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티외 군
군론에서 마티외 군(Mathieu群, 영어: Mathieu group) , , , , 는 각각 11개·12개·22개·23개·24개의 원소들 위의 대칭군의 부분군으로 나타낼 수 있는 5개의 산재군이다.
정의
마티외 군 , , , , 는 5개의 유한 단순군이다. 는 각각 대칭군 의 부분군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작도할 수 있다.
슈타이너 계를 통한 정의
유한체 위의 아핀 평면 에서, 2개의 직선은 유일한 점을 결정하므로, 이는 슈타이너 계 를 이룬다. 유한체 위의 아핀 평면은 슈타이너 계 를 이루며, 이 슈타이너 계는 유일하다. 에 점들을 추가하여, , , 를 만들 수 있다. 이들 역시 동형에 대하여 유일하다.
슈타이너 계 의 자기 동형군은 대칭군 의 부분군이며, 이는 와 같다. 즉, 마티외 군 크기 12의 집합 에 작용하며, 이 작용은 5-정추이적(영어: sharply 5-transitive)이다. 따라서, 에 대하여, 점들의 -튜플에 대한 안정자군은 튜플의 선택에 관계없이 서로 동형이다. 이로서 6개의 군
을 정의할 수 있으며, 마지막 군 은 자명군이다.
슈타이너 계 역시 유일하며, 이를 비트 디자인(영어: Witt design)이라고 한다. 이 슈타이너 계의 자기 동형군은 마티외 군 와 동형이며, 의 크기 24의 집합 위의 작용은 5-추이적(영어: transitive)이지만 5-정추이적이지 않다. 위와 마찬가지로, 1~5개의 점들에 대한 안정자군을 취하여, 6개의 군
을 정의할 수 있다. 작용이 정추이적이지 않으므로, 마지막 군 는 자명군이 아니다.
이 군들 가운데, 오직 , , , , , 만이 단순군이고, 이 가운데 은 예외적인 동형으로 인하여 산재군이 아니다.
순열군으로서의 표현
체 위의 사영 특수선형군 는 위의 사영 직선 위의 분수선형변환(뫼비우스 변환)들의 군과 같다.
M12
크기 144×660의 마티외 군 는 크기 660의 사영 특수선형군 을 부분군으로 가지며, 이는 극대 부분군이다. 를 사영 직선 위의 순열군으로 나타내자. 그렇다면, 에 속하는 임의의 한 원소만을 제시하면, 이로부터 가 생성된다. 이러한 원소의 예로는 다음이 있다.
- (0123456789A)
- (1A)(25)(37)(48)(69)
- (26A7)(3945)
여기서
이다.
M24
크기가 40320×6072인 군 는 크기가 6072인 부분군 을 가지며, 이는 극대 부분군이다. 따라서, 마찬가지로 에 속하는 임의의 원소를 제시하면 가 완전히 결정된다. 이러한 원소의 예로는 다음이 있다.
- (0123456789ABCDEFGHIJKLM)
- (0∞)(1M)(2B)(3F)(4H)(59)(6J)(7D)(8K)(AG)(CL)(EI)
- (2G968)(3CDI4)(7HABM)(EJLKF)
여기서
이다.
이진 골레 부호로의 작도
이진 골레 부호는 24차원 벡터 공간 의 특별한 12차원 부분 공간이다. 이진 골레 부호의 자기 동형군은 마티외 군 와 동형이다.
이진 골레 부호는 12비트의 정보를 24비트의 부호에 저장한다. 12개의 비트 1로 구성된 부호(영어: dodecad)의 안정자군은 마티외 군 와 동형이다.
성질
마티외 군들의 크기와 성질은 다음과 같다.
군
|
크기
|
성질
|
M24
|
48·20·21·22·23·24
|
5-추이군, 단순군
|
M23
|
48·20·21·22·23
|
4-추이군, 단순군
|
M22
|
48·20·21·22
|
3-추이군, 단순군
|
M21 = PSL3(𝔽4)
|
48·20·21
|
2-추이군, 단순군
|
M20
|
48·20
|
단순군이 아님
|
M19
|
48
|
단순군이 아님
|
M12
|
8·9·10·11·12
|
5-정추이군, 단순군
|
M11
|
8·9·10·11
|
4-정추이군, 단순군
|
M10
|
8·9·10
|
3-정추이군. 단순군이 아님
|
M9 = PSU3(𝔽4/𝔽2)
|
8·9
|
2-정추이군. 단순군이 아님
|
M8 = Q8
|
8
|
사원수군. 1-정추이군. 단순군이 아님
|
M7 = 1
|
1
|
자명군
|
마티외 군 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꼴의 행렬군이다.[1]:4
다중 추이군
임의의 유한군 에 대하여, 순환군 은 항상 -정추이군(영어: sharply -transitive group)이며, 교대군 역시 -정추이군이다.
- 모든 6-추이군은 순환군이나 교대군이다.
- 순환군이나 교대군이 아닌 유한군 가운데, 5-추이군인 것은 와 밖에 없으며, 이 가운데 만이 5-정추이군이다.
- 순환군이나 교대군이 아닌 유한군 가운데, 4-추이군이지만 5-추이군이 아닌 것은 과 밖에 없으며, 이 가운데 만이 4-정추이군이다.
역사
프랑스의 수학자 에밀 마티외(영어: Émile Mathieu)가 1861년 논문[2]에서 [2]:271와 [2]:274를 최초로 언급하였고, 이후 1873년에 이들 두 군에 대한 추가 성질들을 제시하였다.[3]
그러나 마티외가 제시한 두 군이 실재하는지, 이들이 교대군과 동형이 아닌지는 이후 수십 년 동안 논란의 대상이었다. 1898년에 미국의 수학자 조지 에이브럼 밀러(영어: George Abram Miller, 1863~1951)는 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증명"을 발표하였으나,[4] 이후 1900년에 자신이 "증명"이 오류였음을 시인하였다.[5]
1938년에 에른스트 비트(독일어: Ernst Witt)가 마티외 군들을 슈타이너 계의 자기 동형군으로 나타내었고, 마티외 군에 대한 논란을 종식시켰다.[6][7]
마티외 군들은 산재군들 가운데 최초로 발견된 것이었으며, 1965년에 얀코 군 이 발견되기 이전에 알려진 유일하게 알려진 산재군이었다.
각주
외부 링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