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살집 표현 (-表現, 영어 : quiver representation )은 환론 에서 화살집 의 각 꼭짓점에 가군 을 대응시키며 각 변에 가군 준동형 을 대응시키는 수학 구조이다.[ 1]
정의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가환환
K
{\displaystyle K}
화살집
Q
{\displaystyle Q}
추상적 정의
Q
{\displaystyle Q}
의
K
{\displaystyle K}
계수 화살집 표현
R
{\displaystyle R}
는 다음과 같은 함자 이다.
R
: : -->
Free
-->
(
Q
)
→ → -->
Mod
K
{\displaystyle R\colon \operatorname {Free} (Q)\to \operatorname {Mod} _{K}}
여기서
Free
-->
(
Q
)
{\displaystyle \operatorname {Free} (Q)}
는
Q
{\displaystyle Q}
로 생성되는 자유 범주이며,
Mod
K
{\displaystyle \operatorname {Mod} _{K}}
는
K
{\displaystyle K}
-가군 의 범주 이다.
두 화살집 표현
R
{\displaystyle R}
,
S
{\displaystyle S}
사이의 사상
ϕ ϕ -->
: : -->
R
→ → -->
S
{\displaystyle \phi \colon R\to S}
은 함자 사이의 자연 변환 이다.
구체적 정의
Q
{\displaystyle Q}
의
K
{\displaystyle K}
계수 화살집 표현
R
{\displaystyle R}
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각 꼭짓점
v
∈ ∈ -->
V
-->
(
Q
)
{\displaystyle v\in \operatorname {V} (Q)}
에 대하여,
K
{\displaystyle K}
-가군
R
v
{\displaystyle R_{v}}
각 변
e
: : -->
u
→ → -->
v
{\displaystyle e\colon u\to v}
에 대하여,
K
{\displaystyle K}
-가군 준동형
R
e
: : -->
R
u
→ → -->
R
v
{\displaystyle R_{e}\colon R_{u}\to R_{v}}
두 화살집 표현
R
{\displaystyle R}
,
S
{\displaystyle S}
사이의 사상
ϕ ϕ -->
: : -->
R
→ → -->
S
{\displaystyle \phi \colon R\to S}
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각 꼭짓점
v
∈ ∈ -->
V
-->
(
Q
)
{\displaystyle v\in \operatorname {V} (Q)}
에 대하여,
K
{\displaystyle K}
-가군 준동형
ϕ ϕ -->
v
: : -->
R
v
→ → -->
S
v
{\displaystyle \phi _{v}\colon R_{v}\to S_{v}}
이는 다음 가환 그림을 만족시켜야 한다. 임의의 변
e
: : -->
u
→ → -->
v
{\displaystyle e\colon u\to v}
에 대하여,
R
u
→ → -->
ϕ ϕ -->
u
S
u
R
e
↓ ↓ -->
R
e
S
e
↓ ↓ -->
S
e
R
v
→ → -->
ϕ ϕ -->
v
S
v
{\displaystyle {\begin{matrix}R_{u}&{\overset {\phi _{u}}{\to }}&S_{u}\\{\scriptstyle R_{e}}\downarrow {\color {White}\scriptstyle R_{e}}&&{\color {White}\scriptstyle S_{e}}\downarrow \scriptstyle S_{e}\\R_{v}&{\underset {\phi _{v}}{\to }}&S_{v}\end{matrix}}}
환론적 정의
화살집
Q
{\displaystyle Q}
속의, 길이
n
∈ ∈ -->
N
{\displaystyle n\in \mathbb {N} }
의 보행 (영어 : walk, path )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유한 개의 꼭짓점과 변들의 열
v
n
,
e
n
− − -->
1
,
… … -->
,
e
1
,
v
1
,
e
0
,
v
0
{\displaystyle v_{n},e_{n-1},\dotsc ,e_{1},v_{1},e_{0},v_{0}}
이다.
