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목록은 언제든 바뀔 수 있는 주제로, 내용이 완벽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만약 사실과 다른 내용이 있거나 빠진 내용이 있다면 직접 편집해 주세요.
미승인 국가(未承認國家)란 지정학적으로 실질적인 독립국가이나 기존의 국가에게 주권국가로 외교적 승인을 받지 못한 국가(정체)를 의미한다. 외교적 승인은 각국의 정치적 이해와 결부된 문제이기 때문에 미승인 국가로 여겨지는 나라들도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외교적 승인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은 나라들을 아래 목록에 나열하였다.
1949년중화민국으로부터 독립, 건국한 중화인민공화국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상임이사국임에도 불구하고, 2024년 기준으로 11개 유엔 회원국들과 옵서버인 바티칸 시국에게 승인받지 못한 상태이다. 유엔 총회 결의 제2758호는 중화인민공화국을 유엔에서 '중국'의 유일한 대표로 인정하고 있다. 하나의 중국 정책의 영향으로 어떤 국가도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을 동시에 승인할 수는 없다. 부탄은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 어느 쪽도 승인하지 않은 유일한 유엔 회원국이다.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SADR)과 모로코 모두 서사하라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1976년 독립을 선언한 후 총 83개 유엔 회원국과 아프리카 연합의 승인을 받았다. 후에 일부 국가는 승인을 취소하거나 보류하였다.[22] 현재 서사하라는 유엔 비자치 지역 목록으로 분류되었다.
1912년난징 시를 수도로 세워진 중화민국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발발한 국공 내전 중에 중국 공산당이 세운 중화인민공화국에게 영토의 대부분을 빼앗기고 동중국해의 몇 가지 도서 지방만으로 영역이 축소되었다. 유엔은 창립 시부터 전승국이었던 중화민국을 '중국'의 정식 대표로로 승인하였으나, 유엔 총회 결의 제2758호 이후부터는 중화인민공화국을 '중국'의 대표로 인정하고 있으며, 중화민국의 주권에 대한 사항까지도 법적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의 것으로 간주하게 되었다. 다만 개별 회원국들은 중화민국의 승인에 관해 다양한 입장을 가지고 있다.[26] 국가별 관계의 경우 영국, 소련, 프랑스, 인도 등은 2758호 결의 이전에 번복하였고, 미국, 일본, 대한민국 등 결의 이후에 번복한 국가들도 있다. 따라서 2024년 현재 11개 유엔 회원국과 바티칸 시국만이 중화민국과 정식 수교를 유지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중화민국의 독립적인 지위를 인정하지 않으며, 중화민국이 보유한 권리 일체를 자국의 권리라고 주장한다.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PLO)는 1988년에 알제리에서 팔레스타인의 독립을 선언하였다. 현재 이스라엘과의 오슬로 협정에 따라 1994년에 수립된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PNA)를 통해 제한적인 자치권을 행사하게 되었다. 결국 영토 상당 부분의 지배권을 확보하게 되었다. 꽤 많은 나라가 팔레스타인을 승인했으나, 제각기 세부적인 표현은 애매하게 설정된 상황이다. 2005년에는 117개 국가[29], 2010년에는 130개 국가[30] 가 팔레스타인을 승인했다고 판단된다. 명확하게 "독립"을 승인한 나라는 아랍 연맹과 이슬람 회의 기구 가맹국이 대부분이다. 현재 팔레스타인은 유엔에 참관국(observer) 자격으로 참여하고 있다.
라오스 왕국: 일본 제국이 라오스 지역에 세운 괴뢰국. 제2차 세계대전 중 일본이 라오스 국경을 넘자 미얀마로 가는 길을 터주고 사이좋게 이 지역을 이중으로 수탈하던 비시 프랑스 정부의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총독부는 1944년 비시 프랑스가 몰락하자 자유 프랑스 쪽에 갈아타려는 움직임을 보였고, 이에 불안감을 느낀 일본이 쿠데타를 일으켰다. 1945년 3월 프랑스 총독부를 폐지시키고 행정권까지 장악한 후 프랑스인들을 인도차이나 반도에서 몰아낸 다음 각 지역의 명목상 군주들을 수반으로 한 괴뢰국을 세웠다.
[[파일:{{{국기그림-1943}}}|22x20px|border |미얀마|링크=미얀마]]버마국: 일본 제국이 미얀마 지역에 세운 괴뢰국.
노보로시야 연방국: 2014년 우크라이나로부터 독립을 선포한 도네츠크주와 루한스크주 일대 지역이 모여 결성한 미승인국이다. 하지만 도네츠크와 루간스크가 자치권을 보장받고 우크라이나에 재통합한다는 2차 민스크 휴전 협정이 체결된 후 2015년 5월 20일 노보로시야 측은 계획을 중단하기로 밝혔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크라이나 정부에서 휴전의 조건을 이행하지 않아, 노보로시야의 구성국인 도네츠크 인민공화국과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은 여전히 독립된 미승인 국가로 남아 있었다.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캄보디아에 있던 국가였다. 친중 성향이던 민주 캄푸치아가 베트남의 공격으로 무너진 후 수립되었으며 친소, 친베트남 외교노선으로 인해 중화인민공화국이 끝까지 합법 정부로 인정하지 않았다. 그러나 거의 대부분의 서방국들은 캄푸치아 인민 공화국을 합법 정부로 인정했다. 이후 1993년에 캄보디아 왕국으로 바뀌었으며 사회주의와의 인연도 끊었다.
↑Stojanovic, Srdjan (2003년 9월 23일). “OCHA Situation Report”. Center for International Disaster Information. 2007년 10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2월 28일에 확인함.
↑“Kosovo”(PDF). 2008년 2월 16일에 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6월 25일에 확인함.
↑Kurz, Anat N. (2005) Fatah and the Politics of Violence: the institutionalisation of a popular Struggle. Brighton: Sussex Academic Press ISBN1-84519-032-7, ISBN978-1-84519-032-3p.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