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교 배열

조합론에서 직교 배열(直交配列, 영어: orthogonal array)은 좌표들의 부분 집합으로 제한하였을 때 모든 가능한 벡터들이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는, 주어진 유한 집합 위의 벡터들의 유한 집합이다.[1]

정의

자연수 가 주어졌다고 하자.

-직교 배열 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 크기 유한 집합 . 이를 알파벳이라고 하며, 그 원소를 수준(水準, 영어: level)이라고 한다.
  • 자연수 . 이를 인자수(因子數, 영어: number of factors)라고 한다.
  • 부분 집합 . 그 원소를 실험 실행(實驗實行, 영어: experimental run)라고 한다.

이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 개의 좌표 가운데 임의의 개를 골랐을 때, 수준의 모든 -순서쌍들은 (선택한 레벨 및 좌표에 상관없이) 같은 수 번 만큼 등장한다. 즉, 임의의 단사 함수 및 임의의 에 대하여, 자연수 의 선택에 의존하지 않는다.

이는 해밍 결합 도식 속의 블록 설계의 개념과 같다.[2]

여기서, 를 직교 배열의 강도(強度, 영어: strength)라고 하며, -직교 배열의 지수(指數, 영어: index)라고 한다.

성질

상수 에 대한 -직교 배열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 임의의 자연수
  • 임의의 단사 함수
  • 임의의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즉,

를 정의하면, 임의의 -직교 배열은 임의의 에 대하여 -직교 배열을 이루며, 그 상수는 이다. 여기서, 는 물론 크기와 같다.

이에 따라, 임의의 속에서 다음과 같은 포함 관계가 성립한다.

= 0-직교 배열 ⊇ 1-직교 배열 ⊇ 2-직교 배열 ⊇ … ⊇ -직교 배열 =

자명한 직교 배열

임의의 유한 집합 에 대하여, 속의 유일한 -직교 배열은 이며, 이 경우 각각 이다.

반대로, 의 임의의 부분 집합은 0-직교 배열을 이룬다.

라틴 방진

라틴 방진

인 2-직교 배열

에 해당한다.

(즉, 2-직교 배열과 라틴 방진 사이의 관계는 2-블록 설계와 2-슈타이너 계 사이의 관계와 같다.)

예를 들어, 3×3 라틴 방진

1 2 3
2 3 1
3 1 2

은 다음과 같은 표의 9개 행들로 구성되는 2-직교 배열을 이룬다.

1 1 1
1 2 2
1 3 3
2 1 2
2 2 3
2 3 1
3 1 3
3 2 1
3 3 2

2-직교 배열의 예

알파벳

위에서, 다음 표의 16개 행들로 구성된 부분 집합

은 지수

을 갖는 2-직교 배열을 이룬다.

A A A A A
A B B B B
A C C C C
A D D D D
B A D B C
B B C A D
B C B D A
B D A C B
C A B C D
C B A D C
C C D A B
C D C B A
D A C D B
D B D C A
D C A B D
D D B A C

알파벳

위에서, 다음 표의 27개 행들로 구성된 부분 집합

은 지수

을 갖는 2-직교 배열을 이룬다.[3]

A A A A A
A A B A B
A A C A C
A B A B B
A B B B C
A B C B A
A C A C C
A C B C A
A C C C B
B A A C A
B A B C B
B A C C C
B B A A B
B B B A C
B B C A A
B C A B C
B C B B A
B C C B B
C A A B A
C A B B B
C A C B C
C B A C B
C B B C C
C B C C A
C C A A C
C C B A A
C C C A B

역사

1947년에 칼리암푸디 라다크리슈나 라오가 도입하였다.[4]

각주

  1. Hedayat, Abdos Samad; Sloane, Neil James Alexander; Stufken, John (1999). 《Orthogonal arrays: theory and applications》. Springer Series in Statistics (영어). Springer-Verlag. doi:10.1007/978-1-4612-1478-6. ISBN 978-0-387-98766-8. ISSN 0172-7397. Zbl 0935.05001. 
  2. Delsarte, Philippe; Levenshtein, Vladimir Iosifovich (1998년 10월). “Association schemes and coding theory”.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Transactions on Information Theory》 (영어) 44 (6): 2477–2504. doi:10.1109/18.720545. ISSN 0018-9448. 
  3. Keedwell, A. Donald; Denes, József (2015). 《Latin squares and applications》 (영어) 2판. North-Holland. doi:10.1016/B978-0-444-63555-6.50016-7. Zbl 1318.05001. 
  4. Rao, Calyampudi Radhakrishna (1947). “Factorial experiments derivable from combinatorial arrangements of arrays”. 《Supplement to the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영어) 9 (1): 128–139. doi:10.2307/2983576. JSTOR 2983576. 

외부 링크

Strategi Solo vs Squad di Free Fire: Cara Menang Mudah!