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관기(判官記, 히브리어: ספר שופטים, 그리스어: Κριτές, 영어: Book of Judges) 또는 사사기(士師記)는 원래 히브리어로 쓴 성경이며, 히브리어 성경(타나크, 유대교 성경)과 기독교 구약성경에 나타난다. 그 제목과 내용에 따르면, 판관기는 성경의 판관(현대의 재판관과 혼동되지 않기 위한 표현)과 그들이 고대 이스라엘을 통솔하는 동안의 역사를 기록한 책이다. 판관기는 공동번역성서와 천주교 성경의 표기로 표준새번역, 개역개정판, 한글개역판에서는 사사기로 표기되어 있다.
판관은 오늘날의 재판관처럼 재판하는 일을 했는데, 판관기에서 언급하는 마지막 판관은 삼손이며, 뒤이은 두 이야기가 더 있기는 하지만, 전통적인 관점은 삼손의 업적과 사무엘상 1:1부터 7:2에 나오는 대제사장이자 판관인 엘리의 바로 앞 시기와 완전히 일치한다.
판관기는 이스라엘이 약속된 땅에 들어가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러나 가나안족속을 몰아내지 않고 통혼하며, 심지어 야훼 대신 이방신들을 섬기기 시작한다.[1] 판관기 1장 1절에서 2장 5절까지는 이처럼 이스라엘 민족의 실패를 다룬다.
판관기는 여호수아기 바로 뒤에 배치되어, 여호수아의 죽음으로 시작된다. 이는 여호수아의 죽음이 이스라엘 민족의 역사에서 하나의 시대를 구분하는 지표로 사용되었다는 것에 대한 반증으로 해석된다.[2]
이후 3장 6절까지 판관 시기의 이스라엘 민족의 역사에 반복되는 양상을 간추려 설명하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3]
이 책에 등장하는 판관들은 대판관(major)과 소판관(minor)로 분류된다. 여섯 명의 대판관은 이스라엘 민족을 타 민족의 억압으로부터 해방시킨다.[4] 판관들이 성경에 등장하는 순서는 오드니엘, 에훗, 드보라, 기드온, 입다, 삼손인데, 이것이 연대순이 아니라는 주장도 있다.[5]
이에 비해 소판관은 그 내용이 대판관만큼 구체적으로 서술되어있지 않은 판관들을 말하는데, 그 등장 순서는 삼갈, 돌라, 야이르, 입산, 엘론, 압돈이다.[6] 일부 학자들은 대판관이 이스라엘의 실질적 지도자였으며, 소판관들은 재판만을 담당하는 사람이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7] 반면 실제로 판관기에서 판결을 내린 기록이 있는 판관은 4장 4절에서 드보라가 유일하다.[8]
아래 두 명은 사무엘기의 등장인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