s
(
e
i
)
=
v
i
∀ ∀ -->
i
∈ ∈ -->
{
0
,
… … -->
,
n
− − -->
1
}
{\displaystyle s(e_{i})=v_{i}\forall i\in \{0,\dotsc ,n-1\}}
t
(
e
i
)
=
v
i
+
1
∀ ∀ -->
i
∈ ∈ -->
{
0
,
… … -->
,
n
− − -->
1
}
{\displaystyle t(e_{i})=v_{i+1}\forall i\in \{0,\dotsc ,n-1\}}
(보행 속에서 같은 꼭짓점 또는 변이 중복되어 등장할 수 있으며, 길이 0의 보행 역시 가능하다. 길이 0의 보행들의 집합은 꼭짓점 집합과 일대일 대응 한다.)
Q
{\displaystyle Q}
의 보행들을 기저 로 갖는
K
{\displaystyle K}
-자유 가군 위에 다음과 같은 곱을 정의하자.
임의의 두 보행
α α -->
=
(
v
n
,
e
n
− − -->
1
,
… … -->
,
e
0
,
v
0
)
{\displaystyle \alpha =(v_{n},e_{n-1},\dotsc ,e_{0},v_{0})}
,
β β -->
=
(
v
n
′
′
,
e
n
′
− − -->
1
′
,
… … -->
,
e
0
′
,
v
0
′
)
{\displaystyle \beta =(v'_{n'},e'_{n'-1},\dotsc ,e'_{0},v'_{0})}
에 대하여,
만약
v
0
=
v
n
′
′
{\displaystyle v_{0}=v'_{n'}}
이라면,
α α -->
β β -->
=
(
v
n
,
e
n
− − -->
1
,
… … -->
,
e
0
,
v
0
,
e
n
′
− − -->
1
′
,
… … -->
,
v
0
′
)
{\displaystyle \alpha \beta =(v_{n},e_{n-1},\dotsc ,e_{0},v_{0},e'_{n'-1},\dotsc ,v'_{0})}
만약
v
0
≠ ≠ -->
v
n
′
′
{\displaystyle v_{0}\neq v'_{n'}}
이라면,
α α -->
β β -->
=
0
{\displaystyle \alpha \beta =0}
이는 유사환 을 이루며, 만약
Q
{\displaystyle Q}
가 유한 개의 꼭짓점을 갖는다면, 이는 항등원
1
=
∑ ∑ -->
v
∈ ∈ -->
V
-->
(
Q
)
(
v
)
{\displaystyle 1=\sum _{v\in \operatorname {V} (Q)}(v)}
을 가져 환 을 이룬다. 이를
Q
{\displaystyle Q}
위의 보행 대수 (영어 : walk algebra, path algebra )
K
[
Q
]
{\displaystyle K[Q]}
라고 한다.
이제, 만약
Q
{\displaystyle Q}
의 꼭짓점 집합이 유한 집합 일 경우,
Q
{\displaystyle Q}
의
K
{\displaystyle K}
-표현 은 보행 대수
K
[
Q
]
{\displaystyle K[Q]}
의 왼쪽 가군
R
{\displaystyle R}
이다.
이 정의들은 다음과 같이 대응한다.
