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비산경》(중국어 간체자: 周髀算经, 정체자: 周髀算經, 병음: Zhōubí Suànjīng 저우비쏸징[*])은 고대 중국의 천문·수학서이다.
제목 《주비산경》에서 주(周)는 주나라를 뜻한다. 비(髀)는 원래 넓적다리를 뜻하며, 여기서는 해시계의 지시침을 뜻한다.
《주비산경》의 실제 집필 시기는 불분명하지만, 하권 1부는 《여씨춘추》(기원전 3세기 집필)를 인용하므로 적어도 이 문단은 전국시대 이후에 집필된 것을 알 수 있다. 대체로 한나라(기원전 2세기~기원후 3세기) 때에 현재의 형태로 집대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유휘(3세기) · 조긍지(祖𣈶之, 6세기) · 이순풍(李淳風, 7세기) · 양휘(13세기) 등이 《주비산경》에 주석을 달았으며, 조상(중국어 간체자: 赵爽, 정체자: 趙爽, 병음: Zhào Shuǎng 자오솽[*])이 서문 및 삽화를 추가하였다.
《주비산경》은 주로 수학과 천문학을 다룬다.
《주비산경》은 상권(上卷)과 하권(下卷)으로 구성되며, 각각 3부로 나뉘어 있다.
《주비산경》 상권 1부에는 다음과 같은 세계관이 묘사되어 있다.
하권 1부에는 다음과 같은 세계관이 묘사되어 있다.
《주비산경》에는 피타고라스의 정리의 간단한 증명이 등장한다.
《주비산경》 상권 1부에는 다음과 같이 3·4·5 직각 삼각형이 등장한다.
故折矩,以為句廣三,股修四,徑隅五。
상권 2부에는 다음과 같이 피타고라스의 정리가 등장한다.
태양까지의 길이를 계산하려면, 먼저 태양의 지면에 사영된 곳까지의 (수평) 거리를 구(句), 태양에서 지면까지의 (수직) 거리를 고(為)라고 하자. 이들을 각각 제곱한 뒤, 합한 뒤, 제곱근을 취하면 태양까지의 길이를 얻는다. 若求邪至日者,以日下為句,日高為股,句股各自乘,并而開方除之,得邪至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