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사팔대(일본어: 欠史八代 또는 缺史八代 겟시하치다이[*])는 《고사기》(古事記)와 《일본서기(日本書紀)》의 계보상에는 존재하지만, 행적이 기록되어 있지 않는 제2대 스이제이 천황부터 제9대 가이카 천황까지 이르는 8명의 천황과 그 시대를 일컫는 말이다.
현대의 일본 사학계에는 이 8명의 천황을 실존인물이 아니라 후대에 만들어진 존재라고 여기는 견해가 유력하지만, 이에 반해 실존설도 뿌리깊게 존재한다.
결사팔대를 처음 주장한 사람은 역사학자인 쓰다 소키치(津田左右吉, 1873~1961)이다. 쓰다는 결사팔대 뿐만이 아니라 가이카 천황 이후의 스진 천황, 스이닌 천황, 게이코 천황, 세이무 천황, 주아이 천황과 주아이 천황의 아내인 진구 황후의 실존 여부에도 의문을 제기하며 "결사십삼대(欠史十三代)"를 주장했다.
쓰다 소키치의 이러한 주장은 당시 천황에 대한 불경죄에 해당되었으며, 1942년 불경죄로 기소되어 유죄판결을 받았다. 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결사팔대는 고대사에 주류가 되었으며, 현재까지도 이어져 오고 있다. 결사팔대에 반대하여 천황의 실존설을 주장하는 학자도 적지 않다.
중국의 전한과 후한에서 유행했던 유교 경전인 위서(緯書)에는 육십갑자중 신유(辛酉)년을 '천명(天命)이 바뀌는 해'이자 '왕조가 교체되는 혁명의 해'로 여겼다. 이로 인해 고대 일본에서는 정변이나 변란이 일어나지 않기를 바라는 목적으로 신유년에 개원, 즉 연호를 바꾸는 것이 관례가 되었는데, 헤이안 시대의 미요시 기요쓰라(三善清行)의 건의로 인해 901년에 개원한 것을 시작으로 신유 개원은 1861년까지 이어져 왔다. 일본에서는 신유년과 갑자년에 개원하는 것이 정례화되었다.
메이지 시대 학자인 나카 미치요(那珂通世, 1851~1908)는 《혁명감문(革命勘文)》에 있는 중국 한나라의 학자 정현(鄭玄)의 주석의 문구 내용을 근거로, "1260년을 주기로 한 번 돌아오는 신유년에 대혁명이 있는데, 그 해가 스이코 천황 9년(601년)이며, 601년에 맞춰 이 해에서 1260년을 역산한 기원전 660년을 진무 천황이 즉위한 해로 설정한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나카 미치요가 산출한 진무 천황의 즉위 연도 설정에 관한 주장은 1897년 『상세년기고(上世年紀考)』에 실렸으며, 현재 일본 역사 학계에서는 나카 미치요의 주장이 정설로 굳어져있다. 따라서 초대 천황의 즉위년도부터가 조작되었으므로 뒤를 이은 여덟명의 천황은 실존여부도 불분명하고 재위년도는 허구라는 것이 비실존설의 주된 근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