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경정의(五經正義)는 중국 당(唐) 태종(太宗)의 칙으로 공영달(孔潁達) 등이 편찬한 5경의 소(疏)이다. 태종 정관(貞観) 연간에 편찬을 시작해 고종(高宗) 영휘(永徽) 연간(650년~653년)에 완성되었다. 총 180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유교의 경전을 연구하는 경학(經學)에서 한(漢), 위(魏)의 시대가 본문인 「경」(經)에 대한 「주」(注)의 시대였다면, 남북조 시대(南北朝時代)는 그 「주」에 대한「의소」(義疏)의 학문이 성행했던 시대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남조와 북조에서 각각 지지하는 설이 달라 의견이 분분했다. 태종은 유교의 성대함을 과시하고 나아가 남북의 여러 학설을 통일하겠다는 의도를 품고 공영달로 대표되는 많은 유학자들을 동원하여 「오경의훈」(五経義訓, 훗날의 정의正義)를 짓게 했다. 유교의 근본적 경서인 역경(易經), 시경(詩經), 서경(書經), 예기(禮記), 춘추(春秋) 등 5경의 해석을 중심으로 해서 한(漢) 이래의 고전 해석학을 집대성한 것으로서, 남북조의 여러 학설을 통일한다는 본래 의도에서 그치지 않고 결과적으로는 옛 남조(南朝) 지역의 남인(南人)들이 받들던 주・소를 많이 채용하였다.
《오경정의》는 5경의 해석을 통일하기 위한 것으로 한대 이래 훈고학(訓誥學)의 총결산이라고 할 만한 것이었으나, 과거(科擧)에 응시하는 여러 학생들이 이를 암기하는 데에 매달리게 되고, 《오경정의》 이외의 다른 주와 의소는 잊혀지면서 결과적으로는 당대 경학이 정체되고 학문의 고정화를 불러왔다는 문제점이 있다.
《오경정의》에서 대상으로 하는 주와 저본은 다음과 같다.
《오경정의》는 송대(宋代)에는 경주(経注)와 합각하여 《십삼경주소》(十三経注疏)에 수록하였다. 한국에는 이 십삼경주소의 하나로써 전통문화연구회에서 나온 각 정의의 번역본이 있으며, 2014년까지 《상서정의》가 번역되어 출간되었다(《주역정의》는 1987년에 아세아문화사에서 이정호가 번역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