,
|
G
|
{\displaystyle |G|}
의 양의 약수
d
{\displaystyle d}
에 대하여,
{
H
≤ ≤ -->
G
: : -->
|
H
|
=
d
}
≤ ≤ -->
1
{\displaystyle \{H\leq G\colon |H|=d\}\leq 1}
이다.
임의의
m
∈ ∈ -->
Z
+
{\displaystyle m\in \mathbb {Z} ^{+}}
에 대하여,
|
{
x
∈ ∈ -->
G
: : -->
x
m
=
1
}
|
≤ ≤ -->
m
{\displaystyle |\{x\in G\colon x^{m}=1\}|\leq m}
이다.
(1) ⇒ (2): 순환군
⟨ ⟨ -->
g
⟩ ⟩ -->
{\displaystyle \langle g\rangle }
의, 크기
d
{\displaystyle d}
의 부분군은
⟨ ⟨ -->
g
ord
-->
g
d
⟩ ⟩ -->
{\displaystyle \langle g^{\frac {\operatorname {ord} g}{d}}\rangle }
가 유일하다.
(1) ⇐ (2): 임의의
0
<
d
∣ ∣ -->
|
G
|
{\displaystyle 0<d\mid |G|}
에 대하여,
|
{
g
∈ ∈ -->
G
: : -->
ord
-->
g
=
d
}
|
=
ϕ ϕ -->
(
d
)
>
0
{\displaystyle |\{g\in G\colon \operatorname {ord} g=d\}|=\phi (d)>0}
임을 증명하자. (여기서
ϕ ϕ -->
{\displaystyle \phi }
는 오일러 피 함수 이다.) 그렇다면, 특히
ord
-->
g
=
|
G
|
{\displaystyle \operatorname {ord} g=|G|}
인
g
∈ ∈ -->
G
{\displaystyle g\in G}
가 존재하므로,
G
{\displaystyle G}
는 순환군이다.
증명:
ord
-->
g
=
ord
-->
h
=
d
{\displaystyle \operatorname {ord} g=\operatorname {ord} h=d}
인
g
,
h
∈ ∈ -->
G
{\displaystyle g,h\in G}
를 취하자. 그렇다면, (2)에 의하여
⟨ ⟨ -->
g
⟩ ⟩ -->
=
⟨ ⟨ -->
h
⟩ ⟩ -->
{\displaystyle \langle g\rangle =\langle h\rangle }
이므로,
h
=
g
n
{\displaystyle h=g^{n}}
인
n
∈ ∈ -->
Z
{\displaystyle n\in \mathbb {Z} }
가 존재한다. 차수 공식을 사용하면
gcd
{
n
,
d
}
=
1
{\displaystyle \gcd\{n,d\}=1}
를 얻는다. 즉, 구하려는 수는 0이거나
ϕ ϕ -->
(
d
)
{\displaystyle \phi (d)}
이다. 또한,
n
=
∑ ∑ -->
d
∣ ∣ -->
|
G
|
ϕ ϕ -->
(
d
)
{\displaystyle n=\sum _{d\mid |G|}\phi (d)}
이므로, 구하려는 수는
ϕ ϕ -->
(
d
)
{\displaystyle \phi (d)}
이다.
(1) ⇔ (3): : 쉴로브 정리 를 사용하여 증명할 수 있다.
순환군
Z
m
,
Z
n
{\displaystyle Z_{m},Z_{n}}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Z
m
⊕ ⊕ -->
Z
n
≅ ≅ -->
Z
m
n
{\displaystyle Z_{m}\oplus Z_{n}\cong Z_{mn}}
gcd
{
m
,
n
}
=
1
{\displaystyle \gcd\{m,n\}=1}
(⇐)
ord
-->
(
1
⊕ ⊕ -->
1
)
=
ord
-->
(
1
⊕ ⊕ -->
0
)
ord
-->
(
0
⊕ ⊕ -->
1
)
=
m
n
{\displaystyle \operatorname {ord} (1\oplus 1)=\operatorname {ord} (1\oplus 0)\operatorname {ord} (0\oplus 1)=mn}
(⇒) 만약
gcd
{
m
,
n
}
≠ ≠ -->
1
{\displaystyle \gcd\{m,n\}\neq 1}
이라면,
|
{
a
⊕ ⊕ -->
b
∈ ∈ -->
Z
m
⊕ ⊕ -->
Z
n
: : -->
(
a
⊕ ⊕ -->
b
)
m
n
gcd
{
m
,
n
}
=
1
}
|
=
|
Z
m
⊕ ⊕ -->
Z
n
|
=
m
n
>
m
n
gcd
{
m
,
n
}
{\displaystyle |\{a\oplus b\in Z_{m}\oplus Z_{n}\colon (a\oplus b)^{\frac {mn}{\gcd\{m,n\}}}=1\}|=|Z_{m}\oplus Z_{n}|=mn>{\frac {mn}{\gcd\{m,n\}}}}
이므로,
Z
m
⊕ ⊕ -->
Z
n
≇
Z
m
n
{\displaystyle Z_{m}\oplus Z_{n}\not \cong Z_{mn}}
이다.