범주론적 정의
구체적 정의
환론적 정의
꼭짓점
v
{\displaystyle v}
에 대응하는 대상의 상
R
(
v
)
{\displaystyle R(v)}
꼭짓점
v
{\displaystyle v}
에 대응되는 가군
R
v
{\displaystyle R_{v}}
(
v
)
R
{\displaystyle (v)R}
(
(
v
)
{\displaystyle (v)}
는 길이 0의 보행)
변
e
{\displaystyle e}
에 대응하는 사상의 상
R
(
e
)
{\displaystyle R(e)}
변
e
: : -->
u
→ → -->
v
{\displaystyle e\colon u\to v}
에 대응하는 가군 준동형
R
e
: : -->
R
u
→ → -->
R
v
{\displaystyle R_{e}\colon R_{u}\to R_{v}}
길이 1의 보행
(
u
,
e
,
v
)
{\displaystyle (u,e,v)}
의 작용
(
u
,
e
,
v
)
: : -->
(
v
)
R
→ → -->
(
u
)
R
{\displaystyle (u,e,v)\colon (v)R\to (u)R}
보행
(
v
n
,
… … -->
,
e
0
,
v
0
)
{\displaystyle (v_{n},\dotsc ,e_{0},v_{0})}
에 대응하는 사상의 상
R
(
e
n
− − -->
1
)
∘ ∘ -->
⋯ ⋯ -->
∘ ∘ -->
R
(
e
0
)
{\displaystyle R(e_{n-1})\circ \dotsb \circ R(e_{0})}
보행의 변들에 대응하는 가군 준동형 들의 합성
R
e
n
− − -->
1
∘ ∘ -->
⋯ ⋯ -->
∘ ∘ -->
R
e
0
: : -->
R
v
0
→ → -->
R
v
n
{\displaystyle R_{e_{n-1}}\circ \dotsb \circ R_{e_{0}}\colon R_{v_{0}}\to R_{v_{n}}}
보행의 작용
연산
분리합
화살집들의 집합
(
Q
i
)
i
∈ ∈ -->
I
{\displaystyle (Q_{i})_{i\in I}}
및 각
i
∈ ∈ -->
I
{\displaystyle i\in I}
에 대하여
Q
i
{\displaystyle Q_{i}}
의 표현
R
(
i
)
{\displaystyle R^{(i)}}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분리합집합
⨆ ⨆ -->
i
∈ ∈ -->
I
Q
i
{\displaystyle \textstyle \bigsqcup _{i\in I}Q_{i}}
의
K
{\displaystyle K}
-표현
⨆ ⨆ -->
i
∈ ∈ -->
I
R
(
i
)
{\displaystyle \textstyle \bigsqcup _{i\in I}R^{(i)}}
이 자연스럽게 존재한다.
반대로,
⨆ ⨆ -->
i
∈ ∈ -->
I
Q
i
{\displaystyle \textstyle \bigsqcup _{i\in I}Q_{i}}
의 모든
K
{\displaystyle K}
-표현은
Q
i
{\displaystyle Q_{i}}
들의 표현들의 족
(
R
(
i
)
)
i
∈ ∈ -->
I
{\displaystyle (R^{(i)})_{i\in I}}
의 분리합으로 유일하게 나타내어진다.
(이는 화살집의 분리합집합 이 대응되는 범주의 쌍대곱 에 대응하기 때문이다.)
직합
화살집
Q
{\displaystyle Q}
의
K
{\displaystyle K}
-표현들의 집합
(
R
(
i
)
)
i
∈ ∈ -->
I
{\displaystyle (R^{(i)})_{i\in I}}
의 직합 은 다음과 같은 화살집 표현이다.
R
v
=
⨁ ⨁ -->
i
∈ ∈ -->
i
R
v
(
i
)
(
v
∈ ∈ -->
V
-->
(
Q
)
)
{\displaystyle R_{v}=\bigoplus _{i\in i}R_{v}^{(i)}\qquad (v\in \operatorname {V} (Q))}
R
e
=
⨁ ⨁ -->
i
∈ ∈ -->
i
R
e
(
i
)
(
e
∈ ∈ -->
E
-->
(
Q
)
)
{\displaystyle R_{e}=\bigoplus _{i\in i}R_{e}^{(i)}\qquad (e\in \operatorname {E} (Q))}
직합의 항등원은 모든 성분이 영가군 인 영 표현 (零表現, 영어 : zero representation )이다. 하나 이상의 영 표현이 아닌 화살집 표현들의 직합으로 표현될 수 없는 화살집 표현을 분해 불가능 표현 (分解不可能表現, 영어 : indecomposable representation )이라고 한다.
성질
임의의 가환환
K
{\displaystyle K}
및 화살집
Q
{\displaystyle Q}
에 대하여,
Q
{\displaystyle Q}
의
K
{\displaystyle K}
-표현들의 범주 는 (작은 범주 에서 아벨 범주 로 가는 함자 범주이므로) 아벨 범주 이다.
