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嬪)은 조선, 중국, 베트남 등 동아시아 왕실 후궁에서 쓰인 품계 중 하나이다. 고대 중국 주 왕실의 관직과 직책을 다룬 『주례(周禮)』에 '천자는 1후, 3부인, 9빈, 27세부, 81어처, 121여인을 취할 수 있다(一后(嫡妻), 三夫人, 九嬪, 二十七世婦, 八十一御妻, 凡一百二十一人)'는 문구에서 처음 문헌에 등장하였다.
내명부(內命婦)의 품계 중 하나로, 국왕의 정1품 후궁의 위호(位號)이다. 후궁 중 으뜸인 작위이지만 역시 왕의 처인 왕비보다는 낮은 품계였다.
또한 세자빈과는 다른 품계이며, 세자빈은 무품이었다.
이들의 신위를 칠궁이라 한다.
문효세자는 조선왕조의 세자 중 가장 어린 나이(5세)에 훙서하여 보위에 오르지 못했다.
독고가라가 사망 한 후, 수 문제는 후궁의 위호를 늘리고, 빈을 9명으로 늘렸다. 수 양제가 황위를 계승한 후, 후궁을 늘리는데 충실히 했고, 그 중 9빈은 순의(順儀), 순용(順容), 순화(順華), 수의(修儀), 수용(修容), 수화(修華), 충의(充儀), 충용(充容), 충화(充華)이며, 품계는 2번째이다.
일본 헤이안 시대 전기에 빈은 천황빈어의 위계 중 하나로, 4등급 중 최하위 등급으로, 정원은 4명이었으나, 후기에 이르러 빈을 지칭하는 뇨고라는 말이 점차 독립되어 빈의 위호를 대신하게 되면서 빈의 위호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베트남 응우옌 왕조 때, 빈은 후궁의 한 휘호로서, 후궁의 3등급인 삼계빈(三階嬪, 베트남어: Tam Giai Tân)과 4등급인 사계빈(四階嬪, 베트남어: Tứ Giai Tân), 오계빈(五階嬪, 베트남어: Ngũ Giai Tân)의 3개 등급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