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체 상수(氣體常數, 영어: gas constant) 또는 이상 기체 상수(理想氣體常數, 영어: ideal gas constant)는 이상기체상태방정식에 등장하는 물리 상수이다. 볼츠만 상수와 아보가드로 상수의 곱이다. 즉 R=kB⋅NA
기체 상수 R {\displaystyle R} 는 아래와 같은 이상 기체 법칙에서 등장하는 비례 상수이다.
여기서
R은 기체 1몰을 1K 올리는데 사용되는 에너지이다. R은 로렌츠-로렌츠 방정식, 네르스트 방정식에서도 등장한다.
볼츠만 상수 kB(간략히 k로도 사용됨)는 이상기체상수의 다른 형태로 사용된다. 이 볼츠만 상수는 기체의 몰수 대신 통계열역학에서 미시계가 가질 수 있는, 혹은 가능한 상태의 수를 나타낼 때 해준 에너지로 표현한다. 이는 아보가드로 수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볼츠만 상수를 이용하여 이상 기체 법칙을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실제기체 또는 혼합기체의 특별 기체 상수( R ¯ {\displaystyle {\bar {R}}} )는 (일반) 기체 상수 R {\displaystyle R} 를 기체의 몰 질량( M {\displaystyle M} )으로 나눠준 것으로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특별 기체 상수를 기호 R {\displaystyle R} 로 나타낸다. 이런 경우 R의 전후관계나 단위는 어떤 기체상수가 언급되었는가를 명시해야한다. 예를 들어 음속 방정식은 일반적으로 특정 기체 상수로 표현된다.
공기의 특별 기체 상수는
1976년에 정의된 미국 표준 대기(영어: U.S. Standard Atmosphere, 1976, 기호 USSA1976)에서는 기체 상수가 다음과 같은 값으로 정의된다.
그러나 USSA1976은 이 수치가 아보가드로수와 볼츠만 상수의 도식화된 값과 일치하지 않다고 인정하였다. 그러나 USSA1976은 표준대기의 모든 계산에 이 R {\displaystyle R} 값을 사용한다. 이 차이는 정확도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ISO의 R {\displaystyle R} 을 사용해서 압력을 계산할 경우 11,000미터에서 오직 0.62파스칼만이 증가할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