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유한군
수학 에서 사유한군 (射有限群, 영어 : profinite group )은 유한군 의 사영 극한 으로 얻어지는 위상군 이다.
정의
위상군
G
{\displaystyle G}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 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위상군을 사유한군 이라고 한다.[ 1] :5, Proposition 1.1.3
위상군
G
{\displaystyle G}
가 하우스도르프 공간 이며, 콤팩트 공간 이며, 완전 분리 공간 이라고 하자. 임의의 열린 근방
O
∋ ∋ -->
1
{\displaystyle O\ni 1}
에 대하여,
H
⊆ ⊆ -->
O
{\displaystyle H\subseteq O}
인 열린 부분군
H
{\displaystyle H}
를 찾으면 충분하다. 하우스도르프 콤팩트 완전 분리 공간 의 작은 귀납적 차원 은 0이므로,
G
{\displaystyle G}
는 열린닫힌집합 들로 구성된 기저 를 가지며,
1
∈ ∈ -->
U
⊆ ⊆ -->
O
{\displaystyle 1\in U\subseteq O}
인 열린닫힌집합
U
{\displaystyle U}
가 존재한다. 이제,
H
=
{
g
∈ ∈ -->
G
: : -->
U
g
=
U
}
{\displaystyle H=\{g\in G\colon Ug=U\}}
라고 하자. 자명하게
H
⊆ ⊆ -->
U
{\displaystyle H\subseteq U}
이며
H
≤ ≤ -->
G
{\displaystyle H\leq G}
이므로,
H
{\displaystyle H}
가 열린집합 임을 보이면 충분하다.
H
=
V
∩ ∩ -->
V
− − -->
1
{\displaystyle H=V\cap V^{-1}}
V
=
{
g
∈ ∈ -->
G
: : -->
U
g
⊆ ⊆ -->
U
}
{\displaystyle V=\{g\in G\colon Ug\subseteq U\}}
이므로,
V
{\displaystyle V}
가 열린집합 임을 보이면 충분하다.
V
{\displaystyle V}
의 정의에 따라, 임의의
u
∈ ∈ -->
U
{\displaystyle u\in U}
및
v
∈ ∈ -->
V
{\displaystyle v\in V}
에 대하여,
u
v
∈ ∈ -->
U
{\displaystyle uv\in U}
이므로,
U
u
v
V
u
v
⊆ ⊆ -->
U
{\displaystyle U_{uv}V_{uv}\subseteq U}
인 열린 근방
U
u
v
∋ ∋ -->
u
{\displaystyle U_{uv}\ni u}
및
V
u
v
∋ ∋ -->
v
{\displaystyle V_{uv}\ni v}
가 존재한다.
{
U
u
v
: : -->
u
∈ ∈ -->
U
}
{\displaystyle \{U_{uv}\colon u\in U\}}
는
U
{\displaystyle U}
의
X
{\displaystyle X}
에서의 열린 덮개 이며,
U
{\displaystyle U}
는 콤팩트 공간 의 닫힌집합 이므로 콤팩트 공간이다. 따라서, 유한 부분 덮개
{
U
u
1
v
,
… … -->
,
U
u
n
v
v
}
{\displaystyle \{U_{u_{1}v},\dots ,U_{u_{n_{v}}v}\}}
가 존재한다. 그렇다면,
V
v
=
V
u
1
v
∩ ∩ -->
⋯ ⋯ -->
∩ ∩ -->
V
u
n
v
v
{\displaystyle V_{v}=V_{u_{1}v}\cap \cdots \cap V_{u_{n_{v}}v}}
는 열린집합 이며,
v
∈ ∈ -->
V
v
⊆ ⊆ -->
V
{\displaystyle v\in V_{v}\subseteq V}
이다. 즉,
V
{\displaystyle V}
는 열린집합 이다.
N
{\displaystyle {\mathcal {N}}}
이
G
{\displaystyle G}
의 열린 정규 부분군들의 집합이라고 하자. 가정에 따라,
N
{\displaystyle {\mathcal {N}}}
은 1의 국소 기저 이다. 임의의
N
∈ ∈ -->
N
{\displaystyle N\in {\mathcal {N}}}
에 대하여, 몫군
G
/
N
{\displaystyle G/N}
은 몫위상 을 주었을 때 위상군 을 이룬다.
G
/
N
{\displaystyle G/N}
은 콤팩트 공간 의 연속적 상이므로 콤팩트 공간이며,
N
∈ ∈ -->
G
/
N
{\displaystyle N\in G/N}
의 원상
N
⊆ ⊆ -->
G
{\displaystyle N\subseteq G}
가 열린집합 이므로 이산 공간 이다. 특히,
G
/
N
{\displaystyle G/N}
은 유한군이다. 또한,
N
{\displaystyle {\mathcal {N}}}
은 (포함 관계에 대하여) 하향 원순서 집합 을 이루므로, 표준적인 전사 연속 군 준동형
ϕ ϕ -->
N
N
′
: : -->
G
/
N
′
→ → -->
G
/
N
(
N
′
⊆ ⊆ -->
N
)
{\displaystyle \phi _{NN'}\colon G/N'\to G/N\qquad (N'\subseteq N)}
들을 사용하여 사영 극한
lim
← ← -->
N
∈ ∈ -->
N
-->
G
/
N
{\displaystyle \varprojlim _{N\in {\mathcal {N}}}G/N}
을 정의할 수 있다.
