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당뉴스는 2005년 5월, 이필완 목사[1]가 창간한 대한민국의 기독교 감리교 기반의 인터넷신문이다. [2][3] 2010년 공상은퇴를 한 이필완 목사에 이어, 심자득 목사가 발행 및 편집을 맡고 있다.[4]
목요기도회 이필완 목사는 동대문교회 서기종 목사와 같은 교회내의 여전도사와의 간통사건으로 인한 재판내용[5][6]과 이에 대한 교단의 적극적 치리를 요구하며 수차례에 걸쳐 인터넷 게시판 및 감리교 자유게시판의 글쓰기를 통해서 '회개하라, 책임져라, 물러나라', `동대문교회 공금으로 변호사비용을 댔다', `뻔뻔스러운 목사를 추종하는 악한 무리' 등을 올린 혐의[7][8]로 동대문교회 21인의 장로들에 의해 명예훼손혐의로 고소당하였다.[9][10] 동대문교회 서기종 목사는 간통죄로 대법원에서 10개월 형의 유죄확정을 받았지만, 동대문교회 장로 21인과의 4년여에 걸친 법적소송 끝에 이필완 목사는 대법원에서 서목사에 대한 명예훼손은 무죄로 확정되었지만, 일부 모욕죄가 인정되어 벌금형 100만원을 최종선고 받았다.[11] 또한, 이필완 목사는 금란교회 김홍도 목사의 아들 김정민 부목사 세습과 목사의 교회재산 사유화에 대해 비판해왔는데, 김홍도 목사의 20여년의 오랜 심복이였던 유한규 장로와의 인터뷰를 통해 김홍도 목사의 공금 횡령, 비리, 부패 등에 대해 최초 연재하였다. 2006년 4월 대법원은 금란교회 김홍도 목사에 대해 30억원대의 횡령·배임죄를 인정해 징역 2년6개월, 집행유예 3년, 벌금 750만원을 선고하며 유죄를 확정하였는데, 김홍도 목사가 횡령과 배임 혐의에 대해 유죄확정을 받을 수 있었던 결정적 배경에는 김홍도 목사의 심복이였던 유 장로가 용기를 내 내부고발자로서 김 목사를 고발했기 때문이다. 당당뉴스 운영자인 이필완 목사는 “유 장로가 내부에서 김 목사 퇴진 등 개혁운동을 하다 제명당했고, 교회개혁을 위해 김 목사를 (감리교) 서울연회와 검찰청에 고발했다”고 밝혔다. 유장로는 "금란교회가 개인소유의 재산인가? 김홍도 목사가 횡령한 30억원 상당의 돈은 모두 환수되어야 한다. 김홍도 목사는 금란교회 담임목사직에서 제대로 사퇴를 해야 한다." 고 주장했다.[12] 2002년에는 이필완 목사 등 176명의 목사들이 연대 서명해 김홍도 목사를 교단에서 치리해달라고 요구했고, 감리교신학대학원에 다니는 학생들도 '감리교사랑모임'을 만들어, 김홍도 목사는 그의 죄를 회개할 것과 감리회는 김홍도 목사를 방치한 죄를 회개할 것을 촉구[13][14]했다. 그러나, 금란교회가 속한 기독교대한감리회(감리회·감독회장 당시 신경하 목사)는 '금란교회가 세계에서 제일 큰 감리교회이고, 세계감리교대회의 장소를 제공하는 등 감리회의 발전을 위해 노력한 바가 크다'는 이유를 들어 김홍도 목사를 불기소 처분했다. 감리회 서울연회는 김홍도 목사에게는 면죄를 준 반면, 서기종 목사(동대문교회)에게는 기소 뒤 300일간의 근신 처분을 내렸다.[15] 감리교 소속의 이필완 목사는 사회적 물의를 일으켰던 교단 내 서기종 목사, 김홍도 목사 등 일부 목사들을 비판[16]한 것이 발단이 되어 2004년 12월 강화도 난정교회 담임목사를 사퇴했다.[2]
당당뉴스는 2005년 5월, 하나님 앞에 '당당'(當當)하게 설 수 있는 한국 교회를 만들자는 목표 아래, "교회와 사회의 다리" "하나님과 사람들 앞에 당당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곧 뉴스!"[18]라는 표어를 내걸고 창간되었다. 이필완 목사가 처제로부터 빌린 1천5백만 원으로 시작했으며, 자발적 후원으로 운영되고 있다.[19]
2004년 12월, 강화도 난정교회의 담임목사를 사퇴하고, 2005년 5월 인터넷언론 당당뉴스를 창간하였다. 감리교 소수개혁세력인 이필완 목사는 2008년 1월 31일 MBC '100분 토론' 종교인 과세논란편에 패널로 참석해 "종교인인의 과세는 지극히 당연하다. 소득 있는 곳에 세금이 있는 것은 어떤 종교인 일지라도 한 나라의 국민으로서 토론의 여지가 없다."[20][21][22]“종교인은 검소하고 가난해야 한다. 대부분의 종교인들이 가난하면서도 자기 일에 충실하려 하는데 그들의 가슴을 무너지게 하는 이들이 있다. 그런 이들은 차라리 사라졌으면, 성직자가 아닌 다른 일을 했으면 한다." 고 주장했다.[23] 2008년 2월 12일[24], 개신교, 불교, 천주교, 원불교 등 4대 종교 성직자와 환경단체운동가를 중심으로 결성된 대운하를 반대하는 종교인들의 모임 '생명의 강을 모시는 사람들 순례단'(단장 이필완 목사)은 한강 하구인 경기도 김포시 애기봉 전망대에서 출정식을 갖고, 한강, 낙동강, 영산강, 금강 등에 대한 대운하 반대 100일 도보순례를 마쳤다.[25][17]이 단체는 " 운하사업은 생명을 경시하는 개발지상주의에서 기인한다. 우리 사회는 그간 개발주의의 무수한 폐해를 경험하고서야 자연과 인간의 평화로운 공존이 필요하다는 작은 지혜를 가지게 됐다. 생명의 강을 지키기 위한 종교계의 역할을 논의하고 지역주민과 '올바른 성장'이 무엇인지 함께 모색하는 계기가 될 것" 이라며 4대강 개발에 대해 비판했다.[26]
2010년 5월, 건강상의 이유로 공상은퇴를 하였고 이후 당당뉴스의 편집일선에서는 물러나 운영이사와 취재기자 및 자원봉사자로 뒤에서 글을 쓰고 있다.[28] 교통사고로 사망한 故 채희동목사(1964~2004, 봄길을 걷는 사람들[29])가 24호까지 발행했던, <하나님, 사람, 자연이 숨쉬는 샘>[30][31]을 <물이 맑은 샘>으로 복간하고, 발행인을 맡고 있다.[32]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