코시 정리 에 따르면, 임의의 소인수
p
∣ ∣ -->
|
G
|
{\displaystyle p\mid |G|}
에 대하여,
ord
-->
g
p
=
p
{\displaystyle \operatorname {ord} g_{p}=p}
인
g
p
∈ ∈ -->
G
{\displaystyle g_{p}\in G}
가 존재한다.
응용
유한 아벨 군의 분해
유한 아벨 군의 분해에 응용되는 한 가지 핵심적인 보조정리는 다음과 같다.
G
{\displaystyle G}
가 아벨 유한 p-군 ,
a
∈ ∈ -->
G
{\displaystyle a\in G}
가 그 최대 차수 원소라고 하자. 그렇다면,
G
=
⟨ ⟨ -->
a
⟩ ⟩ -->
× × -->
B
{\displaystyle G=\langle a\rangle \times B}
인
B
≤ ≤ -->
G
{\displaystyle B\leq G}
가 존재한다.
귀류법 을 사용하여,
G
{\displaystyle G}
가 최소 크기 반례라고 하자. 그렇다면,
|
G
|
≥ ≥ -->
2
{\displaystyle |G|\geq 2}
이며,
G
≠ ≠ -->
⟨ ⟨ -->
a
⟩ ⟩ -->
{\displaystyle G\neq \langle a\rangle }
이므로, 최소 차수 원소
b
∈ ∈ -->
G
∖ ∖ -->
⟨ ⟨ -->
a
⟩ ⟩ -->
{\displaystyle b\in G\setminus \langle a\rangle }
를 취할 수 있다. 이제 다음과 같은 일련의 명제를 증명하기만 하면 된다.
ord
-->
b
=
p
{\displaystyle \operatorname {ord} b=p}
증명: 그렇지 않다면,
ord
-->
b
=
p
e
{\displaystyle \operatorname {ord} b=p^{e}}
(
e
≥ ≥ -->
2
{\displaystyle e\geq 2}
)이며,
ord
-->
b
p
=
p
e
− − -->
1
{\displaystyle \operatorname {ord} b^{p}=p^{e-1}}
이므로,
b
p
∈ ∈ -->
⟨ ⟨ -->
a
⟩ ⟩ -->
{\displaystyle b^{p}\in \langle a\rangle }
이다.
b
p
=
a
n
{\displaystyle b^{p}=a^{n}}
(
n
∈ ∈ -->
Z
{\displaystyle n\in \mathbb {Z} }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ord
-->
a
gcd
{
ord
-->
a
,
n
}
=
ord
-->
b
p
<
ord
-->
b
≤ ≤ -->
ord
-->
a
{\displaystyle {\frac {\operatorname {ord} a}{\gcd\{\operatorname {ord} a,n\}}}=\operatorname {ord} b^{p}<\operatorname {ord} b\leq \operatorname {ord} a}
이므로,
p
∣ ∣ -->
n
{\displaystyle p\mid n}
이다. 따라서,
(
b
a
− − -->
n
p
)
p
=
1
G
{\displaystyle (ba^{-{\frac {n}{p}}})^{p}=1_{G}}
이며,
b
a
− − -->
n
p
∈ ∈ -->
G
∖ ∖ -->
⟨ ⟨ -->
a
⟩ ⟩ -->
{\displaystyle ba^{-{\frac {n}{p}}}\in G\setminus \langle a\rangle }
인데, 이는
b
{\displaystyle b}
의 선택과 모순이다.
⟨ ⟨ -->
a
⟩ ⟩ -->
∩ ∩ -->
⟨ ⟨ -->
b
⟩ ⟩ -->
=
1
{\displaystyle \langle a\rangle \cap \langle b\rangle =1}
증명:
1
G
≠ ≠ -->
a
m
=
b
n
∈ ∈ -->
⟨ ⟨ -->
a
⟩ ⟩ -->
∩ ∩ -->
⟨ ⟨ -->
b
⟩ ⟩ -->
{\displaystyle 1_{G}\neq a^{m}=b^{n}\in \langle a\rangle \cap \langle b\rangle }
(
0
≤ ≤ -->
n
<
p
{\displaystyle 0\leq n<p}
)라고 하자. 그렇다면,
1
=
n
u
+
p
v
{\displaystyle 1=nu+pv}
인
u
,
v
∈ ∈ -->
Z
{\displaystyle u,v\in \mathbb {Z} }
가 존재하며,
b
=
b
n
u
b
p
v
=
a
m
u
∈ ∈ -->
⟨ ⟨ -->
a
⟩ ⟩ -->
{\displaystyle b=b^{nu}b^{pv}=a^{mu}\in \langle a\rangle }
이다. 이는 모순이다.
a
⟨ ⟨ -->
b
⟩ ⟩ -->
∈ ∈ -->
G
/
⟨ ⟨ -->
b
⟩ ⟩ -->
{\displaystyle a\langle b\rangle \in G/\langle b\rangle }
은 최대 차수 원소이다.