이제, 표준적인 전사 연속 군 준동형
ϕ ϕ -->
N
: : -->
G
→ → -->
G
/
N
{\displaystyle \phi _{N}\colon G\to G/N}
을 생각하자. 사영 극한 의 보편 성질 에 따라, 연속 군 준동형
ϕ ϕ -->
: : -->
G
→ → -->
lim
← ← -->
N
∈ ∈ -->
N
-->
G
/
N
{\displaystyle \phi \colon G\to \varprojlim _{N\in {\mathcal {N}}}G/N}
π π -->
N
∘ ∘ -->
ϕ ϕ -->
=
ϕ ϕ -->
N
∀ ∀ -->
N
∈ ∈ -->
N
{\displaystyle \pi _{N}\circ \phi =\phi _{N}\qquad \forall N\in {\mathcal {N}}}
이 존재한다.
ϕ ϕ -->
{\displaystyle \phi }
가 위상군의 동형 임을 보이면 충분하다. 그런데
G
{\displaystyle G}
와
lim
← ← -->
N
∈ ∈ -->
N
-->
G
/
N
{\displaystyle \varprojlim _{N\in {\mathcal {N}}}G/N}
모두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이므로,
ϕ ϕ -->
{\displaystyle \phi }
가 전단사 함수 임을 보이면 충분하다.
ϕ ϕ -->
{\displaystyle \phi }
는 단사 함수
ker
-->
ϕ ϕ -->
=
⋂ ⋂ -->
N
∈ ∈ -->
N
N
{\displaystyle \ker \phi =\bigcap _{N\in {\mathcal {N}}}N}
이다.
N
{\displaystyle {\mathcal {N}}}
이 1의 국소 기저 이며,
G
{\displaystyle G}
가 하우스도르프 공간 이므로,
ker
-->
ϕ ϕ -->
=
{
1
}
{\displaystyle \ker \phi =\{1\}}
이다.
ϕ ϕ -->
{\displaystyle \phi }
는 전사 함수
임의의
x
=
(
x
N
)
N
∈ ∈ -->
N
∈ ∈ -->
lim
← ← -->
N
∈ ∈ -->
N
-->
G
/
N
{\displaystyle x=(x_{N})_{N\in {\mathcal {N}}}\in \varprojlim _{N\in {\mathcal {N}}}G/N}
에 대하여,
ϕ ϕ -->
− − -->
1
(
x
)
=
⋂ ⋂ -->
N
∈ ∈ -->
N
ϕ ϕ -->
N
− − -->
1
(
x
N
)
{\displaystyle \phi ^{-1}(x)=\bigcap _{N\in {\mathcal {N}}}\phi _{N}^{-1}(x_{N})}
이다. 모든
ϕ ϕ -->
N
− − -->
1
(
x
N
)
{\displaystyle \phi _{N}^{-1}(x_{N})}
은 콤팩트 공간
G
{\displaystyle G}
의 닫힌집합 이다. 임의의 유한 집합
{
N
1
,
… … -->
,
N
n
}
⊆ ⊆ -->
N
{\displaystyle \{N_{1},\dots ,N_{n}\}\subseteq {\mathcal {N}}}
에 대하여,
N
=
N
1
∩ ∩ -->
⋯ ⋯ -->
∩ ∩ -->
N
n
{\displaystyle N=N_{1}\cap \cdots \cap N_{n}}
이며
x
N
=
ϕ ϕ -->
N
(
g
)
{\displaystyle x_{N}=\phi _{N}(g)}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임의의
i
=
1
,
… … -->
,
n
{\displaystyle i=1,\dots ,n}
에 대하여,
ϕ ϕ -->
N
i
(
g
)
=
ϕ ϕ -->
N
i
N
(
ϕ ϕ -->
N
(
g
)
)
=
ϕ ϕ -->
N
i
N
(
x
N
)
=
x
N
i
{\displaystyle \phi _{N_{i}}(g)=\phi _{N_{i}N}(\phi _{N}(g))=\phi _{N_{i}N}(x_{N})=x_{N_{i}}}
이다. 즉,
ϕ ϕ -->
N
1
− − -->
1
(
x
N
1
)
∩ ∩ -->
⋯ ⋯ -->
∩ ∩ -->
ϕ ϕ -->
N
n
− − -->
1
(
x
N
n
)
≠ ≠ -->
∅ ∅ -->
{\displaystyle \phi _{N_{1}}^{-1}(x_{N_{1}})\cap \cdots \cap \phi _{N_{n}}^{-1}(x_{N_{n}})\neq \varnothing }
이며,
ϕ ϕ -->
N
− − -->
1
(
x
N
)
{\displaystyle \phi _{N}^{-1}(x_{N})}
들은 유한 교집합 성질 을 만족시킨다. 따라서,
ϕ ϕ -->
− − -->
1
(
x
)
≠ ≠ -->
∅ ∅ -->
{\displaystyle \phi ^{-1}(x)\neq \varnothing }
이다.
