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카브
코카브
|
코카브의 위치(β)
|
명칭
|
다른 이름
|
코카브(Kochab/Kocab/Kochah), 작은곰자리 베타, 작은곰자리 7, 알 카우카브 알 샤말리이, BD+74 595, FK5 550, GCTP 3373.00, HD 131873, HIP 72607, HR 5563, SAO 8102.[1]
|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
별자리
|
작은곰자리
|
적경(α)
|
14h 50m 42.32580s[2]
|
적위(δ)
|
+74° 09′ 19.8142″[2]
|
겉보기등급(m)
|
2.08[3]
|
절대등급(M)
|
−0.83±0.010[4]
|
위치천문학
|
시선속도
|
+16.96[5]
|
적경 고유운동
|
−32.61[2]
|
적위 고유운동
|
+11.42[2]
|
연주시차
|
24.91 ± 0.12 밀리초각[2]
|
성질
|
광도
|
390 ± 25 L☉[6]
|
분광형
|
K4 III[7]
|
U-B 색지수
|
+1.78[3]
|
B-V 색지수
|
+1.47[3]
|
추가 사항
|
질량
|
2.2 ± 0.3 M☉[8]
|
반지름
|
42.06 ± 0.91 R☉[6]
|
표면온도
|
4,030 켈빈[6]
|
중원소 함량 (Fe/H)
|
–0.29[6]
|
표면 중력 (log g)
|
1.83[6]
|
자전 속도
|
8 km/s[9]
|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
코카브(영어: Kochab) 또는 작은곰자리 베타(영어: Beta Ursae Minoris, β Ursae Minoris, Beta UMi, β UMi)는[10][11] 작은곰자리의 '작은 국자'에서 국자의 우묵한 곳에 해당되는 별이다. 별자리에서 가장 밝은 북극성 폴라리스보다는 약간 어두워 바이어 명명법으로 '베타' 기호를 받았다. 코카브는 폴라리스로부터 16도 떨어져 있으며 실시등급은 2.08이다.[3] 태양으로부터 떨어진 거리는 히파르코스 미션에서 측정한 시차 자료로부터 130.9 광년(40.1 파섹)이 나온다.[2]
코카브와 폴라리스를 잇는 가상의 선은 천구 북극에서 매우 가까운 곳을 지나가기 때문에(천구 북극은 폴라리스로부터 43분각 떨어져 있음), 이 별은 망원경 관측시 중요한 길잡이로 활용된다.[12]
명칭
코카브의 바이어 명명법은 작은곰자리 베타이다. 전통적으로 불려오던 이름 코카브는 르네상스 때에 등장했으며 그 의미는 불분명하다. 코카브 명칭은 '별'을 뜻하는 아랍어 الكوكب (알 카우카브) 또는 히브리어 כוכב (코크하브)에서 왔거나, 혹은 보다 유력한 설로 큰곰자리 세타의 고유 명칭 '알루카바' 또는 '루카바'에서 유래한 것일지도 모른다.[13] 2016년 국제천문연맹의 항성명칭 워킹그룹(WGSN)[14]은 항성들의 고유명칭을 표준화하는 작업에 들어갔다. '코카브'는 동년 7월 발표된 첫 번째 명칭 공고문에 포함되었다.[15]
중화권에서 코카브는 자미원(紫微垣)에서 북극(北極)의 일원으로, 북극의 구성원에는 코카브 외에 작은곰자리 감마, 작은곰자리 5, 작은곰자리 4, Σ 1694가 있다.[16] 이 중 코카브의 단독 명칭은 북극이(北極二)로[17] 황제(帝)를 뜻한다.[18]
속성
코카브는 태양보다 130배 밝은 분광형 K4 III의 거성이다.[7] 이 별은 외포층이 태양 반지름의 42배까지 확장되는 단계까지 진화된 상태에 있다.[6] 확장된 대기는 태양 광도의 390배에 이르는 에너지를 복사하고 있으며 표면의 유효 온도는 4,030 켈빈이다.[6] 이 열은 항성을 K형 항성의 오렌지색으로 빛나게 한다.[19]
항성진화 궤적에 근거한 모형에 따르면 이 항성의 질량은 태양의 2.2 ± 0.3 배로 추정된다. 간섭계로 측정한 반지름과 분광학적으로 결정한 표면 중력에 따르면 코카브의 질량은 태양의 2.5 ± 0.9 배로 나온다.[8] 코카브는 대략 4.6일 간격의 광도의 주기적 변화를 보여주는데, 이 성진학적 주기는 항성의 질량과 민감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주기로부터 계산한 코카브의 질량은 훨씬 낮아 태양의 1.3 ± 0.3 배이다.[8]
북극성
기원전 2500년 경 투반이 천구 북극으로부터 점점 멀어지면서 코카브는 미자르(큰곰자리의 '큰 국자'에서 손잡이에 해당하는 별)와 함께, 그리고 이후 작은곰자리의 페르카드와 함께 중요한 주극성들 중 하나가 되었다.[20] 기원전 2467년 경 천구북극은 미자르와 코카브 사이에 다림줄을 그려서 쉽게 찾아낼 수 있었는데, 기자의 대피라미드가 세워진 방위로 보아 고대 이집트 인들은 이 사실을 잘 알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20] 이렇게 북극성들이 번갈아가면서 바뀌는 것은 분점의 세차 운동 때문이다. 코카브와 미자르는 고대 이집트 천문학자들에게 북쪽을 밝히는 '불멸의 존재들'로 언급되었다.[20] 기원전 2000년 이후 코카브와 그 이웃별 페르카드 둘은 천구 북극에 접근하면서, 기원전 1700년 경부터 기원후 300년 경까지 북극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쌍둥이 북극성' 역할을 했다. 기원전 1100년 경 코카브는 천구 북극에 약 7° 안쪽까지 접근했다. 오래된 기록들에는 코카브를 '북극성'으로 언급한 것도 있다.[21] 다만 두 별 모두 현재의 북극성 폴라리스에 비하면 천구 북극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었다.[22] 폴라리스는 코카브보다 약간 더 밝고 천구 북극에도 훨씬 가까이 접근하여 서기 2100년 경에 0.5° 안쪽까지 다가갈 것이다.[23] 오늘날 코카브와 페르카드는 가끔 '북극성의 수호자'로 불리기도 한다.[22]
동반 행성
외계 행성 하나가 코카브를 공전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 행성의 질량은 최소 목성의 약 6.1배이며 공전 주기는 522일이다.[24]
코카브 행성계
동반 행성 (항성에서 가까운 순서)
|
질량
|
공전궤도 반지름 (AU)
|
공전 주기 (일)
|
이심률
|
궤도 경사
|
반지름
|
b
|
≥6.1 ± 1.0 MJ
|
1.4 ± 0.1
|
522.3 ± 2.7
|
0.19 ± 0.02
|
—
|
—
|
각주
- ↑
“KOCHAB -- Variable Star”,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2년 1월 11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van Leeuwen, F. (November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 ↑ 가 나 다 라
Johnson, H. L.; 외. (1966), “UBVRIJKL photometry of the bright stars”, 《Communications of the Lunar and Planetary Laboratory》 4 (99), Bibcode:1966CoLPL...4...99J