가브리엘 정리
A
n
{\displaystyle {\mathsf {A}}_{n}}
·
D
n
{\displaystyle {\mathsf {D}}_{n}}
·
E
n
{\displaystyle {\mathsf {E}}_{n}}
꼴의 근계 의 딘킨 도표
가브리엘 정리 (Gabriel定理, 영어 : Gabriel’s theorem )에 따르면, 화살집
Q
{\displaystyle Q}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분해 불가능 복소수 표현의 동형류 의 수가 유한하다.
유한 개의 연결 성분 을 가지며, 각 연결 성분 은 (변의 방향을 망각하면)
A
n
{\displaystyle {\mathsf {A}}_{n}}
·
D
n
{\displaystyle {\mathsf {D}}_{n}}
·
E
6
{\displaystyle {\mathsf {E}}_{6}}
·
E
7
{\displaystyle {\mathsf {E}}_{7}}
·
E
8
{\displaystyle {\mathsf {E}}_{8}}
꼴의 딘킨 도표 를 이룬다. (특히, 다중 그래프 일 수 없다.)
또한, 위와 같은 꼴의 연결 화살집의 분해 불가능
K
{\displaystyle K}
-표현의 동형류 는 이에 대응되는 (A/D/E 꼴의) 근계 의 양근 과 일대일 대응 한다.
예
임의의 가환환
K
{\displaystyle K}
가 주어졌다고 하자.
공집합 (즉, 0개의 꼭짓점을 갖는 화살집 )은 유일한 (자명한)
K
{\displaystyle K}
-표현을 갖는다.
A₁
하나의 꼭짓점을 갖는 화살집
A
1
{\displaystyle {\mathsf {A}}_{1}}
의 표현들은
K
{\displaystyle K}
-가군 이다. 특히, 만약
K
{\displaystyle K}
가 체 일 때,
A
1
{\displaystyle {\mathsf {A}}_{1}}
의 분해 불가능
K
{\displaystyle K}
-표현은 1차원 표현
K
{\displaystyle K}
밖에 없다. (이는
A
1
{\displaystyle {\mathsf {A}}_{1}}
근계 의 유일한 양근 에 대응한다.)
A₂
A
2
{\displaystyle {\mathsf {A}}_{2}}
근계 는 세 개의 양근
α α -->
{\displaystyle \alpha }
,
β β -->
{\displaystyle \beta }
,
α α -->
+
β β -->
{\displaystyle \alpha +\beta }
를 갖는다.
두 개의 꼭짓점을 갖는 화살집
A
2
{\displaystyle {\mathsf {A}}_{2}}
의 표현들은 두
K
{\displaystyle K}
-가군 사이의 가군 준동형 이다. 특히, 만약
K
{\displaystyle K}
가 체 일 때,
A
2
=
∙ ∙ -->
u
− − -->
e
∙ ∙ -->
v
{\displaystyle {\mathsf {A}}_{2}={\underset {u}{\bullet }}{\overset {e}{-}}{\underset {v}{\bullet }}}
의 분해 불가능
K
{\displaystyle K}
-표현은 다음 세 개이다. (이는
A
2
{\displaystyle {\mathsf {A}}_{2}}
근계 의 세 양근 에 대응한다.)
R
u
=
K
{\displaystyle R_{u}=K}
,
R
v
=
0
{\displaystyle R_{v}=0}
,
R
e
{\displaystyle R_{e}}
는 값이 0인 상수 함수
R
u
=
0
{\displaystyle R_{u}=0}
,
R
v
=
K
{\displaystyle R_{v}=K}
,
R
e
{\displaystyle R_{e}}
는 값이 0인 상수 함수
R
u
=
R
v
=
K
{\displaystyle R_{u}=R_{v}=K}
,
R
e
{\displaystyle R_{e}}
는 항등 함수
역사
가브리엘 정리는 피에르 가브리엘(프랑스어 : Pierre Gabriel , 1933~2015)이 1972년에 증명하였다.[ 2] :73, §1.2, Satz
각주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