증명: 우선
ord
-->
(
a
⟨ ⟨ -->
b
⟩ ⟩ -->
)
∣ ∣ -->
ord
-->
a
{\displaystyle \operatorname {ord} (a\langle b\rangle )\mid \operatorname {ord} a}
이다.
ord
-->
(
a
⟨ ⟨ -->
b
⟩ ⟩ -->
)
<
ord
-->
a
{\displaystyle \operatorname {ord} (a\langle b\rangle )<\operatorname {ord} a}
라고 가정하면,
(
a
⟨ ⟨ -->
b
⟩ ⟩ -->
)
ord
-->
a
p
=
1
{\displaystyle (a\langle b\rangle )^{\frac {\operatorname {ord} a}{p}}=1}
이므로,
a
ord
-->
a
p
∈ ∈ -->
⟨ ⟨ -->
a
⟩ ⟩ -->
∩ ∩ -->
⟨ ⟨ -->
b
⟩ ⟩ -->
=
1
{\displaystyle a^{\frac {\operatorname {ord} a}{p}}\in \langle a\rangle \cap \langle b\rangle =1}
이다. 이는 모순이다. 따라서
ord
-->
(
a
⟨ ⟨ -->
b
⟩ ⟩ -->
)
=
ord
-->
a
{\displaystyle \operatorname {ord} (a\langle b\rangle )=\operatorname {ord} a}
이며,
a
⟨ ⟨ -->
b
⟩ ⟩ -->
∈ ∈ -->
G
/
⟨ ⟨ -->
b
⟩ ⟩ -->
{\displaystyle a\langle b\rangle \in G/\langle b\rangle }
은 최대 차수 원소이다.
G
/
⟨ ⟨ -->
b
⟩ ⟩ -->
=
⟨ ⟨ -->
a
⟨ ⟨ -->
b
⟩ ⟩ -->
⟩ ⟩ -->
× × -->
(
B
/
⟨ ⟨ -->
b
⟩ ⟩ -->
)
{\displaystyle G/\langle b\rangle =\langle a\langle b\rangle \rangle \times (B/\langle b\rangle )}
인
⟨ ⟨ -->
b
⟩ ⟩ -->
⊆ ⊆ -->
B
≤ ≤ -->
G
/
⟨ ⟨ -->
b
⟩ ⟩ -->
{\displaystyle \langle b\rangle \subseteq B\leq G/\langle b\rangle }
가 존재한다.
증명:
|
G
/
⟨ ⟨ -->
b
⟩ ⟩ -->
|
=
|
G
|
/
p
<
|
G
|
{\displaystyle |G/\langle b\rangle |=|G|/p<|G|}
G
=
⟨ ⟨ -->
a
⟩ ⟩ -->
× × -->
B
{\displaystyle G=\langle a\rangle \times B}
증명: 우선,
G
/
⟨ ⟨ -->
b
⟩ ⟩ -->
=
⟨ ⟨ -->
a
⟨ ⟨ -->
b
⟩ ⟩ -->
⟩ ⟩ -->
× × -->
(
B
/
⟨ ⟨ -->
b
⟩ ⟩ -->
)
=
(
⟨ ⟨ -->
a
⟩ ⟩ -->
/
⟨ ⟨ -->
b
⟩ ⟩ -->
)
× × -->
(
B
/
⟨ ⟨ -->
b
⟩ ⟩ -->
)
=
(
⟨ ⟨ -->
a
⟩ ⟩ -->
B
)
/
⟨ ⟨ -->
b
⟩ ⟩ -->
{\displaystyle G/\langle b\rangle =\langle a\langle b\rangle \rangle \times (B/\langle b\rangle )=(\langle a\rangle /\langle b\rangle )\times (B/\langle b\rangle )=(\langle a\rangle B)/\langle b\rangle }
이므로,
G
=
⟨ ⟨ -->
a
⟩ ⟩ -->
B
{\displaystyle G=\langle a\rangle B}
이다. 또한,
(
⟨ ⟨ -->
a
⟩ ⟩ -->
∩ ∩ -->
B
)
/
⟨ ⟨ -->
b
⟩ ⟩ -->
⊆ ⊆ -->
(
⟨ ⟨ -->
a
⟩ ⟩ -->
/
⟨ ⟨ -->
b
⟩ ⟩ -->
)
∩ ∩ -->
(
B
/
⟨ ⟨ -->
b
⟩ ⟩ -->
)
=
{
⟨ ⟨ -->
b
⟩ ⟩ -->
}
{\displaystyle (\langle a\rangle \cap B)/\langle b\rangle \subseteq (\langle a\rangle /\langle b\rangle )\cap (B/\langle b\rangle )=\{\langle b\rangle \}}
이므로,
⟨ ⟨ -->
a
⟩ ⟩ -->
∩ ∩ -->
B
⊆ ⊆ -->
⟨ ⟨ -->
a
⟩ ⟩ -->
∩ ∩ -->
⟨ ⟨ -->
b
⟩ ⟩ -->
=
1
{\displaystyle \langle a\rangle \cap B\subseteq \langle a\rangle \cap \langle b\rangle =1}
이며,
G
=
⟨ ⟨ -->
a
⟩ ⟩ -->
× × -->
B
{\displaystyle G=\langle a\rangle \times B}
이다.
같이 보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