- ↑ Park, Sunkyung; 외. (2013), “Wilson-Bappu Effect: Extended to Surface Gravity”, 《The Astronomical Journal》 146 (4): 73, arXiv:1307.0592, Bibcode:2013AJ....146...73P, doi:10.1088/0004-6256/146/4/73.
- ↑
Famaey, B.; 외. (January 2005), “Local kinematics of K and M giants from CORAVEL/Hipparcos/Tycho-2 data. Revisiting the concept of supercluste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30: 165–186, arXiv:astro-ph/0409579, Bibcode:2005A&A...430..165F, doi:10.1051/0004-6361:20041272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Piau, L.; 외. (February 2011), “Surface convection and red-giant radius measurements”, 《Astronomy and Astrophysics》 526: A100, arXiv:1010.3649, Bibcode:2011A&A...526A.100P, doi:10.1051/0004-6361/201014442
- ↑ 가 나
Morgan, W. W.; Keenan, P. C. (1973), “Spectral Classification”, 《Annual Review of Astronomy and Astrophysics》 11: 29, Bibcode:1973ARA&A..11...29M, doi:10.1146/annurev.aa.11.090173.000333
- ↑ 가 나 다
Tarrant, N. J.; 외. (June 2008), “Oscillations in ß Ursae Minoris. Observations with SMEI”, 《Astronomy and Astrophysics》 483 (3): L43–L46, arXiv:0804.3253, Bibcode:2008A&A...483L..43T, doi:10.1051/0004-6361:200809738
- ↑
Bernacca, P. L.; Perinotto, M. (1970), “A catalogue of stellar rotational velocities”, 《Contributi Osservatorio Astronomico di Padova in Asiago》 239 (1), Bibcode:1970CoAsi.239....1B
- ↑ Kunitzsch, Paul; Smart, Tim (2006).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 A Short Guide to 254 Star Names and Their Derivations》 2 rev.판. Cambridge, Massachusetts: Sky Pub. ISBN 978-1-931559-44-7.
- ↑ “IAU Catalog of Star Names”.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 ↑
Sherrod, Clay (2001). “"Clay's Kochab Clock": Precise Portable Polar Alignment EVERY Time!”. 《Arkansas Sky Observatories》. 2013년 7월 16일에 확인함.
- ↑ Kunitzsch, Paul; Smart, Tim (2006).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 A Short Guide to 254 Star Names and Their Derivations》 2 rev.판. Cambridge, Massachusetts: Sky Pub. 58쪽. ISBN 978-1-931559-44-7.
- ↑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 ↑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1” (PDF).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 ↑ 陳久金 (2005). 中國星座神話 [Chinese Constellation Myth] (중국어). 台灣書房出版有限公司. ISBN 978-986-7332-25-7.
- ↑ 北極 (星官)
- ↑ 香港太空館 - 研究資源 - 亮星中英對照表 보관됨 8월 10, 2010 - 웨이백 머신, Hong Kong Space Museum. Accessed on line November 23, 2010.
- ↑
“The Colour of Stars”, 《Australia Telescope, Outreach and Education》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2004년 12월 21일, 2012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16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article "Planet Earth: Ancient Astronomy Calendars, Navigation, Predictions"
- ↑ Kaler, James B., “KOCHAB (Beta Ursae Minoris)”, 《Stars》 (University of Illinois), 2018년 4월 28일에 확인함
- ↑ 가 나 Benningfield, Damond (2015년 6월 14일). “Kochab”. 《Stardate Magazine》 (University of Texas McDonald Observatory). 2015년 9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6월 14일에 확인함.
- ↑ Kaler, James B., “POLARIS (Alpha Ursae Minoris)”, 《Stars》 (University of Illinois), 2018년 4월 28일에 확인함
- ↑ Lee, B.-C.; Han, I.; Park, M.-G.; Mkrtichian, D.E.; Hatzes, A.P.; Kim, K.-M. (2014). “Planetary Companions in K giants β Cancri, μ Leonis, and β Ursae Minoris”. 《Astronomy & Astrophysics》 566: 7. arXiv:1405.2127. Bibcode:2014A&A...566A..67L. doi:10.1051/0004-6361/201322608. A67.
좌표: 14h 50m 42.3s, +74° 09′ 2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