성질
다음 성질들이 성립한다.
(무한할 수도 있는 개수의) 사유한군들의 (곱위상 이 주어진) 직접곱 은 사유한군이다. 사유한군의 닫힌 부분군은 사유한군이다.
사유한군의 부분군이 열린집합 일 필요충분조건 은 이 부분군이 유한 지표 의 닫힌집합 이라는 것이다.
사유한 완비화
임의의 군
G
{\displaystyle G}
의 사유한 완비화 (射有限完備化, 영어 : profinite completion )
G
^ ^ -->
{\displaystyle {\widehat {G}}}
는 다음과 같다.
G
^ ^ -->
=
lim
← ← -->
N
⊲ ⊲ -->
G
[
G
:
N
]
<
ℵ ℵ -->
0
-->
G
/
N
{\displaystyle {\widehat {G}}=\varprojlim _{\scriptstyle N\vartriangleleft G \atop \scriptstyle [G:N]<\aleph _{0}}G/N}
즉,
G
{\displaystyle G}
의 모든 유한 지표 정규 부분군
N
{\displaystyle N}
에 대한 몫군 들의 사영 극한 이다.
G
^ ^ -->
{\displaystyle {\widehat {G}}}
는 자연스럽게 사유한군을 이룬다. 또한, 자연스러운 군 준동형
G
→ → -->
G
^ ^ -->
{\displaystyle G\to {\widehat {G}}}
가 존재하며, 이 준동형의 상 은
G
^ ^ -->
{\displaystyle {\widehat {G}}}
의 조밀 집합 이다. 일반적으로 이는 단사 사상 이 아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유한 완비화 연산은 멱등 이 아니다. 즉,
G
^ ^ -->
^ ^ -->
≇
G
^ ^ -->
{\displaystyle {\widehat {\widehat {G}}}\not \cong {\widehat {G}}}
일 수 있다.
사유한 완비화는 사유한군의 범주
Grp
^ ^ -->
{\displaystyle {\widehat {\operatorname {Grp} }}}
와 군 의 범주
Grp
{\displaystyle \operatorname {Grp} }
사이의 망각 함자
F
: : -->
Grp
^ ^ -->
→ → -->
Grp
{\displaystyle F\colon {\widehat {\operatorname {Grp} }}\to \operatorname {Grp} }
의 왼쪽 수반 함자
G
^ ^ -->
: : -->
Grp
→ → -->
Grp
^ ^ -->
{\displaystyle {\widehat {\phantom {G}}}\colon \operatorname {Grp} \to {\widehat {\operatorname {Grp} }}}
G
^ ^ -->
⊢ ⊢ -->
F
{\displaystyle {\widehat {\phantom {G}}}\vdash F}
를 이룬다.[ 2] :345
예
모든 이산 유한군 은 사유한군이다.
p진 정수
Z
p
{\displaystyle \mathbb {Z} _{p}}
는 사유한군을 이룬다. 이는 순환군
Z
/
p
n
{\displaystyle \mathbb {Z} /p^{n}}
들의 사영 극한 으로 정의된다. 정수 군
Z
{\displaystyle \mathbb {Z} }
의 사유한 완비화는 모든 p진 정수 군의 직접곱 과 동형 이다.
Z
^ ^ -->
=
lim
← ← -->
n
∈ ∈ -->
N
-->
Z
/
n
Z
≅ ≅ -->
∏ ∏ -->
p
Z
p
{\displaystyle {\widehat {\mathbb {Z} }}=\varprojlim _{n\in \mathbb {N} }\mathbb {Z} /n\mathbb {Z} \cong \prod _{p}\mathbb {Z} _{p}}
사유한군은 갈루아 이론 에서 등장한다. 구체적으로, 갈루아 확대
L
/
K
{\displaystyle L/K}
가 주어지면
K
{\displaystyle K}
를 고정시키는 체 자기 동형 사상 들의 군
Gal
-->
(
L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Gal} (L/K)}
는 사유한군이다. 이는 유한 갈루아 확대
F
/
K
{\displaystyle F/K}
들의 사영 극한 이다. 모든 사유한군은 갈루아 확대의 갈루아 군과 동형이다.[ 3]
대수기하학 의 에탈 기본군 은 사유한군이다. (그러나 대수적 위상수학 의 기본군 들은 일반적으로 사유한군이 아니다.)
참고 문헌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