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아님#미래이지만, 저는 유지를 원합니다.-IPhone VS iPad (토론) 2010년 6월 12일 (토) 22:01 (KST)답변
백:아님#미래-감종국 (토론) 2010년 6월 19일 (토) 08:26 (KST)답변
대통령령이나 국토해양부에 의하면 동해고속도로의 시점은 부산이 맞으며, 노선번호도 같습니다. 하지만 그쪽 중간이 끊어져있으며, 울산~포항/삼척~동해/양양~속초 구간은 착공되었는지 꽤 되었지만 포항~삼척 구간은 착공한 것 맞습니까? 영일만대교 건설이 불투명해 착공이 아직 불투명한것 같은데요(참고로 이는 착공을 할까말까이며, 이유는 제 7번국도와 송라/ 강구 일원에 집/펜션/나무/ 계곡/산 등 건물들과 공원들, 편의시설들이 토지를 차지하고 있으니까 마땅한 토지가 정해질때에 착공을 할것 같은데요. 심지어 제 7번국도가 고성군구간을 제외한 나머지구간이 확장공사가 되는 듯(?) 혹 편읠 위해(?) 왕복 4차선이상으로 도로가 포장되어있는데다 시속60~80km/h인데다가 동해안국도(동해대로)라는 이름으로 기능을 대신해주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이 때문에 구상중에 있다는겁니다. 또한 사람들이 부산울산고속도로(미래 부산포항고속도로)와 동해고속도로를 별개의 도로로 인식학 있으며 심지어는 평택제천선(미래 Y자 형식으로 되어 출입구번호가 #16번이 될 제천 분기점에서 지/본선 다 이어서 가며, 신설될 지선(제천~동해간 선)의 경우 동쪽방향으로 마지막 출입구가 위치하는 곳이 동해시가 될 것이며, 만일 출입구번호가 #31이라면 동해고속도로와 직결할 것 같습니다. 그렇게 되면 미래에는 망상IC구간은 Y자 형식으로 개방될 것이며, 또한 과거문서에서 '부산울산고속도로와 전혀 관계없다' 라는 것을 봤습니다. 보는데로 제 토론란에 글을 남겨주십시오. Have a wonderful day <3-141.223.10.54 (토론) 2010년 7월 17일 (토) 13:05 (KST)답변
과거판을 보실경우, 부산울산고속도로와 동해고속도로는 전혀 관계없는 노선이라고 밝힌 바가 있습니다. 이말은 곧 부울선과 동해선은 대통령령 역시 별개로 취급하고 있는겁니다. (이건 국해부에서도 마찬가지이며, 노선 하나로 취급되는 중앙선과 대구부산선, 중부선과 통영대전선과는 전혀 다른 입장입니다.) 위키백과는 미래를 예측하는 공간이 아니며, 이 이유 때문에 산척삼척~ 포항 구간은 타당성 조사 중이므로 분할이 옳다 생각됩니다. 만일 제말이 틀렸고 부울과 동해선이 한노선이라면 반대표를 던져주시고, 제말이 옳다면 찬성표던져주세요.
또한 부산울산고속도로가 아니라 부산포항고속도로가 맞습니다. 이에 대한것도 찬성과 반대표를 던져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만 감사합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욕하자 (토론) 2011년 4월 12일 (화) 23:18 (KST)답변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동해고속도로에서 3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8년 7월 22일 (일) 01:41 (KST)답변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8년 8월 28일 (화) 15:01 (KST)답변
동해고속도로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2년 10월 22일 (토) 21:53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