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의선숲길(영어: Gyeongui Line Forest Park)은 총 면적 약 101,668 m2 총 연장 6.3 km, 폭 10~60 m의 선형 공원이다. 2005년부터 이 지역에 있던 지상 철도인 용산선을 지하화하면서 좁고 긴 부지가 남게 되었고, 이를 공원으로 만들었다. 공원 조성은 2009년부터 시작되었고, 2016년 5월 21일 전 구간이 완공되었다.[1]
홍제천부터 용산문화체육센터까지 이어지는 공원구간(4.4km), 경의선 전철 및 공항철도 역사(驛舍)구간(1.9km)으로 이루어져 있다. 홍대입구역 근처 연남동 구간은 미국 뉴욕 맨해튼의 센트럴 파크와 닮았다 하여 ‘연트럴파크’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2]
경의선숲길의 운영과 관리는 2015년 2월 발족된 비영리단체 ‘경의선 숲길지기’가 담당한다. 단체의 관리 하에 연남동지기, 홍대와우교지기, 대흥염리동지기, 도화원효지기 등으로 지역별 담당자를 두고 있다.[3]
경의선숲길은 수도권 전철 경의선 및 인천국제공항철도가 지하에 건설되면서, 그 상부에 조성된 공원이다. 지하 약 10~20m 아래에 경의선을 복선으로 건설하고, 그보다 더 아래인 지하 약 30~40m에 공항철도를 건설하여, 공원부지를 마련하였다. 철도부지의 소유권자인 한국철도시설공단과 서울특별시 측은 무상으로 공원 부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협약을 체결함으로써, 그동안 지역 단절 요소였던 철길이 새로운 공간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게 되었다.
늘장, 땡땡거리마켓, 와우교친환경문예운동, 책거리 같은 단기 행사가 자주 주최된다.
공원 조성의 영향으로 골목상권의 활성화가 있다. 공원 주변의 레스토랑, 카페, 술집들이 손님들로 북적인다. 자연히 건물 매매가도 상승하였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몰리는 사람들로 인해 야간 고성방가나 음주폭행 등 사건 사고가 끊이지 않는다는 점이 있다. 또 도심의 임대료가 상승하고 중산층이 몰리면서 기존 원주민이 내몰리는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의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4][5]
경의선 숲길 인근은 하위문화를 즐기는 청소년(경의선 키즈)들이 모이는 곳이 되었다.[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