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안 김씨(禮安金氏)는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을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예안의 고호가 선성인 관계로 선성 김씨(宣城金氏)라고도 한다.
시조 김상(金尙)은 신라 대보공 김알지의 후손으로 고려 때 호장(戶長)을 지냈다.
2세 김존성(金存誠)·3세 김돈부(金敦富)·4세 김희보(金希寶)까지 예안의 호장을 지냈고, 5세 김성세(金成世)는 봉익대부 밀직사, 6세 김뉴(金紐)는 중현대부 대호군, 7세 김방식(金方軾)은 봉선대부 비순위정용호군을 지냈다.
8세 보승낭장 김로(金輅)를 중시조(中始祖)로 하여 계대(系代)한다. 중시조 김로(金輅)는 손자 김담(金淡)이 귀하게 되어 가선대부 호조참판에 증직되었다. 그의 아들 4형제 김소양, 김숙양, 김중양, 김의양이 가계를 크게 번성시켰다.[1] 김로(金輅)의 아들 김소량(金少良)은 현감을 지내고, 김소량(金少良)의 아들 김증(金潧)은 문과에 급제하여 금산군수를 지냈다.
김로(金輅)의 손자이자 김소량(金少良)의 아들 김담(金淡)은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판서에 이르고 문절공(文節公)의 시호가 내려졌으며 서원에 배향되었다. 김담(金淡)의 현손 김륵(金玏)도 문과에 급제하여 대사헌(大司憲)에 이르고 서원에 배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