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마(Kiln)는 막힌 방에 뜨거운 열을 불어넣고 가둘 수 있도록 만들어 숯이나 도자기, 기와, 벽돌 따위를 구워 내는 오븐의 일종을 말한다. 주로 흙을 구워 물건을 만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선사 시대부터 점토로 만든 토우나 기물 등을 높은 온도로 구워 딱딱하고 오래 견딜 수 있게 만들어 썼으며, 처음에는 성형한 기물 등을 노천에 쌓아놓고 마른 풀이나 짐승의 똥으로 덮어 불을 피워 모닥물 정도의 불에 마른 풀등을 계속 얹어 구운 것이었다. 계속 풀이나 나무 잔가지 등으로 온도를 올려 가면서 열이 많이 낭비되는 소성법이다. 이 기물들은 주고 다량의 철을 함유한 저화도 소성용 점토로 만들어졌으며 어느 정도 딱딱하게 되었을 때 흙 등으로 덮어서 서서히 식힌다. 현재도 나이지리아에서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노천소성(open firing)’이라고 부른다.[1] 이후에는 진흙이나 돌 등 천연재료로 밀폐된 공간을 만들고 장작으로 불을때는 아궁이와 굴뚝 따위로 만들었으나, 현대에는 전기, 가스를 이용한 것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토기는 수렵, 채집 생활에서 농경을 바탕으로 하는 정착생활로 전환하면서 식량을 저장하고 식수를 담아두는 용기가 필요하게 되면서 출현하였다.[2]
대옹은 일반적으로 대형의 저장용기로 사용되는데, 저장용기로서의 본래의 기능과 달리 일부 지역에서는 옹관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대옹은 한강유역 및 중서부지역에서 3세기 초 중반 무렵에 등장했다.
토기가마 축조에 적합한 지형은 다음과 같다.
요전부(窯前部),아궁이, 소성부(燒成部), 연도부(煙道部), 폐기장(廢棄場)이 있다.
전체 가마 길이는 5 ~ 6 m가 보편적이고, 가마 너비는 1.4 ~ 1.8 m 정도이며, 열효율을 고려하여 가마의 길이와 너비는 서로 비례한다. 연소부 길이는 1 ~ 1.6 m 너비는 0.9 ~ 1.3 m 정도이며, 소성부 길이는 3 ~ 4.8 m, 너비는 1.4 ~ 1.8 m 정도이다.
가마의 경사도는 열효율과 관련이 있으며, 경사도가 너무 높으면 갑작스런 온도 상승으로 토기가 파손되거나, 경사도가 너무 완만하면 온도 상승이 제대로 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적정한 경사도를 유지하는데, 10 ~ 20 도 정도이다.
경기 남부지역의 토기가마는 대부분 연소부에서 소성부가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연소부 구조로 연소부와 소성부의 정확한 구분은 어려우나, 연소부와 소성부가 완만한 경사의 단으로 구분되거나 목탄의 범위와 바닥의 소성 정도를 통해 연소부의 범위를 대략 추정한다. 10년 정도 마다 땔나무가 부족해지면 다른 곳으로 이동한 곳이 많다.[3]
토기를 받쳐놓은 도지미라고 부른다. 백제 가마터의 경우 3 ~ 5 칸으로, 전체길이는 21 m ~ 15 m 에 이른다.
|format=
|url=
|확인날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